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금병매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기타 === * 금병매 하면 홍콩의 거장 감독 이한상의 이름을 빼놓을 수 없는데, 1973년작인 <풍류운사>[* 세 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된 옴니버스 영화인데, 그중 두 번째 에피소드가 금병매를 각색하였다. 작중에서 금병매는 [[극중극]] 형식으로 진행되는데, [[명나라]] 시기의 실존인물인 왕세정과 동시대의 벼슬아치 [[엄숭]]의 아들인 엄세정이 등장한다. 왕세정은 엄세번이 책을 읽을때 손가락에 침을 묻혀 넘긴다는 점을 이용해, 금병매를 쓰고 책에 비소를 태운 연기를 씌워 엄세번에게 바치는 것으로 이야기가 시작된다.] 1974년작인 <금병쌍염> 1991년작인 <금병풍월>, 1994년작인 <소녀반금련>까지 해서 금병매를 무려 네 번이나 각색하였다. 그리고 금병매를 각색하진 않았지만 1982년작인 <무송>도 있다. * <금병쌍염>은 무명 시절의 [[성룡]]이 단역으로 출연했었는데, 무대랑을 도와주다 서문경에게 밉보여서 서문경 패거리에게 끔살당하는 역할이었다. 성형수술하기 전의 성룡의 모습을 볼 수 있지만, 성룡 본인은 이 영화 출연을 [[흑역사]]로 여겼었다. * 그리고 <소녀반금련>은 한국에서 촬영되었고, <금병풍월> 도 위장 합작 영화[* 1970년대 당시에는 아무나 외화를 수입할 수 없었고, 대종상이나 청룡상에서 우수국산영화상을 받은 영화를 제작한 영화사에 한해서만 제한적으로 외화 수입 쿼터가 주어졌었다. 자연히 이로 인한 폐단이 매우 많았고, 이는 한국영화의 질적 저하로 이어져서 1970년대 한국 영화는 암흑기로 접어들 수밖에 없었는데, 그 폐단 중의 하나가 바로 위장 합작 영화다. 당시에 외화 수입은 큰 돈을 벌 수 있는 수단이었기에, 흥행이 되는 [[홍콩 영화]]가 위장 합작 영화의 주 타켓이 되었다. 멀쩡한 홍콩 영화를 우리 말 더빙을 하여 국산 영화로 속여 개봉하는 이 사기이자 범죄 행위는 1970년대 성행하였지만 1980년대 이후에는 거의 자취를 감췄었는데, 뜻밖에도 이 <금병풍월>이 굉장히 오랜만에(?) 위장 합작 영화로 개봉된 것이다.]로 제작되었기에 한국어로 더빙이 된 프린터가 존재하며, [[https://www.kmdb.or.kr/main|KMDB]]에는 <금병풍월>이 어이없게도 [[고영남]] 감독 작품으로 [[https://www.kmdb.or.kr/db/kor/detail/movie/K/04674divFilmo|기록되어 있다.]][* 위장 합작 영화가 사기이고, 범죄 행위인 이유가 바로 이런 식으로 크레딧에 사기를 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위장 합작 영화였던 [[https://www.kmdb.or.kr/db/kor/detail/movie/K/02368|<연애도적>]] (원제: <찬석염도>) (1971년작)은 본래 일본인 감독인 이노우에 우메츠구가 홍콩 최대 영화사인 쇼브라더스에 초청되어 만든, 즉 일본인 감독이 만든 홍콩 영화지만, 영화에 한국 배우인 박지연과 최지숙, 트위스트 김이 출연한다는 이유로 국내에선 한홍 합작 영화로 개봉되었고, 크레딧에 이노우에 우메츠구의 이름은 빼놓은 채, 생뚱맞게도 한국의 [[신상옥]] 감독과 홍콩의 엄준 감독의 이름을 크레딧에 올려놨다.][* [[장철(1923)|장철]] 감독의 1969년작인 [[https://www.kmdb.or.kr/db/kor/detail/movie/K/02441|<철수무정>]]도 국내에서는 합작 영화로 개봉되었는데, 당연히 위장 합작이다. 이 경우에는 훨씬 더 뻔뻔한데, 수입사였던 태창 영화에서 방수일과 오경어, 두 한국 배우가 출연하는 장면을 따로 찍어서 집어 넣으며 멋대로 재편집을 하였고, 그렇게 오리지널 홍콩 영화가 합작 영화로 멋있게 탈바꿈을 한 것이다.] * [[유리의 성]]으로 유명한 만화가 [[와타나베 마사코]]가 [[1993년]]부터 만화로 연재하였는데 장장 17년을 끌다가 [[2010년]]에야 완간이 되었다. 와타나베 마사코 특유의 괴기적인 각색과 더불어, 원작 소설에 나왔던 수많은 [[검열삭제]]들이 만화로 기기묘묘하게 재현되어 있는 것이 [[백미]]. [[대한민국|한국]]에는 [[에이케이 커뮤니케이션즈]]가 11권으로 정발하였는데 당연히 19금 딱지를 걸고 나왔다. 그리고 일본어 원판을 그대로 해석한 듯한 [[번역투]]로 인해 번역의 질은 그닥 좋지는 않다. 이한상의 풍류운사를 오마주하여, [[탐관오리]] 엄세번에게 아버지와 누이동생을 잃은 서생 왕세정(王世貞)이 복수하는 과정을 [[액자식 구성]]으로 그리고 있다. 왕세정은 엄세번이 책을 읽을 때마다 손가락 끝에 침을 묻혀 넘기는 것을 알고는 야설인 '금병매'를 집필하여 엄세정에게 상납하는데, 책장 한장한장마다 [[비소]]를 발라놓는다. 그리고 작가인 자신의 존재는 숨기고 정체를 드러내기 싫어하는 작가가 집필한 작품을 중개한다고 속였다. 엄세번은 금병매에 푹 빠져서 침을 발라가며 샅샅이 읽고 엄세번의 부인도 남편이 읽던 야설을 우연히 발견하고 역시나 푹 빠져서 남편에게 바가지를 긁어 책을 죄다 빼앗아 읽다가 비소 중독으로 죽는다. 왕세정은 이때 비소를 묻혀놓은 것이 들킬까 노심초사했으나 다행히 어물쩍 넘어가 버렸다. 엄세번 역시 비소 중독으로 점점 쇠약해지다가 결국 피를 토하고 죽는데, 그가 죽은 날은 바로 왕세정이 금병매의 완결편을 써간 날이었다. * <[[수난이대]]>로 유명한 한국의 소설가 하근찬이 리메이크작을 만들기도 했다. [[1992년]]에 [[고려원]]에서 처음 출판되었고 [[2003년]]에 북앤피플을 통해 복각되었다. 다만 아무래도 [[한국인]]이라 심도있는 [[중국 문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기 때문인지 원작의 비범한 [[발 페티시]] 묘사는 짤렸다. * 소설가 조성기가 2003년 중앙일보에 연재한 反금병매라는 작품도 있다. 이쪽은 말하자면 프리퀄이다. 내용 자체는 원본을 쭉 따라가지만 무송이 서문경을 죽이는데 실패하고 귀양을 가는 부분에서 1부 끝이라는 식으로 연재가 끝났으며, 무송을 귀양 보낸 진문소가 사실은 제법 청렴한 관리여서 사건 해결이 파토난 것은 어쩔 수 없다 쳐도[* 원작과는 달리 서문경에게 [[뇌물]]을 먹어서가 아니라 높으신 분의 압력으로 어쩔 수 없이 그만두게 되었으며, 그 전까지는 청렴한 관리로서 당대의 비리로 찌든 현실을 개탄스럽게 여기고 어떻게든 무송 형제의 억울함을 풀어주려 했었다.] 이 이야기만큼은 소설로 남겨서라도 음탕한 두 남녀를 벌해야겠다는 생각으로 음란죄로 고발당한 소설가 이풍연과 짜고 일을 벌이게 된다는 것이 엔딩. 줄거리와는 별개로 작가가 원작을 감명깊게 읽었는지 전족과 그에 관한 페티시의 묘사가 비범한 편이다. * 2015년에는 전북도민일보에서 최정주 작가의 평역으로 '평설 금병매'가 연재되었지만, 한국신문윤리위원회로부터 신문윤리실천요강상 '''‘선정보도 금지’'''라는 경고를 받고 연재를 중단, 홈페이지에서도 모두 내리고 말았다. 신문연재소설의 심의기준마저 초월한 비범한 작품. * 영화 [[아가씨(영화)|아가씨]] 2부인 [[이즈미 히데코]]의 시점에서 금병매가 언급된다. [[서문경]]이 [[반금련]]의 [[음문|옥문]]을 들여다보는 장면으로, 이는 실제로 금병매의 초반부에 나오는 대목이다. 코우즈키는 어린 히데코에게 소리내어 읽도록 시키고, 빨리 읽는 그녀를 질책하며 이모를 시켜 본보기로 낭독하게 한다. * 게임 [[수호전 천도 108성]]의 PC판에선 서문경, 반금련만 등장했지만 콘솔 이식판에서 금병매의 등장인물들이 추가되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