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날개(소설)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기타 == 작중에 '아달린(Adalin)'이라는 약이 등장하는데 이는 실존한 약물로 당시 독일 [[바이엘 주식회사|바이엘]]에서 내놓은 [[브로민]] 계열 수면진정제의 상품명이다.[* 동시기 영미권에서는 '카르브로말'(Carbromal)이란 상품명이 통용됐다.] 작가인 이상을 비롯해 일본에서도 애용했던 수면제라고 한다. 독성을 비롯한 부작용이 너무 심해서 [[1971년]]에 사용이 금지되었다. 작중에 [[서울역|경성역]]에 실제 있던 [[레스토랑|양식당]][* 과거 자료에서는 경성역 구내식당이라고만 나와서 원래 이름도 '그릴'이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8.15 광복]] 후 언젠가 즈음에 '서울역 그릴'로 이름을 바꿨다. 한국 최초의 [[경양식]]당임과 동시에 실질적으로 남아 있는 한국 양식당의 본류로 추정되는 곳이다. 작중에서는 역시 이름이 나오지 않고 돈이 없어서 들어가지 못했다는 이야기만 나온다.]과 [[다방|끽다점]] '티룸'[* 작중 표기로는 '티이루움'. 일본어로 해당 단어를 ティールーム로 장모음을 넣어 쓰는 것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작중에서는 밤 11시, 영업 마감할 때까지 죽치고 앉아 있었다고 한다.]이 나온다. 이 중 구내식당인 그릴은 무려 2021년 11월 30일까지도 영업했다. [[8.15 광복]] 후 [[대한민국 철도청]] 소유의 국영 식당 '서울역 그릴'이 되었다가 [[민영화]]되는 등의 과정을 거치고 서울역 리모델링 사업과 구 역사가 문화역서울 284가 되면서 신역사 4층으로 옮겨 다른 식당들과 함께 입점해 영업했다고 한다.[* [[용산역]] 앞에 있었던 '용사의 집' 등과 마찬가지로 근대화 시절 느낌을 진하게 받을 수 있었으며 그 시절 호텔 경양식 맛과 레트로풍의 분위기를 원한다면 가 볼 만했다. 물론 ~~소설에 나온 이상의 감정을 느낄 수 있을 정도로~~ 가격대는 대기업 프랜차이즈 레스토랑들과 비슷하거나 더 비쌌다.]. 그 유명한 마지막 장면의 [[신세계백화점 본점|미쓰꼬시 백화점]] 등 당시 서울 시내의 풍경들이 많이 녹아들어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특히 소설의 주요 배경이자 실제로 이상 작가와 금홍이 같이 살았던 [[종로3가]] 뒷골목은 1970년대까지 [[홍등가]]로 유명한 곳이었는데 1970년대 중반 [[박정희 정부]]가 대대적으로 단속하고 나서야 사라졌다. 당시 단속을 거듭해도 홍등가가 계속 살아나니 정부가 썼던 방법이 아예 그곳에 출입하는 손님들을 단속하고 [[강원랜드|신상을 직장이나 가정에 통보해 버리는 것이었다.]] "꽃을 꺾기 어렵다면 나비를 잡으면 된다"고 해서 일명 [[나비작전]]이라고 한다. 효과는 확실해서 불과 1년만에 홍등가의 대명사 '종삼'은 자취를 감추어 버렸다.[* [[김승옥]] 작가의 [[서울, 1964년 겨울]]에서 '안'이 택시 안에서 종삼 여자들이 좋다는 의미의 이야기를 꺼내자 사내가 경멸적으로 웃는 묘사가 나온다. 교사들도 [[교과서]]를 풀이해 주면서 차마 종삼이 이런 곳이라고 얘기해 주는 경우가 드문 편이다. 물론 교사마다 다르겠지만. 사실 과도한 외설적 묘사 같은 경우 교과서 지문에서는 "중략"으로 처리되는 경우가 많다. 당장 여기 나오는 [[서울, 1964년 겨울]]도 '나'가 버스 안에서 여자 아랫배를 쳐다본다고 하는 내용과 술집 뒷방에서 신음소리가 난다고 하는 내용은 교과서에서 삭제되었다.][* 옛 종삼의 자리를 채운 것이 [[게이바|'호모'들을 대상으로 영업하는 유흥가들]]인데 현재까지도 종로3가는 [[이태원동]] 등지와 더불어 [[성소수자]]들의 양대 핫플레이스로 유명하다.][* [[스웨덴]]에서도 매춘부는 처벌하지 않지만 손님은 성매매로 처벌한다. 소위 '[[박카스 아줌마]]' 같은 사람들이 그 일대에 계속 남아 있는 등 지리학적으로 한 번 형성된 인구의 이동패턴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기도 한다.] <날개>의 [[첫 문장이 유명한 작품|유명한 첫 문장]] "박제가 되어 버린 천재를 아시오?"는 [[안톤 체호프]]의 <[[갈매기(희곡)|갈매기]]>를 읽고 감명을 받아 쓰여진 문장이라고 이상이 밝혔다. 구시대에서 벗어난 실험적이고 혁신적인 예술을 꿈꾸었던 뜨레쁠료프(Konstantin Gavrilovich Treplev)의 이상에 이상이 깊은 인상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워낙 첫 문장의 인상이 강렬하다 보니 웹상의 유머게시판 같은 곳에서 "[[박제]]가 되어버린 xx를 아시오?" 와 같은 형태로 패러디되는 사례를 가끔씩 볼 수 있다.[* 주로 누군가를 [[박제(인터넷 용어)|박제할 때]] 쓰인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