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김일성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대한민국 === 1980년대 중반까지 김일성의 사진은 한국의 방송에서 거의 표현되지 않았다. 김일성을 묘사할 때에는 [[https://imnews.imbc.com/replay/1987/nwdesk/article/1801737_29505.html|대부분 캐리캐처의 형태로 등장했으며]] 브리태니커나 뉴스위크지에서 김일성의 [[사진]]이 나올 경우 먹지로 처리하거나 찢어버려서 수입되었으며 해외 제작 [[6.25 전쟁]] 다큐멘터리의 경우 김일성의 육성 부분은 묵음으로 처리했다. 이런 것들이 풀린 시기는 [[1988 서울 올림픽]] 전후. * 1961년작 영화《붉은 두목》에서는 배우 백송(본명 김정순)이 연기했다. * 1981년 [[MBC]] 드라마《[[제1공화국(드라마)|제1공화국]]》에서는 배우 [[국정환]]이 연기했다. * 1982년 [[KBS1]] 100분 드라마《반역자》에서는 배우 [[김희라]]가 연기했다. * 1982년 KBS1 반공드라마《[[지금 평양에선]]》에서는 손과 입만 나오는 걸로 처리되었으며, 영상자료실에 테이프가 많지 않아 배우는 불명이다. 문오장으로 알고 있는 경우도 있으나 그가 출연한 KBS2 토크쇼《밤과 음악사이》자료화면에 따르면 그는 [[김철만]] 역도 맡은 것으로 나온다. * 1990년 KBS 실록대하드라마《[[여명의 그날]]》에서는 배우 [[전광렬]]이 연기했다. <TV가이드> 1990년 10권 25호 기사 '탤런트 전광렬 북한 김일성역 최초로 맡았다(강기석 기자)'에 따르면 전광렬 본인은 1990년 6월 중순에 급히 만나자는 연락을 받아 방송사에 간 후, 담당 연출자인 이녹영 PD로부터 김일성 역을 맡는 게 어떠냐는 제의를 받자 막상 당황했지만, 이녹영 PD와 김교식 작가로부터 자세한 설명을 받은 뒤에야 해당 인물에 도전해보고 싶다는 욕심이 솟았다고 전했고, "김일성 연기로 화제를 모은 배우가 아닌, 극중 캐릭터를 소화해낸 배우가 되고 싶다"고 하며 <[[지금 평양에선]]>의 김정일(김병기 분)과 같은 식상한 북한 캐릭터 연기를 지양하겠다고도 했다. 이녹영 PD 측도 "전광렬은 175cm짜리 키와 특유의 얼굴이 김일성의 30대 모습과 닮은 점이 있다"고 하며 과거 반공 드라마처럼 희화적인 모습을 지닌 배우를 쓰지 않고 외모가 비슷하며 비중있는 역을 소화해낼 만한 인재를 찾고자 TV는 물론, 연극, 영화계까지 뒤지고서야 전광렬을 찍은 거라고 한다. (해당 잡지 58~59쪽 참고) 그러나 해당 작품은 외압성 조기 종영으로 끝났는데, 외압을 받은 이유는 김일성 미화 논란 때문이었다. 김일성은 처음에는 이상을 가진 항일 투사였으나 점차 권력을 장악하며 독재자로 타락하는 모습으로 등장하였다. 그런데 전광렬은 기존의 '혹부리 돼지' [[이미지]]와는 다른 샤프한 미남이었고, 방영 당시에는 3당합당 이후의 여대야소 정국인데다 [[김일성 가짜설]]이 아직 대세여서, 김일성의 인간적인 모습을 묘사한다는 것 자체를 받아들이기 힘든 경직된 시기였다. 드라마에서 [[박정희]]의 모습도 [[일본군]] 신분으로 비밀 [[광복군]] 활동을 하는 모습으로 나왔다. [[https://www.youtube.com/watch?v=prYo6bOIw0o|영상]] * 1992년에 [[김진명]]이 쓴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소설)]]에서 북한의 주석으로 등장한다. 남한 특사와 목욕탕 회담까지 할 정도로 정정하고 대국적인 인물로 나온다. * 1993년 남파간첩 출신 귀순자 이항구[* 1990년대까지 각 언론매체에서 '북한통'으로 이름을 날렸다.]가 <소설 김일성>을 출간하였다. * 1995년 MBC 8.15 특집극《최승희》에서는 배우 오현섭이 연기했다. * 1995년 MBC 특별기획《[[제4공화국(드라마)|제4공화국]]》에서는 배우 [[주현]]이 연기했다. * 1998년 불교만화가로 유명한 최병용 화백이 그린 삼성초등학습백과 한국현대사편에서 데라우치 마사타케에 이은 주요 악역으로 등장. 스탈린에게 형님이라고 아부하면서 6.25 전쟁을 일으키면서 부산에서 생일 기념 미역국을 먹겠다고 주접을 떨다가 유엔군 개입으로 개박살나고 모택동에게 살려달라고 울며불며 빌어 중공군을 데려와 살아남는다. * [[한국 애니메이션]]《[[영혼기병 라젠카]]》의 [[악역]]인 [[영혼기병 라젠카/등장인물#s-2.2.1.2|모노스타 장군]]의 이름의 모티브가 이 인간이다. * 2006년 KBS 대하드라마《[[서울 1945]]》에서는 배우 겸 성우 [[박철호(배우)|박철호]]가[* [[전우(2010년 드라마)|2010년 드라마 전우]]에서도 작지 않은 비중의 인민군 고급장교 역할을 맡아 비슷한 느낌을 보여준 적이 있는데 전시에 무능하다는 점도 같다.] 연기했다. 주로 박헌영과 갈등하는 인물로 비춰진다. * [[굽시니스트]]의 2차 세계대전 [[만화]]에 코믹하고 무능한 이미지로 등장한다. 웹버전과 출판버전 둘 다 나오는데 웹버전은 지프차 타고 전장에서 도망치다가 [[홍범도]] 장군한테 관광당하는 내용이며, 출판버전은 [[독일군]] 포로로 잡혔는데 자신이 북쪽의 실권자라면서 "살려주면 후한 보상을 해주겠다"고 허풍을 친다. 홍범도 장군이 구해주면서 페어로 다니는데, 마지막에 홍범도가 버려진 정교회의 성당에서 봉인이 풀린 [[라스푸틴]]의 고환을 재봉인하기 위해 김일성의 목 뒤에 고환을 박아버려 혹이 생긴다. 시간이 흘러 김일성이 죽기 직전 [[김정일]]에게 자신이 친모임을 고백한다. 스스로 [[모태신앙]]이라고 자부해서 공산주의자인데도 기독교와 인연이 깊다. * 2016년 개봉한 영화《[[인천상륙작전(영화)|인천상륙작전]]》에서는 배우 [[이원종(1966)|이원종]]이 연기했다. 흰색 육군 원수용 하예복을 입고 있다. * 싱어송라이터 [[천용성]]은 2019년 6월《김일성이 죽던 해》라는 제목의 음반을 발표하였다.[[http://bit.ly/2XBrZvL|#]] * [[제2차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하는 [[대체역사소설]]에서는 중일전쟁이나 독소전쟁 대목에서 짤막하게 나오는 경우가 많다. (보통 현대 한국인 출신인) 주인공이 손을 써서 영문도 모르고 살해당하거나 혹은 주인공으로 인한 역사개변으로 원역사에서의 여러 가지 기회가 사라져서 어디 빌붙을 데도 없는 한심한 꼬락서니가 되는 경우가 많다. 주로 [[웃음벨]]로 활용되는 편. * [[검은머리 미군 대원수]]: [[간도특설대]]가 더 빠르게 만들어지면서 [[마적]]으로 토벌당해 사살된다. * [[이 독일은 총통이 필요해요]]: 서울에서 공산혁명을 일으키려다가 대실패하고 [[박헌영]]을 팔아치우고 다시 관군쪽에 붙으려했으나 실패하고 죽는다. * [[한국 독립 전쟁]]: [[일본군]]에게 정보를 누설하여 일본군이 [[홍범도]]를 죽이게 하려 했으나 실패하자 지나가던 일본인 포로를 풀어주고 홍범도 위치에 대한 떡밥을 쥐어줘서 홍범도를 어떻게든 일본군 손에 죽이려고 발악한다. [[무다구치 렌야]]에게 잡혀 고문당한다. * [[고종, 군밤의 왕]]: 주인공이 미래를 생각하여 [[김일성]]과 [[마오쩌둥]]을 경고하는 발언을 했는데 아버지 [[김형직]]이 작중 사탕 달라는 5살 어린애 모습으로 등장한다. 본인은 등장하지 않으며, 아들 김정일이 영화감독이 된 것을 생각해보면 그냥 평범한 삶을 산 듯하다. * [[조선, 혁명의 시대]]: [[대한제국]]이 존재하는 세계관이라서 그런지 기독교 가정에서 자라는 아이로 나오며 [[펠릭스 유수포프]] 공작에게 [[러시아 정교]]의 축복을 받으며 목사가 될 것이라는 암시가 있었다. 김일성이 기독교 집안 출신이며 스탈린이 기독교 신부가 될 뻔했다는 이야기의 패러디인 듯하다. 이후 4부에 재등장했는데 '''반공정신으로 무장한 [[군종 목사]]로 등장했다.''' 러시아 정교 영향을 받아 소련과의 성전을 벌여야한다고 주장한다. * [[THE LAST EMPIRE]]: 무자비한 대한제국군 장교로서 몽골을 점령하고 지배한 것으로 나왔으나 패치 이후 [[김경천]]으로 변경되었다. * [[근육조선]]: 2부가 끝나고 나온 외전에서 목사 이승만과 함께 2차대전 참전을 독려하는 역할로 잠깐 나온다. 그 외에는 [[금수산태양궁전|금수산 입신체비 궁전]]을 만들려다가 잡혀간 미친 놈으로 언급된다. * [[Hearts of Korea]] : 공식설정상 [[스탈린그라드]]에서 죽었다고 하지만, 스탈린그라드에서 죽기전에 한국에서 공산혁명을 일으키면 소련 지원군을 이끌고 혁명에 합류한다. * [[카이저를 구했다]]: 카이로 회담에서 중국 공산당을 이끌던 트로츠키에게 접근했다고 하나, 주인공 한스가 '그놈 스탈린이 보낸 암살자일 거다'라고 해서 목이 날아갔다. 이후 박헌영 휘하 조선공산당은 스탈린에게 숙청당한다.[* 작중에서는 소련이 일본과 함께 추축국이 되는 바람에 조선공산당의 입지가 거의 없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