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도기 보나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문법 == 도기 보나의 문법은 양이 적고 간단한 편이다. 다만 단어가 넓은 뜻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문법의 단순함은 화자가 문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의미를 명확히 하도록 유도하며, 이는 도기 보나 소통 방식의 중요한 특징이다. '비예'라는 사람(jan Pije)이 만든, 비표준이지만 초기에 거의 표준에 준하는 영향력을 가졌던 문법 해석이 존재하는데, 손야가 정립한 표준 문법보다도 먼저 만들어져서 더 전통적인 것으로 간주될 뿐만 아니라 쓰는 어휘마저 약간의 차이가 있다.[* 표준 문법과의 차이는 [[https://m.blog.naver.com/sideorder/222130078167]]에 정리되어 있다.] * 도기 보나의 복합어는 뒤에서 앞으로 꾸민다. 예시: mi mute mije(나 + 여럿 + 남성) "남성인 우리들"로 해석될 수 있다. 예시: tomo sina(집 + 너) "너의 집" * 뒷단어가 앞단어를 꾸미는데, 꾸밀 뒤 단어가 2개 이상일 경우, 그 사이에 pi 를 넣어서 혼란을 방지한다. 예: a b pi c d 는 우리말로, (d한 c)의 (b스러운 a) 라고 할 수 있다. 예: kili mute pi mije suli(과일/야채 + 여럿 + pi + 남성 + 큰)는 "남자 어른의 여러 과일" 로 해석될 수 있다. * mi(나)/sina(너)를 제외한 모든 주어는 뒤에 li라는 주어 구분자가 배치 되고, 나머지 문장이 뒤따른다. 예시: mi suli. 나는 크다. sina lili. 너는 작다. 예시: ona li suli. 그/그녀 + 는(li) + 크다. 예시: mi mute li suli. 나 + 여럿 + 는(li) + 크다. "우리는 크다." * 타동사 뒤에 목적어가 오기 전에 그사이에 목적격 구분자 e 가 배치된다. 예: mi moku e ni. 나 + 이것 + 을(e) 먹는다 * 상황/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어구를 표현할 때, la를 구분자로 넣는다. la 앞에 있는 것이 문장이든 어구든 상관없이 그것은 어떤 상황이나 조건을 설명하는 어구이고, 실제 문장은 그 뒤부터 시작된다. 예: tenpo pini la mi pali e ni. 시간 + 끝난 + la(부사) + 나 + 하다 + e (목적) + 그것/이것 "과거에 나는 그걸 했다." * 호격/명령어에는 o 를 쓴다. 누구누구야 라고 호출할 때, o를 뒤에 붙이거나, 무엇무엇 해 줘라고 명령어를 말할 때 명령 동사 앞에 o 를 붙인다. 예: jan San o 존(John)아! 예: o moku e ni. 이것 + 을(e) + 먹어 + 봐(o) * 감탄사 조사 a 가 맨 뒤에 붙을 수 있다. 예: pona a! 아름답구나! * AND/OR 로 en과 anu가 있다. en과 anu 앞뒤에는 호응이 맞는 명사구가 올 수 있다. 예: pona anu seme 좋아 아니면 뭣? 예: soweli lili en kala wawa 짐승(soweli) + 작은 + 그리고(en) + kala(물고기) + 힘센 * 하나의 주어에 2개 이상의 서술어가 있을 경우, 주어/술어 구분자인 li를 한번 더 쓰고 그 뒤에 술어를 붙인다. 예: mi suli li wawa 나는 크기도 하고, 힘세기도 하다. 주어가 mi(나)/sina(너)일 때는 주어/술어 구분자 li가 생략되어 있으므로, mi 다음에(li)가 있는 것이나 다름없다. 두번째 li는 같은 주어에 대해서 다른 술어를 계속 덧붙인다는 의미이다. 예: mi mute li kama li kalama. 우리(mi mute)는 온다.(kama) 그리고(li) 소리를 낸다.(kalama) * 유사하게 pi 역시 두번 이상 붙일 수 있다. 예: a pi b pi c는 b의 a 그리고 또한 c의 a라는 식으로 해석된다. 예: lawa pi jan mute pi soweli olin 많은 사람(jan mute의 리더십(lawa)임과 동시에 사랑을 가진 짐승(soweli olin)의 리더십(lawa)이기도 하다. * 복합 문장을 만들 때는, 작은 문장 두개로 나눈 다음, 앞 문장에서 뒷 문장 전체를 가리키며 ni 를 쓸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런 식이다. "난 이렇게 말한다 : 너는 너의 집에 간다."(나는 네가 너의 집에 간다고 말한다) 예: mi toki e ni: sina tawa tomo sina. 나 + 말하다 + 을(e) + 이것/그것 : 너 + 향하다 + 집 + 너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