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공산당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과거에 제한 및 금지된 국가 ==== * [[파일:대만 국기.svg|width=23]] [[중화민국]] - 1949년 [[국공내전]]에 패배한 [[중국국민당]]이 [[타이완 섬|타이완]]에 정부를 세우고 정통성 확립을 위해 반공법과 국가보안법이 제정되었으나 반공법이 폐지되고 2008년에 대만 [[사법원]](헌재)에서 국보법에 위헌 판결을 내려 [[중화민국 공산당|공산당이 생겼다]]. 대신 [[중국공산당]]이라는 이름으로 정당을 만들 수는 없으며 세력은 거의 없는 군소정당이었다. 중화민국 공산당은 2018년 해산되었으며 2008년 세워진 [[대만 공산당|타이완 공산당]]도 2020년부로 해산되었다.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width=23]] [[일본 제국]] - 1925년 [[치안유지법]]으로 인해 불법이 되었으나 1945년 폐지되었고 [[일본공산당]]이 국회 의석을 갖고 활동하고 있다. *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width=23]] [[베트남 공화국]] - 1955년부터 공산주의 활동을 금지하였으나 1975년 패망하여 폐지됨. *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3]] [[필리핀]] - 필리핀 공산당은 [[미국]]의 자치령인 [[필리핀 자치령]] 시절부터 심각한 탄압을 받아 왔다. 이는 독립이 이루어진 [[필리핀 제3공화국]] 시절도 마찬가지였다. 결국 1969년 공산당 휘하의 신인민군이 봉기하여 필리핀 내전이 터졌다. 1990년대 [[피델 라모스]]가 공산당을 합법화하지만 필리핀 사회에는 아직 [[반공]]적인 인식이 퍼져 있고 신인민군도 활동 중이다.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3]] [[튀르키예]] - 1947년부터 공산당 활동을 금지했지만 2000년대부터 튀르키예 정부는 튀르키예 공산당(TKP)의 활동을 눈 감아주고 있고 공산주의를 표방하는 [[튀르키예 노동자당]]은 아예 원내에 의석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사문화된 듯하다.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3]] [[독일]] - 비스마르크 [[독일 제국]] 당시 반공법이 존재하였으나 [[바이마르 공화국]] 성립 이후 폐지되었다가 [[나치 독일]] 때 다시 반공법이 부활하였고 패망 이후 [[서독]]에서 공산당 활동은 불법이었으나[* 콘라드 아데나워 정부 당시 [[서독]] 내에 있던 독일 공산당(KPD)을 연방헌법재판소에 제소해 강제해산시킨 전력이 있었다.] 1968년에 구 [[서독]]에서 독일 공산당이 다시 창당되었고 [[독일 재통일]] 이후에는 [[동독]]의 공산당[* 정식 명칭은 [[독일 사회주의통일당]].]의 후신인 [[좌파당(독일)|좌파당]]이 존재한다. *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width=23]] [[이탈리아 왕국]] - 1922년부터 1945년까지 [[무솔리니]] 치하의 [[이탈리아 왕국]] 및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파시즘]] 정부에서 반공법이 존재하였다. 전후에는 공산당이 합법화되었고 [[이탈리아 공산당]]이 원내 2당 자리를 차지하며 상당수 지자체장과 의원을 확보하는 등 세가 있었지만 타 좌파정당들과의 사이가 좋지 않았던 탓에 집권하게 된 것은 1991년 [[좌파민주당(1991년)|좌파민주당]]으로 이름을 바꾼 후의 일이었다.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3]] [[프랑스]] - 1939년부터 [[에두아르 달라디에]] 내각에 의해 공산당 활동이 금지되었는데 이는 [[비시 프랑스]] 시절까지 이어졌다. 1944년 이후 합법화. *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width=23]] [[스페인국]] - 1939년부터 1975년 사이 [[프란시스코 프랑코]]의 [[스페인국|독재 정부]]에서 반공법이 존재했으나 1976년 민주화가 되면서 폐지된다. 80년대 다른 좌파 정당[* 이 중에는 무려 역사적으론 사회주의와 자본주의 모두 반대하고 가톨릭 신정정치에 기반한 봉건 사회로 복구를 주장하다가 나름 '현대화'한다고 좌향좌하여 포지션이 무려 '''왕정 사수, 카톨릭 사회 전통 강화, 농촌 공동체 재건'''에 더해서 '''지방 자치 강화, 자본주의 철폐'''인 [[카를로스주의|카를리스타]]들도 있었다(...).]과 통합해 연합좌파당으로 재탄생했다.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3]] [[포르투갈 제2공화국]] - 1926년 쿠데타 이후 공산당 활동을 금지하였다. 1974년 민주화 이후 합법화되었다. *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width=23]] [[유고슬라비아 왕국]] - 1920년 공산당이 파업 등 사회 혼란을 야기하자 금지시켰고 공산당원들은 체포, 투옥되었다. 1941년 [[나치 독일]]이 [[세르비아 군정청|점령하면서]]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멸망한 후에도 여전히 금지되어 있었으며 1945년 독일군이 물러가면서 폐지되었다. 금지해도 공산당은 유고슬라비아 왕국 시절에는 폭동을 일으키는 등 은밀히 활동하고 있었으며 독일의 강점 이후에는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이끄는 공산주의 조직인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이 활동했다. 이후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이 나치독일군을 몰아내고 공산당으로서 집권하면서 공산화되었다. 냉전이 끝난 지금은 공산당이 활동하는 중인데 이 당시 세르비아 공산당을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를 비롯한 민족주의자들이 장악한 다음에 세르비아 민족주의에 편승하며 [[세르비아 사회당]]으로 명칭을 바꾼 탓에 티토에 대한 향수가 대단함에도 세력은 미약하다. *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width=23]] [[그리스 왕국]] - 1948년 [[그리스 내전]] 종결 이후 불법화되었다가 1974년 민주화 이후 합법화되었다. *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3]] [[덴마크]] - 1941년 종주국이던[* 당시 덴마크는 [[나치 독일]]의 [[덴마크 보호령|보호령]]이었다.] [[나치 독일]]의 압력에 의해 공산주의자들을 체포하고 반공법을 제정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위헌 판결을 받아 폐지되었다. * [[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3]] [[핀란드]] - 1918년 [[핀란드 내전]] 이후 금지되었다. [[계속전쟁]]이 끝난 이후 해금되었다.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23]] [[오스트리아 연방국]] - 1933년 [[엥겔베르트 돌푸스]] 치하에서 금지되었고, [[나치 독일]] 치하에서도 유지되다가 1945년 해금되었다. * [[파일:소련 국기.svg|width=23]] [[소련]] /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3]] [[러시아]] - 공산주의의 종주국이던 소련도 아주 잠깐이지만 공산당을 금지했던 적이 있었다. 1991년 [[8월 쿠데타]]가 실패한 후 공산당이 해산되면서 [[보리스 옐친]]이 공산당 활동을 금지했다. 1992년 러시아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판결을 받고 그 다음해에 공산당이 부활했다.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3]] [[미국]] - 1950년대 [[매카시즘]] 선풍 당시 내부보안법(Internal Security Act of 1950), 공산주의자 통제법(Communist Control Act of 1954)이 제정되어 공산당의 활동을 검찰이 감시하고 귀화 희망자가 외국의 공산당에서 활동한 경력이 있을 경우 시민권 취득을 불허하는 등 제한을 받게 하였으나 1971년 내부보안법을, 1973년에는 공산주의자 통제법을 연방법원이 위헌으로 판결하고 공산당원의 선거 출마를 허용함에 따라(Blawis v. Bolin) 해당 법령이 사문화된 후 [[미국 공산당]]은 냉전이 한창이던 1984년까지 [[미국 대통령 선거]]에 후보를 출마시키고[* 1984년 이후로는 [[소련 붕괴]]에 따라 [[소련]]으로부터 받던 지원금이 끊기면서 재정난으로 인해 더이상 대통령 후보는 출마시키지 않고 있다.] 2019년에는 공산당원 시의원을 배출하는 등 여전히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그러나 2020년 이민국이 "공산주의나 전체주의 정당이나 관련 기관의 조직원이거나 과거 가입했던 사람은 미국에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발표하여 외국의 공산당에서 활동한 경력이 있는 사람의 시민권 취득 불허가 부활하였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3&aid=0003566059|#]] * [[파일:과테말라 국기.svg|width=23]] [[과테말라]] - 1954년부터 공산당 활동을 금지되었다가 1996년 과테말라 노동당이 과테말라 민족혁명연합에 합당되면서 합법화. * [[파일:온두라스 국기.svg|width=23]] [[온두라스]] - 온두라스 정부는 온두라스 공산당을 불법이라고 주장하였다. 1990년 공산당이 해산되고 애국부흥당에 합당되면서 합법화. *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width=23]] [[엘살바도르]] - [[1932년]] 금지되었다가 [[1992년]] 엘살바도르 공산당의 후신인 [[파라분도 마르티 민족해방전선]]이 합법화되면서 합법화. *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width=23]] [[코스타리카]] - 1949년 금지되었다가 1970년 합법화. * [[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23]] [[콜롬비아]] - 1925년부터 [[https://es.m.wikipedia.org/wiki/La_Violencia|내전]]이 일어남에 따라 박해받았다가 2016년 [[콜롬비아 무장혁명군]]이, 2021년 콜롬비아 공산당이 공식 정당으로 인정받았다.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3]] [[브라질]] - 1964년 쿠데타 이후 금지되었다가 1988년 합법화되었다.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3]] [[아르헨티나]] - 군사정권에 의해 금지되었다가 1983년 합법화된다. * [[파일:칠레 국기.svg|width=23]] [[칠레]] -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치하의 칠레는 반공 국가였으며 칠레 공산당은 불법화되고 1,000여명의 공산당원이 처형당했다.[* 피노체트 치하의 칠레는 칠레 공산당원들을 [[헬리콥터]]에 태우고 [[바다]] 한가운데에 던지는 짓거리도 했다고 한다.(...) 이것은 미국의 반공 성향의 네티즌들에게 일종의 밈으로 자리잡았다.] 1990년 민주화 이후 다시 합법화되었다. * [[파일:페루 국기.svg|width=23]] [[페루]] - 1936년부터 불법화되었으나, 1980년 합법화. * [[파일:볼리비아 국기.svg|width=23]] [[볼리비아]] - 1950년 볼리비아 공산당 창당 즉시 불법화되었다가 1985년 합법화. * [[파일:파라과이 국기.svg|width=23]] [[파라과이]] - [[알프레도 스트로에스네르]] 실각 이후인 1989년 합법화. * [[파일:리비아 국기.svg|width=23]]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width=23]] [[리비아]] - 제2차 세계대전이 종전한 1945년에 리비아 공산당이 창당되었으나 1952년 [[리비아 왕국|왕정]] 정부가 모든 정당활동을 금지시키며 강제 해산되었다. 왕정이 무너지고 [[무아마르 카다피]]의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좌익 정부]]가 들어선 후에도 공산당에 대한 탄압은 계속되었으며 부활하지 못했다. 수십년 간 이어진 탄압과 공산권의 몰락으로 인해 리비아의 공산주의 세력은 씨가 말랐으며, [[리비아 내전]]으로 국가 체계가 붕괴되어 사실상 공산당 금지령이 해제된 지금도 공산주의 세력이 따로 조직될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다. *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width=23]] [[남아프리카 공화국]] - [[국민당(남아프리카 공화국)|남아프리카 국민당]] 치하에서 1961년 반공법이 제정되었고 1994년 [[넬슨 만델라]]가 대통령이 되자 반공법을 폐지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