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금병매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평가 == 내용은 연애담에 가까운데, 에로틱한 면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것이 특징이다. '''지금 관점에서 보자면, [[수호전]]의 [[에로 동인지]]라고 보면 된다.''' 문학적인 면만 중시한 1990년대~2000년대 초에 출판한 '''도서관용''' 금병매에선 잘 안 나오지만 최근에 나오는 금병매는 음란한 부분도 말 그대로 적나라하게, 온갖 [[체위]]와 성애가 묘사되어 있다. 배경은 수호전과 마찬가지로 [[송나라]]가 맞지만, 등장하는 언어라든가 문화양식은 송나라보다 [[명나라]] 시대에 가깝고 고증도 잘 된 편이다. 당시 명나라는 상업이 매우 발달하여 극도로 소비, 사치 풍조가 만연하고 성적으로도 상당히 문란하였는데 금병매가 쓰여진데는 이러한 배경이 있었다.[[https://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050214000094|#]][* 수위와 막장성으로 따지면 금병매는 그나마 양반이고 굉장히 하드코어한 [[보이즈 러브|BL소설]]이 쏟아지던 때가 당시 명나라였다.] 솔직한 성에 대한 묘사와 유려한 [[한시]]도 있고, '''에로 동인지 주제에 사회 비판 요소'''도 담겨 있기 때문에 [[중국사대기서]]에 올랐다. 그래서 중국 문학계에서도 수많은 학자들이 진지하게 연구를 하고 논문을 쓰는 대상이기도 하다. 작품으로서 금병매의 장점은 섬세한 생활 묘사이다. 금병매에서 생활 묘사는 [[삼국지연의]], [[수호전]], [[서유기]]보다 훨씬 뛰어나, 잔치나 연회를 할 때 어떤 품목을 얼마에 샀는지 아주 세세하게 나열되어 이 소설이 쓰여질 당시의 물가를 추측해볼 수 있는 등, 당시 사회상을 자세히 살펴볼 수 있는 사료적 가치가 있다고 보기도 한다. 만약 본인이 이 시기 굵직한 역사적 이야기를 떠나 명나라 서민들의 사회상이 궁금하거나 혹은 이를 자료로 쓰려고 한다면 금병매를 일독하는 것도 좋다. 영웅이나 호걸이 아닌 '평범한 인간'이 중심 인물이 된다는 것 역시 중대한 전환점이다. 무송 역시 수호전과는 달리 복수하겠다고 나섰다가 괜히 무고한 사람을 죽이고 감옥으로 끌려 가 버려 비교적 '탈 영웅화'가 이루어진다. 금병매는 결점이 많고 때로는 추악하기까지 한 인간의 '삶'을 섬세하게 나타내는 작품인 것이다. 후대 소설인 [[홍루몽]]에서도 전통적인 영웅이나 선비의 덕목을 거부하는 [[가보옥]]이 주인공으로 등장했지만, 신기가 깃든 돌의 환생이라는 전생 및 현세의 귀족 신분을 감안하면 완전히 '평범한 인간'은 아니라는 점에서 금병매와 차이가 있다. 그 외에도 당시에 유행했던 [[중국 요리]]의 레시피까지도 자세히 나와서 이쪽으로 연구하는 사람들에게도 유용한 도서가 되기도 한다고 한다.[* [[중국 요리]]는 [[문화대혁명]]시기에 실전된 레시피들이 많다. 그래서 금병매를 토대로 복원한 요리들이 많은편.] 중국사대기서는 교과서에도 종종 언급이 되나, 이 작품에 대해선 전혀 나와있지 않다. 내용을 보면 당연한 결과인지도. [[마광수]]가 이 소설을 보고 하루만에 [[자위행위]]를 마스터했다고 한다. [[조영남]]과의 인터뷰에서 밝힌 내용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