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나의 투쟁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평가 == 이 책을 연구한 문헌학자들의 비평에 따르면 사상적인 문제점은 무시하더라도 [[비문(문법)|비문]]과 앞뒤가 안 맞는 내용이 많다고 한다. [[루돌프 헤스]]는 물론이거니와 다른 사람들이 달려들어 수없이 뜯어고쳤는데도 그 모양이다. 심지어 그 나치 독일의 동맹, [[파시스트 이탈리아]]의 국가원수인 '''[[베니토 무솔리니]]'''조차 "[[디스|알아들을 수도 없고 재미도 없으며 뻔한 내용으로 가득 차 있다]]"고 평가했다. 무솔리니는 히틀러와 달리 고등 교육을 제대로 받았으며 잠시나마 [[교사]]로 근무하기도 했고 정계 입문 전에는 신문사 주필로 있었던 데다 독서량도 많았기 때문에 문장력이 다를 수밖에 없었다. 《나의 투쟁》 출판 3년 뒤에 무솔리니도 《나의 자서전》을 썼는데 무솔리니의 자서전은 자신의 유년 시절로 시작하여 일생을 순서대로 자신의 주장의 발달 계기를 엮었기 때문에 《나의 투쟁》과 달리 일괄되고 비교적 내용의 전개가 깔끔하게 구성되어 있다. 근거 없는 특정 현상이나 유대인에 대한 규정은 책을 읽을 때 혼란과 침묵을 야기하기도 하면서 내용의 앞뒤 주장이 모순된다는 생각도 자주 들어 히틀러의 주장이 정확히 무엇인지 파악하기 힘든 경우도 있다. 단문으로 작성해도 되는 글 하나 하나를 미사여구로 채우고 별것도 아닌 걸 노골적인 정당화 수단에 사용하려고 속은 비어 있는 장식물을 길게 늘여놨기 때문에 평소 책 읽기에 취미가 없으면 이해하기 꽤 난해하다. 그래도 [[아돌프 히틀러]] 개인을 연구하거나 당시의 [[나치즘]]과 국제 정치 및 독일의 정치실태를 연구하는 등 '''연구 자료'''로는 필수적인 1차 사료다. 실제로 세계 유수의 대학 [[국제정치학]] 및 전쟁 관련 강좌에서는 나의 투쟁을 주요 텍스트 가운데 하나로 삼기도 한다. 특히 [[유대인]]에게 적개심을 드러내는 부분과 히틀러가 독일 영토 확장의 최대 명분으로 삼았던 [[레벤스라움|게르만 생활권역(Lebensraum)]]의 확대 주장이 나오는 부분 등 '''히틀러는 어떻게 독재자가 되었나''' 차원으로 연구하는 것만은 가치가 높다. 이걸 빼면 히틀러가 직접 개입한 문헌 가운데 그의 정치적 사상을 들여다볼 만한 자료가 거의 없어서 [[독일]]에서도 "이 책을 출판하는 것 자체까지 막을 필요는 없다"는 비판이 나온다. 혹시나 해서 말하자면 이런 주장을 하는 사람들은 [[네오나치]]가 아니며 오히려 학술적인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사람들이 다수다. 다만 히틀러의 개인사도 '자화자찬'이나 '과장', '왜곡'이 많아서 이 책에서 히틀러가 하는 말을 그대로 받아들이면 곤란하고 다른 연구가들의 비판적인 연구와 함께 읽는 것이 좋다. 사실 정도의 차이가 있다뿐 모든 사료가 다 마찬가지다. 실제로 유럽 밖에서 출간되는 《나의 투쟁》도 비판 주석을 달거나 달지 않아도 최소한 "이런 책이니 주의하라"는 경고 정도는 해 둔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