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나이트코어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장르성 논쟁 == > "Well, it's a very delicate process. Whereby I will spend hours upon hours searching the internet for finest 'kawaii' anime song, put that in a illegal youtube downloader, then we'll go ahead and put this song into [[Audacity]], gonna highlight everything, and we'll gonna change the speed, and this is where the creative process really comes out. I can spend hours upon hours doing this. Gonna change the pitch too, because I need this to sound as cute as f***, once that's done.. Oh. It's like club in here. > > "흠, 정말 섬세한 작업이야. 몇 시간을 인터넷에서 '카와이'한 애니송을 찾아다닌다음, 불법 유튜브 다운로드 프로그램에 집어넣고, [[Audacity|오디오편집 프로그램]]에 넣어. 곡 전체를 선택하고 속도를 높여. 지금 이 과정이 [[반어법|진짜 창의적인]] 제작과정이야. 이런건 몇 시간이든 할 수 있어. X나 귀엽게 들리려면 피치도 바꿔야지. 이런 과정을 거치면.. 햐, 클럽음악이랑 다름 없잖아! - 유튜버 Keyori 동영상 중 > "[[반어법|나이트코어를 만드는건 정말 힘들지.]] 노래 하나 골라서 빠르게 만든 다음 썸네일에 애니메이션 캐릭터 사진을 올려놓으면, 짜잔. 수 만 조회수가 나와." - 유튜브 댓글 나이트코어는 애당초 창의성이 전무하기 때문에 음악 조금이라도 만져봤다든가 듣는 사람들의 심기를 긁기 딱 좋다. 나이트코어는 예전에 남들이 만든 음악에 [[DAW|음악 편집 프로그램]] 켜서 템포 높이고 피치 높여서 귀여운 일러 붙여 유튜브에 올리는 작업이 '''전부다.''' 음악을 들으면서 템포나 피치를 이리저리 감각적으로 조정한다면 그건 [[리믹스]]라고 부르지 나이트코어라고 부르지도 않는다. 참고로 음악 편집 프로그램들은 어지간하면 쉽게 영상과 음악을 합칠 수 있다. 일러 하나를 프로그램에 가져다 올리면 끝. 그 결과물을 유튜브에 올리면 된다. 그만큼 고찰을 안 한다는 의미. 그리고 [[저작권]] 문제는.... 때문에 EDM 음악 연속 재생의 파생이지 하나의 장르로 인정받긴 힘들어 보인다. 외국에서도 이것을 장르로 보는 것에는 회의적인 시각이 대부분. [[검은 악보]]가 음악 장르로 인정받지 못하는 것과 비슷하다. 소스가 소스인 만큼 의외로 효과적이라는 것도 음악 한다는 사람들이 더 욕하는 요소. 애당초 음악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들이 설계한 곡들을 그대로 허락도 없이 복붙해서 속도나 피치만 올려버리고 아무렇게나 이어 붙이기 때문에 사실 흥이 안 나기도 어렵다. 음악이란 게 사람이 즐기면 오케이지만 이 과정에서 저작권이 지켜지지 않는다는 게 문제. 나이트코어의 기원은 불분명하나 [[웃웃우마우마]]로 추측할 수 있다. 전형적인 나이트코어이자 히트곡으로, 원곡은 그냥 리드미컬한 댄스 팝이지만 빠르기와 옥타브만 높여버렸는데 테크노로 변신하면서 일본 커뮤니티인 [[니코동]]에서 대박이 났다. 또한 오덕스러운 사진 하나 띄워놓고 노래의 박자와 음정을 망가뜨려 놓는 것을 좋게 여기지 않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면서도 오타쿠 문화가 아니라고 하니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약간 혼란스러운 것도 사실. 이러한 이유로 거부감이 심한 사람들이 많아서인지, [[plug.dj]]와 같은 음악 공유 웹사이트의 유수의 방(커뮤니티)들에서는 아예 방 정책으로 나이트코어를 금지해두는 경우도 많았다. 정작 [[plug.dj]]의 경우 2016년 여름 재오픈 이후부터 [[https://plug.dj/nightcore-331|Nightcore-331]] 커뮤니티가 거의 매 시간에 동시접속자 수 1위를 달리고 있다. 이전까지만 해도 1위 커뮤니티는 [[https://plug.dj/tastycat|EDM: Monstercat+Tasty= #Tastycat]] 커뮤니티였지만 2위로 밀려났다. 지지하는 사람들이 많은 탓인지 세계 최대의 EDM 인터넷 라디오 서비스인 di.fm의 하드뮤직으로 분류된 채널 중에는 나이트코어 채널도 존재하기는 한다. 그렇다고 이러한 경향 자체를 나이트코어라고 불러선 안 된다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일렉트로니카]]에 대해 어느 정도 아는 사람들 중에는 나이트코어를 하나의 장르로 여기는 것에 부정적인 시선을 가진 사람이 많은 편. 유튜브 원곡 검색시 표제어 때문에 엉뚱하게 피치만 올린 이 부류가 상위로 올라오는 경우가 많아 원곡 찾으러 왔는데 왜 이딴 게 나오나며 댓글에 짜증내는 사람도 국적 가릴 것 없이 많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