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도쿄대학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조직 == ||<tablealign=center><tablewidth=370><tablebordercolor=#187fc3><nopad> [[파일:400104264.jpg|width=100%]][br][[파일:400080963.jpg|width=100%]][br][[파일:400104264.jpg|width=100%]] || || 도쿄대학의 학부, 연구과, 연구소의 로고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87fc3>{{{#!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전체 학부 리스트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87fc3><nopad> [[파일:동대학부.png|width=100%]] || || 도쿄대학의 학부 (10개) || * 법학부 * 제1류[* 입시 구분의 ~류 와는 전혀 관계 없다.] (법학종합 코스) * 제2류 (법률프로페션 코스) * 제3류 (정치 코스) * [[상경대학|경제학부]] * [[경제학과]] * [[경영학과]] * [[금융학과]] * [[문과대학|문학부]] * [[어문계열|언어문화학과]] * [[언어학과|언어학전공]] * [[일어일문학과|일어일문학전공]] * [[중어중문학과|중어중문학전공]] * 인도어인도문학전공 * [[영어영문학과|영어영문학전공]] * [[독어독문학과|독어독문학전공]] * [[불어불문학과|불어불문학전공]] * 슬라브어슬라브문학전공 * 남유럽어남유럽문학전공 * 현대문예론전공 * 서양고전학전공 * 사상문화학과 * [[철학과|철학전공]] * 중국사상문화학전공 * [[불교학과|인도철학불교학전공]] * 윤리학전공 * [[종교학과|종교학종교사학전공]] * [[미학과|미학예술학전공]] * 이슬람학전공 * [[사학과|역사문화학과]] * 일본사학전공 * 동양사학전공 * 서양사학전공 * [[고고학과|고고학전공]] * [[미술사학과|미술사학전공]] * 행동문화학과 * [[심리학과|심리학전공]] * 사회심리학전공 * [[사회학과|사회학전공]] * 교양학부 * 전기과정[* 교양학부는 전기교양학부와 후기교양학부로 나눠진다. 입학한 동경대의 신입생들은 1학년부터 2학년 여름학기까지 1년 반 동안 모든 학생들은 교양학부에 속한다. 학과 구분 없이 학류 구분으로 이과 1류, 2류, 3류, 문과 1류, 2류, 3류로 구분을 한다. 2년 동안 교양학부에서 교육을 받은 후 성적에 따라서 전공을 지망해서 선택할 수 있는 진학선택제도가 있다.[* 구 명칭인 신후리(進振り,진학배정)이라고 부른다. 공식명칭은 수년 전에 진학선택으로 바뀌었으나, 이 신후리가 워낙 악명이 높아 거의 고유명사화되었을뿐더러 바뀐 게 사실상 이름뿐이라.] 이론상 성적이 좋으면 이과 3류가 아니어도, 심지어 문과여도 의학부에 갈 수 있지만, 미리 생명과학(2단위) 수업을 듣고 여타 다른 과목에서 거의 만점에 가까운 성적을 거둬야 하며, 이럴 바에는 차라리 문과가 아닌 이과 3류 입학으로 의학부를 가는 게 더 쉽다.(이과 1류에서는 한두명, 2류는 상위 2% 정도의 성적을 받으면 의학부에 진학할 수 있다.) 법학부는 비교적 정원이 많기 때문에 문과 2류/3류에서 상위 10% 안에 드는 좋은 성적을 받으면 진학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문과 1류에서 법학부가 아닌 다른 학과로 진학하는 학생들도 쉽게 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아즈마 히로키]]가 있다.] * 후기과정[* 후기교양과정은 2학년 겨울학기~4학년까지의 전공으로써 교양학부 소속의 학생들을 일컫는 말이다.] * 교양학과 * 초역문화과학분과 * 문화인류학 코스 * 표상문화론 코스 * 비교문화비교예술 코스 * 현대사상 코스 * 학제일본문화론 코스 * 학제언어과학 코스 * 언어태텍스트문화론 코스 * 지역문화연구분과 * 영국연구 코스 * 프랑스연구 코스 * 독일연구 코스 * 이탈리아지중해연구 코스 * 북미연구 코스 * 라틴아메리카연구 코스 * 아시아일본연구 코스 * 한국조선연구 코스 * 종합사회과학분과 * 상관사회과학 코스 * 국제관계론 코스 * 학제과학과 * 과학기술 코스 * 지리공간 코스 * 종합정보학 코스 * 지구시스템에너지 코스 * 종합자연과학과 * 수리자연과학 코스 * 물질기초과학 코스 * 종합생명과학 코스 * 인지행동과학 코스 * 스포츠과학 서브 코스 * [[교육학과|교육학부]] * 종합교육과학과 * 기초교육학 코스 * 비교교육사회학 코스 * 교육심리학 코스 * 학교교육학 코스 * 교육행정학 코스 * 신체교육학 코스 * [[공과대학|공학부]] * [[토목공학과|사회기반학과]] * 설계기술전략 코스 (사회기반학A) * 정책계획 코스 (사회기반학B) * 국제프로젝트 코스 (사회기반학C) * [[건축학과]] * [[도시공학과]] * 도시환경공학 코스 * 도시계획 코스 * [[기계공학과]] (기계공학A) * [[기전공학과|기계정보공학과]] (기계공학B) * 정밀공학과 * [[항공우주공학과]] * 항공우주시스템학 코스 * 항공우주추진학 코스 * [[전기전자공학과|전자정보공학과]] (전자・정보계A) * [[전기전자공학과]] (전자・정보계B) * 물리공학과 * 계수공학과 * 수리정보공학 코스 * 시스템정보공학 코스 * [[재료공학과]] * 바이오재료 코스 (재료공학A) * 재료환경기반 코스 (재료공학B) * 정보나노재료 코스 (재료공학C) * 응용화학과 * [[화학공학과|화학시스템공학과]] * [[생명공학과|화학생명공학과]] * 시스템창성학과 * 환경에너지시스템(E&E) 코스 (시스템창성A) * 시스템디자인매니지먼트(SDM) 코스 (시스템창성B) * 지능사회시스템(PSI) 코스 (시스템창성C) * [[자연과학대학|이학부]] * [[수학과]] * [[컴퓨터공학과|정보과학과]] * [[물리학과]] * [[천문학과]] * [[지구환경과학과|지구혹성물리학과]] * [[환경과학|지구혹성환경학과]] * [[화학과]] * 생물화학과 * [[생물학과]] * 식물학 코스 * 동물학 코스 * 인류학 코스 * 생물정보과학과 * [[농과대학|농학부]] * 응용생명과학 과정 * 생명화학·공학 전공 * 응용생물학 전공 * 산림생물과학 전공 * 수권생명과학 전공 * 동물생명시스템과학 전공 * 생물소재화학 전공 * 환경자원과학 과정 * 녹지환경과학 전공 * 산림환경자원과학 전공 * 목질구조과학 전공 * 생물·환경공학 전공 * 농업·자원경제학 전공 * 필드과학 전공 * 국제개발 농학 * [[수의과대학|수의학 과정]] * [[수의학과|수의학 전공]] (6년제 과정) * [[약학대학|약학부]] * 약학과 (6년제 과정) * 약 과학과 * [[의과대학|의학부]] * 의학과 (6년제 과정) * 간호학과 (보건학 및 간호학 전공) * College of Design 2026년 신설 예정. 이는 도쿄대학이 1958년 약학부를 유치한 후 거의 70년만에 신설 학부를 설립한 것이다.[*참고 2026년 가을부터 신입생을 위한 입학시험이 치뤄지며, 그 다음해 가을에 개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문부과학성의 인가가 필요하기 때문에 2028년 이후로 개강하는 변동가능성이 존재한다. [[https://www.u-tokyo.ac.jp/content/400261860.pdf|도쿄대학 공식 안내문.]]]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전체 대학원 리스트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87fc3><nopad> [[파일:대학원.png|width=100%]] || || 도쿄대학의 대학원 (15개) || * 인문사회계 연구과 * 기초문화 연구 전공 * 일본문화 연구 전공 * 아시아문화 연구 전공 * 구미문화 연구 전공 * 사회문화 연구 전공 * 문화자원학 연구 전공 * 한국조선문화 연구 전공 * 교육학 연구과 * 종합 교육과학 전공 * 기초교육학 전수 * 기초교육학 코스 * 교육 사회과학 전수 * 비교 교육 사회학 코스 * 생애학습 기반 경영 코스 * 대학 경영・정책 코스 * 심신 발달과학 전수 * 교육 심리학 코스 * 임상 심리학 코스 * 신체 교육학 코스 * 학교교육 고도화 전공 * 교직 개발 코스 * 교육내용 개발 코스 * 학교 개발 정책 코스 * 법학정치학 연구과 * 종합 법정 전공 * 법조 양성 전공 (법과대학원) (전문직 학위 과정) * 경제학 연구과 * 경제이론 전공 * 현대경제 전공 * 경영 전공 * 경제사 전공 * 금융 시스템 전공 * 종합문화 연구과[* 한자 総合를 그대로 [[한국 한자음]]으로 읽어 '''총'''합문화 연구과라고 하기도 한다.] * 언어정보과학 전공 * 초역문화과학 전공 * 지역문화연구 전공 * 국제사회과학 전공 * 광역과학 전공 * 생명환경과학계 * 상관기초과학계 * 광역시스템과학계 * 이학계 연구과 * 물리학 전공 * 천문학 전공 * 지구행성과학 전공 * 화학 전공 * 생물과학 전공 * 공학계 연구과 * 사회기반학 전공 * 건축학 전공 * 도시공학 전공 * 도시계획 코스 * 도시 환경공학 코스 * 도시 지속재생학 코스 (석사) * 기계공학 전공 * 정밀공학 전공 * 항공우주공학 전공 * 전기계 공학 전공 * 전기전자공학 코스 * 융합 정보학 코스 * 물리공학 전공 * 시스템 창성학 전공 * 재료공학 전공 * 응용화학 전공 * 화학시스템 공학 전공 * 화학 생명공학 전공 * 첨단학제 공학 전공 (박사) * 원자력 국제 전공 * 바이오 엔지니어링 전공 * 기술 경영 전략학 전공 * 원자력 전공 (전문직 학위 과정) * 농학생명과학 연구과 * 생산환경 생물학 전공 * 응용 생명화학 전공 * 응용 생명공학 전공 * 산림과학 전공 * 수권 생물 과학 전공 * 농업자원 경제학 전공 * 생물 · 환경공학 전공 * 생물 재료과학 전공 * 농학 국제 전공 * 생물권 시스템학 전공 * 응용 동물과학 전공 * 수의학 전공 (4년제 박사 과정) * 의학계 연구과 * 분자세포 생물학 전공 (4년제 박사 과정) * 기능생물학 전공 (4년제 박사 과정) * 병인 · 병리학 전공 (4년제 박사 과정) * 생체 물리 의학 전공 (4년제 박사 과정) * 뇌신경 의학 전공 (4년제 박사 과정) * 사회의학 전공 (4년제 박사 과정) * 내과학 전공 (4년제 박사 과정) * 생식 · 발달 · 노화 의학 전공 (4년제 박사 과정) * 외과학 전공 (4년제 박사 과정) * 건강 과학 · 간호학 전공 * 국제 보건학 전공 * 의과학 전공 (석사 과정) * 공공 건강 의학 전공 (보건 대학원) (전문직 학위 과정) * 약학계 연구과 * 약 과학 전공 * 약학 전공 (4년제 박사 과정) * 수리과학 연구과 * 수리과학 전공 * 수리대수학 대강좌 * 기초해석학 대강좌 * 대역기하학 대강좌 * 수리구조론 대강좌 * 수리해석학 대강좌 * 이산수리학 대강좌 * 신영역창성과학 연구과 * 기반과학 연구계 * 물질계 전공 * 첨단에너지 공학 전공 * 복잡 이공학 전공 * 생명과학 연구계 * 첨단 생명과학 전공 * 메디컬 게놈 전공 * 정보 생명과학 전공 * 환경학 연구계 * 자연 환경학 전공 * 해양기술 환경학 전공 * 환경 시스템학 전공 * 인간 환경학 전공 * 사회문화 환경학 전공 * 국제 협력학 전공 * 정보이공학계 연구과 * 컴퓨터과학 전공 * 수리 정보학 전공 * 시스템 정보학 전공 * 전자 정보학 전공 * 지능기계 정보학 전공 * 창조 정보학 전공 * 정보학환 · 학제정보학부 * 정보학환 * 학제정보학권 * 사회정보학권 * 학제정보학부 * 학제정보학 전공 * 문화・인간 정보학 코스 * 사회 정보학 코스 * 첨단 표현 정보학 코스 * 종합 분석 정보학 코스 * 아시아 정보사회 코스 * 생물 통계 정보학 코스 * 정보학환 교육부 * 공공정책 대학원 (공공정책학 연계 연구부 · 교육부) * 공공정책학 연계 연구부 * 공공정책학 교육부 * 공공정책학 전공 (공공정책 대학원) (전문직 학위 과정) * 법 정책 코스 * 공공관리 코스 * 국제 공공정책 코스 * 경제 정책 코스 * 국제프로그램 코스 * 캠퍼스 아시아 코스 }}}||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