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괴뢰국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탈냉전]]~[[신냉전]] === * [[유고슬라비아 전쟁]] 당시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세르비아]])과 [[크로아티아]]가 수립한 괴뢰국 * [[스릅스카 공화국]] ([[1992년]]~[[1995년]]): 건국 초기에는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정부의 괴뢰국으로 시작했다. [[데이턴 협정]] 이후로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구성국으로 존속하고 있다. *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RSK) ([[1991년]]~[[1995년]]): [[크로아티아]] 국내에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이 세운 [[세르비아]]계 괴뢰국. 수도는 크닌이었다.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의 독재자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는 크라이나 세르비아 공화국(RSK)을 세운 이후 RSK를 보스니아 내의 또다른 괴뢰국인 [[스릅스카 공화국]]의 산하기구로 재편하고 [[라도반 카라지치]]에게 지도권을 이양했다. 이 때문에 RSK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괴뢰국이 세운 괴뢰국, 즉 2중 괴뢰국'''이라는 기이한 형태를 띄었다. RSK의 국영 TV인 SRTV KNIN[* [[1995년]] [[8월 19일]] RSK 멸망 직후 [[크로아티아]] 정부에서 SRTV KNIN을 폐지하고 SRTV KNIN 방송국은 폭격하여 파괴했다.]에서는 [[https://www.youtube.com/watch?v=gmZx2R0YWwI|스릅스카 공화국군을 찬양하는 노래]]를 방송하기도 했다.[* 이 노래를 부른 사람은 민주샤리(Minđušari)라는 가수로 [[1995년]] 크로아티아군의 [[폭격]]에 휘말려 전사했다.] [[미국]]의 지원을 받은 [[크로아티아]]가 [[1995년]] [[8월]], 폭풍 작전이라는 기습공격[* RSK는 [[크로아티아]] 전선보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공격해 [[스릅스카 공화국]]을 지원했기 때문에 크로아티아 전선이 매우 허술했다.]을 가해 4년을 버티던 RSK는 9일만에 허무하게 멸망한다. * [[헤르체그보스니아 크로아티아 공화국]] ([[1992년]]~[[1996년]]): [[크로아티아]]의 [[프라뇨 투지만]] 대통령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부에서 세운 괴뢰국. 1992년 11월 18일 헤르체고비나 일대에 건국했으며 [[수도(행정구역)|수도]]는 [[모스타르]]였다. 그러나 모스타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 [[스릅스카 공화국]], [[크로아티아]] 3국의 전쟁터가 되어 실질적인 수도는 [[그루데]]였다. 헤르체그보스니아 대통령궁[* 현재 그루데 시청]과 의회 건물로 사용했던 [[호텔]]도 그루데에 있다. 헤르체그보스니아는 공식적으로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 산하의 자치공화국을 주장했으나 실상은 크로아티아가 세르비아와 손 잡고 평소에 탐탁지 않게 여긴 보슈나크인을 몰아낸 후 보스니아를 갈라먹기 위해 세운 괴뢰국이었다. [[유고슬라비아 전쟁]] 이후 구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ICTY)는 헤르체그보스니아는 크로아티아의 괴뢰국이며 실상은 보슈냐크인을 학살하고 [[크로아티아]]에 보스니아 점령지를 합평시키기 위해 설립한 크로아티아의 불법 침략으로 판결내렸다. [[프라뇨 투지만]]은 [[전쟁범죄]]로 기소되기 직전에 사망했지만 헤르체그보스니아 설립에 관여한 주요 인사들은 ICTY에서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이 과정에서 [[슬로보단 프랄략]]이 판결에 불복하여 독약을 마시고 자살하는 사건도 있었다. [[미국]]과 [[영국]], [[독일]]이 프라뇨 투지만 크로아티아 대통령을 [[브뤼셀]]로 [[소환]]하여 [[크라이나-세르비아 공화국]]을 인정하겠다고 압력을 가하자 프라뇨 투지만 크로아티아 대통령이 이에 굴복하고 [[1994년]] [[12월]] 헤르체그보스니아 크로아티아 공화국을 자진 해산했다. 이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에 병합되었다. 최종적으로 [[1998년]] [[UN]] 감시단이 헤르체고비나를 제외한 나머지 헤르체그보스니아 잔여 점령지를 제거하고 [[보스니아]] 국내에 살던 크로아티아인을 전부 크로아티아 본국으로 추방시킴으로써 헤르체그보스니아 크로아티아 공화국의 잔재를 완전히 치울 수 있었다. * [[두브로브니크 공화국]] ([[1991년]]~[[1992년]])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시기에 수립된 [[러시아]]의 괴뢰국 * [[하리코프 인민공화국]] (2014년): [[2014년]] [[4월 7일]]부터 [[4월 8일]]까지 단 하루동안만 존재한 나라로, [[도네츠크 인민공화국]]과 같이 독립했다. 같은 성격의 도네츠크 및 루간스크와 붙어 있었지만 하리코프가 우크라이나에게 가진 성격 상 우크라이나가 강하게 탈환을 시도하면서 도네츠크, 루간스크와는 다르게 우크라이나에게 붕괴한다. * [[오데사 인민공화국]] (2014년): [[2014년]] [[4월 16일]]부터 [[4월 17일]]까지 단 하루 동안만 존재한 나라로, [[돈바스 전쟁]] 당시 독립하였으나 도네츠크, 루간스크가 위치한 돈바스 및 러시아에서 너무 멀다는 단점을 극복하지 못 하고 우크라이나에게 붕괴한다. *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2014년~[[2022년]]): [[2014년]] [[4월 7일]]부터 [[2022년]] [[9월 30일]]까지 존재하였던 나라로,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을 통해 [[러시아]]의 연방주체가 되면서 사라졌다. *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2014년~[[2022년]]): [[2014년]] [[4월 27일]]부터 [[2022년]] [[9월 30일]]까지 존재하였던 나라로, [[돈바스 전쟁]]으로 동남부 우크라이나에 생겨난 러시아의 괴뢰국 4개국 중 가장 늦게 생겨난 나라였으며 건국 당시 명칭은 루간스크 의회 공화국이었다.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을 통해 [[러시아]]의 연방주체가 되면서 사라졌다. * [[크림 공화국]] (2014년):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시기 잠깐 (자칭)독립국으로써 존재했다. 본래는 우크라이나 내 자치 공화국이었으나 3월 11일 우크라이나로부터 독립선언한 이후 18일 러시아의 자치공화국으로써 러시아에 합병되었다. * [[노보로시야 연방국]] ([[2014년]]~[[2015년]]): [[유로마이단 혁명]] 이후 [[친러]] 반군이 [[우크라이나]]에서 독립하여 [[돈바스]] 지역에 세운 [[도네츠크 인민공화국]]과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이 연합하여 세운 [[국가연합]]. 그러나 서로 간의 입장 차이로 결별하면서 1년만에 해체되었다.[* 다만 해체 이후에도 전 구성국인 도네츠크와 루한스크 둘다 러시아의 지원을 받아 서로 협력하면서 우크라이나 정부에 대항하고 있다.] * [[아르메니아]]의 괴뢰국 * [[아르차흐 공화국]] ([[1991년]]~[[2023년]]): [[아제르바이잔]] 서남부에 위치했던 미승인국으로, 아르메니아인이 대다수였다. 본래 아제르바이잔 내부의 자치국이었으나 [[소련 붕괴]] 이후 독립운동이 일어나고, [[제1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당시 [[아르메니아]]의 지원하에 독립했다. 그러나 아르메니아와 정체성이 거의 동일하기도 하고, 아르메니아 없이는 살아남기도 힘들어 사실상 아르메니아의 괴뢰국이 되었다.[* 오히려 한동안은 아르메니아 정계가 아르차르 파벌에 의해 장악된 적이 있다. [[로베르트 코차랸]]-[[세르지 사르키샨]] 집권기가 바로 그 시기로, 둘 다 아르차흐의 수도였던 [[한캔디|스테파나케르트]] 출신이다.] 결국 [[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제2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에서 아르차흐-아르메니아가 [[튀르키예]]와 [[이스라엘]]의 지원을 받은 아제르바이잔에 패하며 [[라츤 회랑]]이 전부 아제르바이잔에 넘어가는 등 큰 타격을 입었고, [[2022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국경분쟁]]에서도 아르메니아가 사실상 패배하며 [[니콜 파시냔]] 대통령이 아르차흐 포기를 시사하는 발언까지 하면서 혼란에 휩싸였다. 최종적으로 [[2023년 아르차흐 분쟁]](제3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에서 [[아르차흐 방위군]]이 무력하게 무너져 아르차흐가 완전히 아제르바이잔에 흡수되어 멸망한다. * [[이라크 연합국 과도 행정처]] 등 2003년 5월부터 2005년 5월 3일까지의 [[이라크]]. * 2011년부터 2012년 8월까지의 [[리비아]]: [[무아마르 알 카다피]] 사후 정치적 권력을 잡은 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 시기의 리비아. 이 당시 리비아는 미국과 [[유럽연합]], 걸프 아랍국가들, [[이집트]], [[튀니지]] 등 [[제1차 리비아 내전]]에 개입한 국가들에 의해 나타난 허수아비 정권이었다. [[http://www.minplu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450|#]]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