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도기 보나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어원 === 소냐가 직접 밝힌 어원과 [[윅셔너리]]에 따르면 137개 단어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https://archive.is/IjHFC|제작자가 밝힌 도기 보나의 어원]] * [[인도유럽어족]] 82개 * [[게르만어파]] 42개 akesi, ale, ante, awen, en, ilo, insa, jaki, jelo, kama, ken, kepeken, kulupu, lape, leko, loje, linja, lon, lukin, mi, monsuta, mun, nanpa, open, pakala, pi, pilin, pini, poki, sama, selo, sitelen, suno, supa, suwi, taso, tawa, toki, tu, wan, weka, wile * [[로망스어군]] 22개 alasa, anpa, kokosila, kule, kute, la, len, lete, li, mani, moli, monsi, musi, mute, oko, pali, pan, pipi, pona, telo, tenpo, waso * [[슬라브어파]] 12개 lawa, luka, nasin, noka, olin, ona, palisa, poka, sijelo, tomo, uta, utala * [[그리스어]] 4개 epiku, lanpan, meso, sike * [[켈트어파]] 1개 laso * [[힌디어]] 1개 namako * [[우랄어족]]의 [[핀란드어]] 16개 ike, kala, kasi, kijetesantakalu, kin, kiwen, lipu, ma, mije, nena, nimi, pimeja, sina, suli, walo, wawa *[[중국티베트어족]]의 [[한어파]] 10개 ja, jo, ko, kon, ni, seme, sin, sinpin, tan, tonsi * [[카르트벨리어족]]의 [[조지아어]] 9개 ala, anu, kili, o, seli, sewi, soko, sona, soweli * [[니제르콩고어족]] 3개 * [[스와힐리어]] 2개 kipisi, pana[* pana가 스와힐리어에서 왔다고 친 경우에 2개다. 하지만 윅셔너리에서는 pana가 [[핀란드어]]에서 왔다고 본다.] * 아칸어 1개 esun[* edwamu를 소냐가 택시에서 잘못 들은 단어라고 추정하고 있다. edwamu와 형태가 너무 달라서 가장 가까울 추측일 뿐이다. 소냐가 택시에서 아칸어 화자가 말하는 것을 들었다고 밝히기 전까진 모두 [[프랑스어]]의 échange(에샹쥬)에서 왔을 것이라 믿고 있었다.] * [[톡 피신]] 고유어 2개 * [[영어]] 이름 Mary에 영향을 받은 meli (Mary의 궁극적인 어원은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 속하는 [[히브리어]] מִרְיָם (miryām)[* 또는 아람어 מַרְיָם (maryām)]이다) * nasa[* '이상하고, 엉뚱하며, 특이한' 또는 '술에 취한' 상태. 어원은 토크 피신(Tok Pisin)의 'nasau'(어리석은)이다. 이 어원이 특정 사전에만 드물게 기록되어 있어 유령 단어로 오해를 샀다. 초기 저서인 ''pu''에서는 '어리석은(foolish), 미친(crazy)'이라는 의미도 포함했으나, 이후 공식 사전인 ''ku''에서 '엉뚱한(silly)'으로 의미를 명확히 수정했다. 따라서 '바보같다'는 식의 부정적인 의미보다는 중립적으로 '특이하다'는 뉘앙스가 강하다.] * [[튀르크어족]]의 [[튀르키예어]] 2개 jasima, kalama * [[일본어족]]의 [[일본어]] 1개 moku * [[알그어족]]의 [[오지브웨]]어 1개 misikeke *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Ramoaaina어 1개 lili * [[로지반]] 1개 lupa[* [[영어]] 단어 loop에 영향를 받은 단어다.] * [[에스페란토]] 고유어 1개 ijo * 세계 공통 5개 a, n, mama, mu, unpa[* 소냐 본인에 따르면 [[영어]] 단어 oomph에 영향을 받은 단어인 것 같다고 한다.] * 선험 어휘 3개 e, ku, pu 이러한 어원 구성은 창작자인 손야 랑의 언어적 배경을 반영하는 동시에, 특정 문화권에 치우치지 않으려는 의도를 보여준다. 하지만 도기 보나의 목표는 세계 언어를 인구 비례에 맞게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 발음이 쉽고 보편적인 개념을 가진 단어들을 찾는 것이었다. 도기 보나의 제1 목표는 전 세계 언어를 공평하게 대표하는 [[https://ko.wikipedia.org/wiki/%EA%B5%AD%EC%A0%9C%EB%B3%B4%EC%A1%B0%EC%96%B₩5589.220|국제보조어(IAL)]]를 만드는 것이 아니었으며, 목표는 '''①'''최소한의 어휘, '''②'''누구나 쉽게 발음할 수 있는 음운 구조, '''③'''한 개인의 생각을 정리하는 도구였다. 즉, 그 결과 창작자는 자신이 잘 알고 있고 발음이 단순한 여러 언어에서 단어를 가져오되, 의도적으로 핀란드어(우랄어족), 조지아어(카르트벨리어족), 중국어(중국티베트어족), 톡 피신 등 다양한 어족의 어휘를 포함시켜 문화적 보편성을 추구했다.[* 언어가 특정 문화권에 완전히 종속되지 않도록 하려는 노력이라고도 볼 수 있겠다.] [[인도유럽어족]] 기원 단어 중에 [[에스페란토]]에서 왔을 것이라고 추정되는 단어가 꽤 있다. mi(나), ijo(someting, 'io'), ilo(tool, 'ilo'), oko(눈, 'okulo'), pali(하다, 'fari'), suno(태양, 'suno'), sama(같은, 'sama'), pona(좋은, 'bona'), tenpo(시간, tempo), tomo(집, 'domo'), tu(둘, 'du'), mute(많은 'multe'), selo(껍질, 'ŝelo'), supa(표면, 'surfaco'), musi(재미, 'amuzo')[* 윅셔너리 - 에스페란토에서 온 단어 모음: [[https://en.wiktionary.org/wiki/Category:Toki_Pona_terms_derived_from_Esperanto|]]] 동아시아에서 익숙한 [[한자어]]들도 꽤 있다. 표준 중국어에서 온 jo(가지다, yǒu有), kon(공기, kōngqì,空氣), seme(어떤/무엇,shenme什么), [[월어]]애서 온 jan(사람, jan人), ko(고형물, gou1固) 등 10가지다. 파푸아뉴기니에서 사용하는 [[톡 피신]]에서 온 단어들도 꽤 있다. 실제로는 두 단어 빼고 전부 [[인도유럽어족]]에서부터 출발한 것이다.[* 윅셔너리 - 에스페란토에서 온 단어 모음: [[https://en.wiktionary.org/wiki/Category:Toki_Pona_terms_derived_from_Tok_Pisin|]]] insa (inside), kama (come), ken (can), lili (little), meli (woman), nanpa (number), pi (of), pilin (feeling), pini (finish), poki (containing), suli (superior/large), taso (that's all), toki (talk)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