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데이노수쿠스(ARK: Survival Ascended)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성능 및 특징 == {{{#!wiki style="width: 100%; text-align: center; font-size: .9em" ||<-2><tablealign=center><tablewidth=600px><tablebordercolor=#152839><tablebgcolor=#152839><tablecolor=#06adf0><width=50%> '''1레벨 기준 기본 능력치''' ||<-4><width=50%> '''스탯 증가율 및 보너스''' || ||<width=15%> '''스탯 요소''' ||<width=15%> '''기본 능력치''' ||<-2><width=25%> '''스탯 증가율 ({{{#af3030 야생}}}/{{{#599f33 조련}}})''' ||<width=25%> '''{{{#599f33 조련 시 보너스}}}''' || ||[[ARK: Survival Evolved/스탯#체력|[[파일:ARKHealth.png|height=16]] {{{#06adf0 '''체력'''}}}]] ||<colbgcolor=#fff,#000><colcolor=#000,#fff>1000 ||<colbgcolor=#fff,#000><colcolor=#af3030>+200 ||<colbgcolor=#fff,#000><colcolor=#599f33>+5.4% ||<colbgcolor=#fff,#000><colcolor=#000,#fff>+0.091 || ||[[ARK: Survival Evolved/스탯#기력|[[파일:ARKStamina.png|height=16]] {{{#06adf0 '''기력'''}}}]] ||300 ||+30 ||+10% || || ||[[ARK: Survival Evolved/스탯#음식|[[파일:ARKFood.png|height=16]] {{{#06adf0 '''음식'''}}}]] ||3000 ||+300 ||+10% || || ||[[ARK: Survival Evolved/스탯#무게|[[파일:ARKWeight.png|height=16]] {{{#06adf0 '''무게'''}}}]] ||600 ||+12 ||+4% || || ||[[ARK: Survival Evolved/스탯#근접공격력|[[파일:ARKMeleeDamage.png|height=16]] {{{#06adf0 '''근접공격력'''}}}]] ||55[*물기] 70[*꼬리치기] '''425'''[*기가바이트] ||+2.75/+3.5 ||+1.7% ||+11.2% x 22% || ||[[ARK: Survival Evolved/스탯#이동속도|[[파일:ARKSpeed.png|height=16]] {{{#06adf0 '''이동속도''' }}}]] ||100% ||N/A ||+1% ||+60% || ||[[ARK: Survival Evolved/스탯#마비수치|[[파일:ARKTorpidity.png|height=16]] {{{#06adf0 '''마비수치''' }}}]] ||1350 ||+81 ||N/A ||+0.5 || }}}{{{#!wiki style="width: 100%; text-align: center; font-size: .9em" ||<tablealign=center><tablewidth=600px><tablebordercolor=#152839><tablebgcolor=#152839><tablecolor=#06adf0><width=15%><|2> '''이동 방식''' ||<-2><width=35%> '''기본 속도''' ||<-2><width=35%> '''질주 속도''' ||<width=15%><|2> '''소모 기력''' || || '''{{{#af3030 야생}}}''' || '''{{{#599f33 조련}}}''' || '''{{{#af3030 야생}}}''' || '''{{{#599f33 조련}}}''' || ||<colbgcolor=#152839><colcolor=#06adf0> '''육상''' ||<rowbgcolor=#fff,#000><rowcolor=#000,#fff>육상 야생 ||육상 조련 ||육상 야생 ||육상 조련 ||[[파일:ARKStamina.png|height=16]] -기력 || || '''수중''' ||<rowbgcolor=#fff,#000><rowcolor=#000,#fff>수중 야생 ||수중 조련 ||수중 야생 ||수중 조련 ||[[파일:ARKStamina.png|height=16]] -기력 || || '''공중''' ||<rowbgcolor=#fff,#000><rowcolor=#000,#fff>공중 야생 ||공중 조련 ||공중 야생 ||공중 조련 ||[[파일:ARKStamina.png|height=16]] -기력 || }}} 데이노수쿠스는 커다란 덩치에 걸맞게[*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ark&no=60827|크기로는 락드레이크와 비빈다.]]] 기본 스탯 또한 렉스에 맞먹는 강한 생물이다. 여기에 후술할 기가바이트까지 있기 때문에 덩치 큰 사르코 정도로 생각하고 덤볐다간 큰코다칠 수 있다. 데이노수쿠스의 특수 능력은 4가지로, 생물들 중에서는 많은 편이다. * '''[[기가바이트|기가 바이트]](Giga Bite)''' 우클릭으로 발동 가능하다. 우클릭을 꾹 누를 시 아래에 충전 게이지가 뜨면서 데이노수쿠스가 입을 벌리는데, 꾹 누르다 놓으면 앞으로 달려드는 모션과 함께 일반 공격보다 훨씬 높은, __425 x 충전% x 근공 스탯 만큼의 대미지__와 함께 출혈을 일으키게 된다. 쿨타임은 15초고, 충전이 40% 미만일 때 우클릭을 놓으면 그냥 취소된다. 또한 이 공격으로 석재 구조물에도 대미지를 줄 수 있다. 해당 출혈 효과는 대상이 움직일 때만 체력을 깎는 특이한 방식의 출혈로, 이 출혈이 걸린 상태에서 움직일 경우 __전체체력의 0.5% x 1.35(질주 시 1.75) 만큼의 틱 데미지__를 15초간 초당 1회식 입힌다. 탑승한 생물이 체력이 높은 생물이라면 가만히만 있으면 다른 출혈에 비해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어서 생각보다 빠져나가기는 쉬운 편이지만 플레이어나 소형 생물, 어중간한 체력을 가진 생물이라면 높은 대미지를 뚫고 기적적으로 살더라도 후속타를 맞아 죽을 수도 있고, 움직일 때 출혈로 인해 도망치는 것도 안되는 진퇴양난의 상황이 벌어지게 된다. 이볼브드의 모드 시절 공식위키에서는 이동을 자주하는 보스 아레나에 데려가서 이걸 쓰면 좋다고 서술되어 있기는 하다. * '''꼬리치기''' 육상에서 C키로 발동 가능하며, 몸까지 틀어가며 꼬리를 크게 휘두른다. 해당 공격에 맞은 대상은 최대 스테고 정도의 크기만한 생물에게 큰 넉백과 스턴을 걸리게 한다. 5초 정도의 쿨타임이 있으며, 수중에선 할 수 없다. * '''제자리 회전''' 스페이스바로 발동 가능하다. 문자 그대로 스페이스바를 누르고 움직일 시 제자리에서 회전을 하게 된다. 또한 사르코처럼 뒤나 옆을 보고 하는 물기 공격으로 몸을 틀어서 방향을 바꿀 수도 있다. * '''포효''' Ctrl로 발동 가능하며, 아무런 효과 없는 단순 연출용. 데이노수쿠스는 트리케라톱스와 유사하게 '''머리에 50% 대미지 감소''' 효과가 붙어있다. ASE/모드 시절에는 원거리 무기만 부위별 피해 감소 및 증가가 적용되었고 원거리 무기로 데이노수쿠스를 처리할 일이 별로 없어 잘 안 알려진 사실이지만, 근접 공격도 부위별 피해 증가 및 감소를 적용받는 ASA에선 나름 알려진 사실이다. 이 외에도 두꺼운 가죽질 외형을 반영한 것인지 데이노수쿠스는 머리와 별개로 몸에 다음과 같은 무기들에 피해를 감소해 받는다. {{{#!wiki style="width: 100%; text-align: center; font-size: .9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00px><tablebordercolor=#152839><tablebgcolor=#152839><tablecolor=#06adf0> '''무기''' || '''적용되는 피해량 감소''' || ||<colbgcolor=#152839><colcolor=#06adf0> '''돌화살, 마비화살, 마비다트, 충격마비다트, 마취작살''' ||<rowbgcolor=#fff,#000><rowcolor=#000,#fff> 65% || || '''철 화살''' ||<rowbgcolor=#fff,#000><rowcolor=#000,#fff> 74% || || '''자동포탑, 테크포탑, 미사일, 추적 미사일, 테크 소총, 대포알 ''' ||<rowbgcolor=#fff,#000><rowcolor=#000,#fff> 10% || || '''중형포탑''' ||<rowbgcolor=#fff,#000><rowcolor=#000,#fff> 9.03% || || '''투석기 터렛''' ||<rowbgcolor=#fff,#000><rowcolor=#000,#fff> 80% || || '''미니건 터렛''' ||<rowbgcolor=#fff,#000><rowcolor=#000,#fff> 8.83% || || '''작살''' ||<rowbgcolor=#fff,#000><rowcolor=#000,#fff> 33.34% || || '''테크 안장''' ||<rowbgcolor=#fff,#000><rowcolor=#000,#fff> 16.09% || || '''돌 곡괭이, 돌 도끼, 창, 철제 낫, 검, 전기톱, 삽, 투창(근접), 부메랑(근접)''' ||<rowbgcolor=#fff,#000><rowcolor=#000,#fff> 87.5% || || '''투창(원거리), 부메랑(원거리)''' ||<rowbgcolor=#fff,#000><rowcolor=#000,#fff> 66.67% || || '''새총''' ||<rowbgcolor=#fff,#000><rowcolor=#000,#fff> 71.42% ||}}} 참고로 이 두 저항은 중첩된다. 즉, 머리에 철제 화살을 맞출 경우 머리 뎀감 50%와 자체 뎀감 74%가 곱연산으로 같이 적용된다. 다만 __머리는 모든 피해가 절반 감소지만, 몸의 피해 저항은 상기한 무기들에 한정__되므로 생물로 근접전을 하면 몸통 쪽은 온전히 피해를 받는다. ASA에선 정식 추가 직전에 출시된 [[샤스타사우루스(ARK: Survival Ascended)]]에게서 영향을 받은 것인지 C키(육지에서 꼬리치기)로 수면 수영이나 자유 수영을 선택할 수 있다. 수면 수영을 선택할 경우 말 그대로 잠수를 못하고 수면에서 수영하는 상태로 고정되어 여차할 때 등 위에서 임시 뗏목처럼 서 있을 수 있다. 자유 수영을 선택하면, 사르코처럼 수면과 평행하게 잠수하고 수영하던 ASE와 달리, 수중 생물마냥 위아래를 바라보며 자유롭게 잠수하거나 떠오를 수 있다. 사르코와 동일하게 데이노수쿠스는 피라냐로부터 공격을 받지 않는다. 아주 가끔 몇방 물긴 하지만, 그래도 금방 도망간다. 특이사향으로, 데이노수쿠스는 평범한(?) 대형 육식 생물임에도 불구하고 야생에서 그 누구의 선공도 받지 않는다. '''야생 기가노토나 카르카도 데이노수쿠스를 먼저 공격하지 않는다.''' 이를 이용해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ark&no=60446|테크 동굴을 날먹했다는 후기도 있다.]] 상당한 덩치에 비해 히트박스는 낮은 체고 덕에 정직해서 못 들어갈 것 같은 곳도 잘만 비집고 들어가기에 일부 동굴에선 공략에 사용하는게 가능하다.[* 아일랜드의 사냥꾼의 유물 동굴에선 유물이 있는 곳 바로 앞까지는 비비기로 뚫고 진입하는 게 가능하다. 다만 유물 방의 입구 부분에서 끼기에 잠시 내리는 게 좋다.] 또한 상술한 누구에게도 선공받지 않는 기적의 취급 덕에 아라네오나 펄모노스콜피어스 등이 나오는 던전에서는 시비가 걸리지 않기 때문에 방해되는 것만 처리하고 별 피해 없이 유물만 먹고 빠져나오는 것이 가능하다. 이 매우 정직하다못해 살짝 겸손한 히트박스 덕에 교배나 보스전 입장할 때 정렬해놓는게 다른 대형 생물들에 비해 편하고 공간을 덜 차지한다. 데이노수쿠스의 자체무게는 300이다. 그러나 400까지 들어올릴 수 있는 케찰이나 그 이상인 리니오그나타로도 집을 수 없고, 투소테우티스만이 데이노수쿠스를 붙잡을 수 있다. 버그인지 의도된 사항인지는 불명. --얘보다 2배는 큰 아크로나 데이노테리움도 리니오한테는 붙잡히는데...?-- 데이노수쿠스의 알은 우수한 키블을 만드는데 쓰인다. 수정란은 부화하는데 30~34도의 온도가 필요하며, 1배율 기준 부화하는데 2시간 반, 다 클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47시간 17분 16초로 크기에 비해 빨리 크는 편이다. 여담으로 처치 시 고기나 가죽, 케라틴 뿐만 아니라 공물도 드랍하는데, '''사르코수쿠스 가죽(Sarcosuchus Skin)'''을 드랍한다. 분명히 다른 종이지만 둘이 비슷한 악어같은 생물이라 드랍하게끔 만든 것으로 보인다. 물론 기존에도 [[리오플레우로돈]]을 죽이면 메갈로돈의 이빨과 [[어류|생선]]살을 드랍한다는 사례가 있긴 하다.--여긴 진짜 왜일까--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