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단테(Project Moon 세계관)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기타 == * 모티브는 [[신곡]]의 작가이자 주인공인 [[단테 알리기에리]]. 림버스 컴퍼니의 모티브가 된 신곡에서 베르길리우스의 인도를 받아 지옥과 연옥을 여행했다. * 기억을 잃기 전의 단테가 데미안에게 "양 한 마리 그려주기로 했다는 점"과 7장 후일담에서 데미안이 단테에 대해 "하늘에서 떨어진 자"라고 언급한 것을 보아 [[어린 왕자]]의 등장인물 "조종사"도 모티브인 것으로 보인다. * 일반적으로 관리자라는 호칭으로 불리지만, [[파우스트(Project Moon 세계관)|파우스트]]와 [[로쟈(Project Moon 세계관)|로쟈]]는 단테라고 언급하며, [[료슈]]는 시계, [[히스클리프(Project Moon 세계관)|히스클리프]]는 시계 대가리나 형씨라고 부른다. 여담으로 반말을 하는 수감자와 존댓말을 하는 수감자의 비율은 딱 1:1이다. * 가챠 게임 주인공임에도 불구하고 이례적으로 이름이 정해져있다. 보통은 [[블루 아카이브|선생]]이나 [[소녀전선|지휘관]], [[우마무스메|트레이너]]처럼 이름이 없거나 잘 쳐줘도 [[여행자(원신)|아이테르/루미네]], [[후지마루 리츠카]]처럼 설정상 디폴트 네임만 있고 별도로 유저가 닉네임을 설정 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라 특이한 케이스. 똑같이 이름을 가진 케이스는 동년대에 출시된 [[리버스: 1999]]의 [[버틴]], [[takt op. 운명은 새빨간 선율의 거리를]]의 [[아사히나 타쿠토]] 정도가 있다. * 공식 홈페이지 내 숨겨진 문장[* 숨겨졌기보다는 실수로 삽입된 것으로 추정된다.]에서 단테가 그레고르에 관해 말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문장이 있다.[[https://m.dcinside.com/board/lobotomycorporation/822158|#]][[https://m.dcinside.com/board/lobotomycorporation/822193|#]] * 단테가 말할 때 나오는 째깍거리는 효과음은 단테의 감정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기도 한다. 긴장하거나 화나면 초침 소리가 빨라지고, 고통스럽거나 차분해지면 느려지며, 깜짝 놀라면 괘종시계의 땡 소리가 나는 등. 심지어 소리칠 때에는 기차 가스관 소리가 나온다. * 최상단 프로필 이미지에서[* 림버스 컴퍼니 1~2시즌 메인 화면이기도 하다.] 정처없이 달리는 버스 한가운데에 고고히 앉아있는 모습이 근엄 내지는 흑막의 분위기를 풍기는 데에 반해[* 때문에 게임 발매 이전 공식 트위터에 [[https://twitter.com/LimbusCompany_B/status/1550417490463047680/photo/1|개그 묘사]]가 올라오기 전엔 단테의 이미지가 현재와는 꽤나 달랐다.] 게임 내 스토리에서 보여주는 성격은 허당에 소시민적인 모습이라 프로필의 진실은 기억도 날아간 와중에 이상한 놈들한테 끌려와서 넋이 나간 상태라는 등, 자다 깨서 찍은 사진이라는 등 프로필 이미지와 성격의 괴리감에 대한 농담이 많다. * 이름이 단테인 데다가 붉은 코트 차림이라서 [[데빌 메이 크라이 시리즈]]의 [[단테(데빌 메이 크라이)|단테]]와 엮이기도 한다.[[https://twitter.com/akakalo12/status/1749404710820352354|1]], [[https://m.joyreactor.cc/post/5494723|2]] 그리고 [[Fate/Grand Order|페그오]]에서 [[단테 알리기에리(Fate 시리즈)|모티브가 같은 캐릭터]]가 출시하자 페그오와 엮이고 있다.[[https://www.pixiv.net/artworks/127903224|#]] * [[TV Tropes]]와 같은 영어권 팬덤에서는 모바일 가챠 게임의 전형적인 주인공의 안티테제라는 해석이 나왔다. 실제로 여러 부분이 기존 모바일 게임의 주인공과 대척점이기 때문이다. 이런 해석이 나온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완성형 주인공 ↔ 성장형 주인공 * 대체할 사람이 없는 인물 ↔ 언제나 대체 가능한 인물 * 적을 제외한 대부분의 등장인물에게 항상 칭찬받거나 존중받는 존재 ↔ 칭찬은커녕 욕이나 무시받는 게 일상인 존재 * 세계관 내에서 유일무이할 정도로 특별하거나 뛰어난 능력을 가졌고 능력의 페널티가 없음 ↔ 세계관 내에서 특별하긴 하나 유일무이한 능력까지는 아니며 상당한 페널티도 존재함 * 처음부터 높은 자리에서 시작함 ↔ 사실상 밑바닥에서 시작함 * 전투 등의 임무에 직접 나서지 않고 멀리서 지휘를 하기에 부상을 잘 입지 않음 ↔ 전투에 직접 나서서 지휘하기에 부상을 입는 경우가 종종 있음 * 폭풍의 거울 업데이트 이후 환상체 선택지에서 전투에 돌입할 수 있는 선택지들이 추가되었는데, 그 선택지들이 하나같이 환상체들에게 시비를 걸거나, 그들에게 있어 소중한 것을 갈취하는 내용인지라[* kqe-1j-23의 모니터에 바보라고 적질 않나, 걷는 진주에게 녹색물질을 던지질 않나, 놋쇠 황소의 앞에서 [[티배깅|물을 수감자들에게 주질 않나]], 장미 표지판의 표지판을 걷어차서 넘어뜨리질 않나, 증기 운반 기계에게 더 빨리 옮기라고 갈구질 않나, 떠돌이 여우의 우산이나 누구도 울지 않도록의 부적을 강탈하지 않나, 신사 요정의 요정주를 건네는 손을 쳐내질 않나, 충격 지네가 격리된 방의 물을 붓는 버튼과 전기를 뽑아내는 버튼을 연타하질 않나, 꿈먹는 탁류의 형광등을 뽑아내질 않나...] 기억을 잃기 전의 단테가 이익을 위해서라면 그 어떤 잔혹한 선택도 마다하지 않고 내리던 인물이었을지도 모른다는 추측이 제시됐다. * 공식 설정상 성별은 불명이며, 영어판에서도 중립 3인칭인 they로 불린다. 2차 창작에서는 대체로 무기질적이고 정장을 입은 외형 때문인지 주로 남성으로 묘사되며 영어권에서도 he로 불릴 때가 많다. 하지만 성별이 불명이기에 단테를 여자로 묘사하는 2차 창작도 배척되지는 않으며, 이런 여자 단테는 '여단테'라고 따로 분류된다. 이 경우 보통 타이트한 검은 정장으로 몸매가 잘 드러나는 성숙하고 풍만한 여성으로 그려진다. 2차 창작에서는 원작과 다르게 플레이어를 대변하듯 심히 망가진 캐릭터로[* 특정 수감자를 대상으로 변태짓을 하거나, 거던을 수백 번씩 돌다가 정신이 나가버리는 등.] 묘사되기도 한다. 피부를 전혀 드러내지 않는 복장이라 피부색이 어떤지도 불명인데, 검은 정장의 색을 따라 새까만 검은 피부로 그려질 때가 많다. 2차 창작에서 커플링으로 엮이는 캐릭터는 단테를 남성으로 묘사할 경우 주로 이스마엘, 파우스트, 오티스와 엮이며, 드물긴 하지만 여성으로 묘사하는 경우는 주로 이상과 엮인다. * 7.5장 심야청소에서 밝혀진 바로는 수면이 필요 없다고 한다. 하지만 정신적 피로를 풀 필요는 있기에 수면 대신 별을 떠올려 지옥의 문을 바라본다고 한다. * 말을 할 때마다 째깍거리는 것 때문인지 말과 관련된 표현을 시침의 움직임으로 변환한다.[* 분위기상 조용히 해야 할 때 '째깍거리지 않았다'라고 말하는 등.] * [[엄지(Project Moon 세계관)|엄지]]는 LCB와 단테를 솔다토급[* 일반 해결사가 솔다토급으로 분류된다.]으로 분류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