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공산당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공산당이 현재도 금지인 국가 ==== 해당 항목에는 법적으로 '''공산주의'''를 표방하는 정당이 금지된 국가들만이 포함된다. 단지 성향은 공산당에 가깝지만 당강령이나 이름에 공산주의가 들어가지 않는 정당들은 공산당으로 보지 않고 그 정당이 해당나라에서 존재하거나 활동한다고 하여 공산당이 합법이라고 보지 않는다.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3]] [[대한민국]] 1991년 국가보안법 개정으로 공산주의 사상의 표현 자체는 허용되었으나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전위당이라는 공산당의 기본 속성을 생각하면 공산당을 조직하더라도 [[국가보안법]]에 의한 반국가단체로 취급되거나 민주적 기본질서를 위배하는 정당으로서 [[위헌정당해산제도]]를 통해 해산될 것이기 때문에 지금도 공산당 창당이 불법인 국가다.[* 실제로 [[1993년]] 한국에서 공산주의를 이념으로 한 정당을 만들려 했던 시도가 있었으나 국가보안법과 [[정당법|인원수 부족]] 등으로 [[창당]]되기도 전에 해산당했다.] * [[파일:태국 국기.svg|width=23]] [[태국]] - 1932년 [[쁠랙 피분송크람]]의 군사쿠테타로 인해 반공법이 제정되었고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타이 공산당]]은 지금까지 선거에 참여하지 못하지만 활동 중이다. [[https://www.komchadluek.net/news/scoop/379617|#]] * [[파일:미얀마 국기.svg|width=23]] [[미얀마]] - 1953년 우누 정부 시절에 금지당했다. 한때 [[버마 공산당]]이 소수민족 반군과 함께 버마 영토의 2/3를 점령하기도 했으나 [[네 윈]]의 쿠데타 이후 탄압과 학살으로 몰락하고 지도부는 중국으로 망명했다. 현재 [[버마 공산당]]은 [[2021년 미얀마 쿠데타]] 이후 다시 미얀마로 돌아와 무장투쟁을 이어나가고 있다.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우크라이나]] - 이쪽은 전술한 발트 3국이나 루마니아와 달리 독립 이후에 경제난의 여파로 소련에 대한 향수가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크게 일어 1994년 총선과 1998년 총선에서 원내 1당이 되었고 1999년 대통령 선거에서 공산당 후보가 결선에 진출한 적이 있었지만 2002년 총선에서 [[지역당]]에게 밀리며 세가 약화되기 시작하더니 2004년 대선을 기점으로 동서간의 지역구도와 친러 지역당, 좌파 [[우크라이나 사회당]]의 공산당 대체로 [[우크라이나 공산당]]이 주류 정치계에서 밀려나며 군소정당으로 전락하였고 [[유로마이단 혁명]] 이후 [[https://www.yna.co.kr/view/AKR20150410000400080|공산주의 금지법]]이 통과되면서 활동이 금지됨에 따라 허울 뿐인 정당으로 전락하게 되었다. [[우크라이나 공산당]]과 [[우크라이나 공산주의자 연합]]은 지하 정당으로서 잔존 중이다.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23]] [[인도네시아]] - [[수카르노]] 시절에는 핵심 집권 세력은 아니지만 수카르노를 비판적으로 지지하는 연립정당에 해당되는 위치에 있었는데 1965년 대학살과 [[수하르토]]에 의한 쿠테타로 당원들이 학살당하고 반공법이 제정되면서 해체되었으며 민주화가 이루어진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width=23]] [[아프가니스탄]] - [[탈레반]]이 집권하면서 금지되었다. 그러나 위에 언급된 마오주의자들이 반 탈레반 전선에서 싸우고 있다.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23]] [[말레이시아]] - 1960년 국가보안법 제정 이후 공산당 활동이 금지되었고 2012년 폐지 후에도 안보위반특별조치법이 신설되어 공산당 활동은 여전히 금지되어 있다. * [[파일:조지아 국기.svg|width=23]] [[조지아]] - [[남오세티야 전쟁]] 이후 불법이 되었다. * [[파일:이란 국기.svg|width=23]] [[이란]] - 1953년 [[모하메드 모사데크]] 총리가 실각하고 왕당파의 쿠데타로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국왕이 전제 통치를 부활시키자 공산주의 성향인 투데당을 해산시키고 금지시켰다. 1979년 [[이란 혁명]] 당시 공산주의자들이 참여하기도 했는데 이슬람 공화국이 수립되고 나서도 공산주의자들은 탄압받았고 1983년 이란 공산당이 세워졌다가 금지당한다.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23]] [[사우디아라비아]] -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공산당 활동은 불법이다. 사우디아라비아 공산당은 박해를 받았으며 당원들이 검거되기도 했다. 1991년 공산당의 해산을 대가로 정치범들을 석방했다.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23]] [[카타르]] - 이슬람주의와 군주제를 추구하는 나라이므로 공산당이 불법이다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23]] [[UAE]] - 역시 군주제 국가로서 공산당이 불법 * [[파일:오만 국기.svg|width=23]] [[오만]] - 역시 군주제 국가로서 공산당이 불법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23]] [[파키스탄]] 1954년 쿠데타 시도가 들킨 이후 금지됨[* 현존하는 "[[파키스탄 공산당]]"은 등록되지 않은 법외 정당이다.] *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width=23]] [[에스토니아]] 소련 독립 이후 금지됨 *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width=23]] [[우즈베키스탄]] 1994년경 공산주의자들이 우즈베키스탄 공산당을 창설했지만 바로 그 해 강제해산 당하고 전국에서 공산당이 금지되었다. *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width=23]] [[투르크메니스탄]] 2002년 공산당의 대통령 암살미수 사건 이후로 금지됨 * [[파일:부탄 국기.svg|width=23]] [[부탄]] 2003년 공산당의 대규모 폭동 이후로 금지됨 * [[파일:브루나이 국기.svg|width=23]] [[브루나이]] 1962년 공산당 쿠데타 이후로 금지됨 *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width=23]] [[에티오피아]] 멩기스투 정권 축출 이후 금지됨 * [[파일:감비아 국기.svg|width=23]] [[감비아]] 1980년 법으로서 금지됨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