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데아이몬: 화과자 이야기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작중 등장 화과자 일람 == 같은 종류의 화과자라도 계절에 따라 형태와 이름이 달라진다. 그리고 제품명이 따로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작중에서 중요하게 소개된 제품명이나 대략적인 종류를 기재함. * '''[[밤만주]]''' 흔히 아는 그 밤만주가 맞으며 나고무가 활동했던 밴드의 이름도 이것에서 따왔다. * '''사쿠라 [[모찌]]''' 후술의 사쿠라 모찌와는 다르게 잎사귀로 싸지 않은 것. 찹쌀떡 위에 절인 벚꽃을 장식했다. 멤버들의 해산 제의에 풀죽어있던 나고무에게, 아버지의 입원 소식과 함께 전해져 귀향을 결심하게 했다. * '''쑥 서여[[만쥬]]''' 산마[* 서여(薯蕷)가 산마를 뜻한다.]의 전분을 갈아 만든 반죽으로 만든 것. 이츠카에게 앙심을 품은 진상 손님이 [[노쇼|100개나 주문만 해놓고 잠적]]해버렸었다. 책임을 느낀 이츠카가 어떻게든 길거리에서라도 팔아 손해를 메워보려 하지만 잘 안되다가 밤탈을 뒤집어쓰고 나타난 나고무의 도움으로 완판한다. * '''킨톤''' 체로 내린 소보로 형태의 반죽을 앙금에 붙혀 모양을 내는 과자. 봄에는 유채꽃, 여름에는 수국, 가을에는 코스모스나 단풍 등 계절에 따라 이미지를 바꾼다. 작중에는 크리스마스 트리 모양으로 만든 것도 있다. * '''단풍''' 종류는 양갱. 여장한 사키에게 반한 손님에게 정중히 거절하는 의미로 선물했다. 단풍의 꽃말이 "사양", "인내", "소중한 추억"이라고. * '''와산본''' 고급 설탕의 이름이기도 하며 그것으로 만든 과자(=라쿠간)를 칭하기도 한다. 한국의 [[다식]]처럼 여러 무늬가 새겨진 틀에 넣어 굳혀 만든다. * '''미타라시 [[당고]]''' * '''와카아유'''[* 어린 [[은어(어류)|은어]].] 6~7월의 화과자. 피는 도라야끼의 것과 비슷한데 타원형으로 굽고, 속을 채워 반으로 접은 다음 달군 쇠꼬챙이로 지져서 눈이나 지느러미 모양을 그려 물고기 모양으로 만든 과자. [[간토|관동]]에서는 팥 앙금으로 속을 채우는데, [[간사이|관서]], 특히 교토에서는 규히[* 찹쌀가루를 쪄서 설탕, 물엿등을 넣고 졸여 만든 과자.]만 넣는다고. * '''팥 찰떡''' 토왕의 축일[* 토왕은 땅의 기운이 왕성해 지는 시기로, 각 계절이 시작하는 [[입춘]], [[입하]], [[입추]], [[입동]]전의 18일 기간을 카르킨다. 그중 "토왕의 축일"은 보통 여름 토왕을 가리키며 우리나라에서 삼복 더위에 삼계탕을 먹듯이 일본에서는 장어 요리를 챙겨먹는등의 풍습니 있다.]에 여름 더위를 식히기 위한 공물로 자주 먹는다. * '''와라비모찌'''(고사리떡) [[미즈신겐모찌]]의 기원. 요새는 보통 네모나게 자른 떡을 콩가루나 시럽을 곁들여 먹거나하지만, 교토의 전통적인 고사리떡은 속에 팥 앙금을 넣은 동그란 찹쌀떡 같은 형태였다고한다. 녹송에서는 전통적인 형태로 만든다. * '''오쿠리당고''' [[오봉]]의 마지막날 먹는 고물을 올리지 않은 하얀 당고. 다시 저승으로 돌아가는 길의 식량으로 바친다는 의미도 있다고. 작중에는 오쿠리당고 대신 칡만쥬를 먹었다. * '''보타모찌'''(牡丹餅) = '''오하기'''(お萩餅) 멥쌀 + 찹쌀 반죽에 앙금을 넣어서 만드는 [[찹쌀떡]]. 계절에 따라 다르게 부른다. 봄에는 보타모찌(모란떡), 가을에는 오하기(싸리). * '''츠키미 당고''' 음력 8월 15일(=중추)에 달을 구경하며 먹는 떡. 보통 서브컬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하얗고 동그란 당고는 [[간토|관동]]식으로, 달의 모양을 본 뜬것. [[간사이|관서]]에서는 토란의 모양을 본떠 물방울 형태의 떡으로, 겉에 팥소를 입히기도 하고, 하지 않기도 하는듯. 녹송도 팥소를 입히는 쪽인데[* 토란으로 치면 싹이나는 부분인 홀쭉한 곳만 약간 남기고], 팥소는 토란의 껍질을 의미하기도 하고 달을 가린 구름을 형상화 한 것이라 한다. 여담으로 [[시즈오카]]에서는 헤소모찌 형태[* 직역하면 배꼽 떡. 전체적으로는 둥글납작하고, 가운데가 움푹 들어간 형태이다.]로, [[니가타]]에서는 관동식 처럼 동그란 당고 속에 팥소를 넣는다고. * '''유자 양갱''' 유자를 사용해 만든 양갱. 태양의 힘이 가장 약해지는 동지에는 나쁜 기운이 붙기 쉬운데, 유자의 강한 향기가 그런것들을 물리쳐 준다는 속설이 있다고. 작중 녹송에서는 나무로 된 완전 아날로그식 압착기로 유자 즙을 짜는데, 나고무가 태어날 예정일이 [[동지]]였기 때문에 기념으로 구입했던것을 아직 사용하는 중. 여담으로 정작 나고무는 일주일 먼저 태어났고(12월 15일 생), 산부인과에서 퇴원하여 집으로 온것이 동지였다고 한다. * '''하나비라모찌''' 정월(1월)에 먹는 떡. 달게 조린 우엉과 된장 고명이 들어있다. * '''미개홍''' 만개하기 전의 매화를 모티브로 한 화과자. * '''시타모에''' 겨울에 땅속에서 움트기 시작한 새싹을 의미. 만쥬 종류로 추정되며 작중 그려진 녹송의 시타모에 단면 이미지는 삼색의 앙금이 지층처럼 되어있고, 속에 콩 같은 것으로 씨앗을 형상화 했다. * '''히치기리''' [[히나마츠리]] 때 먹는 떡. * '''[[타이야키]]''' * '''사쿠라 모찌''' 소금에 절인 벚나무 잎으로 감싼 분홍색 떡. 만드는 방식마다 이름이 있는데, 쵸우메이지(長命寺)는 얇게 편 찹쌀 반죽으로 앙금을 돌돌 만 전병 처럼 생겼고, 도우묘우지(道明寺)는 반죽으로 앙금을 완전히 감싸 겉에선 앙금이 보이지 않는다. 교토에서는 보통 도우묘우지 방식으로 만든다고. 겉을 감싼 잎은 먹어도 된다. * '''[[안미츠]]''' * '''[[도라야끼]]''' * '''호접''' 종류는 우이로(外郎)[* 멥쌀가루와 찹쌀가루를 섞어 찐 반죽을 사용한 과자. 앙금을 넣기도 하고, 안넣기도 하는데 찹쌀떡과 비슷한 식감.]. 흰 팥에 달걀 노른자를 섞은 앙금을 사용했고, 나비의 모습을 형상화 했다. * '''후지타미''' 등나무 꽃을 형상화 한 과자. 나고무 부모님의 연애담이 얽혀있는 과자다. * '''치마키''' 띠나 대나무 잎으로 말아 찐 찹쌀떡. 나쁜것을 물리친다는 의미로 단오날(일본의 단오는 양력 5월5일) 먹는 풍습이 있다. * '''카라고로모'''(唐衣) * '''우키쿠사'''(萍) 초여름의 별명인 "부평초"를 이미지화 한 과자. 작중 히이로가 일하는 '하치텐'에서는 말차 앙금을 사용하여 만들었다고. * '''미즈요캉'''(水ようかん) 물양갱. 일반 양갱보다 수분 함량이 많아 푸딩 같은 식감. * '''미나즈키'''(水無月) 삼각형의 우이로 위에 팥을 올린 떡. 원래는 6월 30일 여름의 궁중 행사에서 얼음을 사용하는데서 유래 되었는데, 민가에서는 얼음이 귀하다보니 대신 얼음을 형상화 한 우이로 떡을 사용하여 지금까지 내려온 것이라고. 팥은 건강과 장수를 기원하는 액막이의 의미로 더한 것이라 한다. * '''[[모나카]]''' * '''오니만쥬'''(鬼まんじゅう) 나고야 특산물. 작게 깍뚝썰기한 고구마를 밀가루와 반죽하여 찜통에 삶아낸 과자. 고구마가 울룩불룩 튀어나온 모습이 도깨비의 뿔과 방망이를 연상시킨다하여 이름 붙혀졌다고. * '''킨교쿠캉'''(錦玉かん) 팥 앙금이 들지 않고, 한천과 설탕으로 만든 투명한 양갱. * '''타케요캉''' [[죽통밥]]처럼 대나무 속에 재료를 넣어 만든 양갱. 녹송에서는 안만든다. 막혀있는 뒷 바닥에 구멍을 뚫은 다음 탁탁 털어 꺼내야 하는데, 격식 없는 자리에서는 보통 숨을 훅 불어 넣어 꺼낸다. 하지만 폐활량이 부족하면 한번에 꺼내기 힘들다나. * '''키세와타'''(着せ綿) 중양절(9월 9일)의 과자. 이름인 키세와타는 서리를 막기 위해 국화 꽃 위에 솜을 씌우는 것을 뜻한다. 중양절 전날 밤 국화 위에 솜을 올려놓고 다음날 새벽 이슬과 국화향이 배인 솜으로 몸을 닦으며 불로장수를 기원했다고 한다. 과자의 형상도 국화 꽃 모양의 과자 위에 하얀 킨톤등을 올려 솜을 형상화 한 모양. * '''한밤의 가을''' 다도회 이벤트를 위해 나고무가 고안한 과자. 양갱 종류로 추정된다. * '''치토세아메'''(千歳飴) [[시치고산]]을 기념하며 먹는 가락 엿으로, 보통 흰색, 붉은색 두 종류로 착색한다. * '''홍백만주''' (紅白まんじ) * '''조요만주'''(薯蕷まんじ) * '''산다화'''(山茶花) [[동백꽃]]을 형상화한 과자. * '''쿠즈유''' (葛湯) [[갈근탕]]의 일종인 화과자. 친구들과 스키 교실 체험 활동을 간 이츠카를 위해 나고무가 간식으로 만들어주었으며 안에 분홍색과 노란색의 아라레[* 작게 자른 찹쌀떡을 굽거나 튀겨서 만드는 화과자]을 넣었다. * '''카이츄시루코''' (懐中しるこ) 직역하면 주머니 [[단팥죽]]. 모나카의 일종인데 그대로 먹는게 아니고 과자를 그릇에 담고 뜨거운 물을 부어 먹는다. 속에든 팥소가 단팥죽 처럼 되며 외피는 쫄깃한 찹살 새알심 같은 느낌이 난다고.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데아이몬: 화과자 이야기, version=238, uuid=396815df-b54d-4b4a-a85a-ea21c4f00e17)]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