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고종, 군밤의 왕/등장인물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황실 ==== * '''[[광서제]] 아이신기오로 자이티얀''' (=애신각라 재첨) 청나라 제11대 황제. 원 역사에서 [[청일전쟁]]에서 패배하고 [[캉유웨이]]와 [[량치차오]]를 등용하여 [[변법자강운동]]을 실시했지만 [[서태후]]가 주도한 수구 만인 세력의 쿠데타로 유폐되고 결국 암살당한 비운의 황제다.[* 그 때문인지 작중에서도 총명한 지재로 대청의 홍복이라는 말이 사분지일은 맞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막 용상에 올랐을 때는 연소하여 그 이후에는 이홍장이 정권을 잡아 저를 부르는 사람도, 의지하는 사람도 없어 그저 서책을 벗삼고 있었는데 강남에서 끝도 없이 올라오는 절절한 상소문을 보게 됐다. 그 글에 자신에게 간청하는 글귀 들어있는 것이 진심은 아니요, 그저 겸양하기 위한 뜻임을 모르지 않았건만, 그럼에도 울컥하는 마음에 드는 것은 금할 수 없어 비밀리에 조선국으로부터 신하를 설득(?)하는 방법을 배워 이홍장을 직접 설복시키고 의회 설치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친정에 나섰다. 이때 나이가 16살이었다. 이후 1889년에 중국 대륙을 넘보는 [[프랑스]]-[[러시아]] 동맹의 음모에 대항하기 위하여 표현의 자유 인정과 시장 전면 개방을 뜻한 '백가쟁명 백문제개'의 윤음을 내렸다. 이러한 행보가 쌓여 중국의 젊은 황제가 조선의 조언이라면 가볍게 흘려듣지 않는다는 소문이 북경 외교가에 파다하다. [[서태후]]가 [[자금성]]을 나가게 되어 원 역사와 다르게 자금성 내 명실상부한 일인자가 되었다. 손덕명과 [[원세개]]를 측근으로 끌어들였으며 이로 인해 [[이홍장]]은 사직하였고 독살 미수 자작극을 벌인 서태후는 사실상 광서제 밑으로 들어왔다. 그러나 급격한 변법으로 민심이 흔들렸고 이에 변법을 늦추려고 하지만 권력을 잃을까 걱정하던 원세개가 쿠데타를 일으켜 자금성에 유폐당했다. 이에 자신의 어리석음을 한탄하다가 이내 마음을 다잡고 어디서부터 잘못된 것일까 깊이 고민한 끝에 청은 천조이며 앞으로도 천조여야 한다는 조바심과 그 편벽된 마음이 문제였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그리하여 원세개가 산해관에서 조선군을 상대하기 위하여 자리를 비운 틈을 타 일찌감치 전의를 상실한 북양삼걸들을 포섭하여 자의원을 소집한 뒤 흔들리는 마음을 억지로 부여잡고 군정으로서의 변법을 포기하고 황권을 모두 공화정부에 위임할 것이며 '''선양을 요구한다 하더라도''' 따르겠다고 약조했다. 그리고 일체의 허명을 혁파한다는 명분으로 '''수 천년 이어져 온 천조질서의 종지부를 찍었다.''' 이후 북양삼걸을 대동한 채 산해관에 나타나 북양군은 앞으로 공화정부의 명을 받들라 지시하고 원세개의 직첩을 회수한 뒤 조선은 더 이상 청의 번국이 아니라고 선언했다. 1905년, 공친왕이 훙하자 직접 조문하고 충(忠)을 시호로 내렸다. 1912년, 최익현이 세상을 떠나자 조서를 보냈다. 1913년, 북경을 방문한 귀남 부부를 접견했다. 이 자리에서 지금의 평온을 만들어준 것에 감사를 표했다. 의외로 매우 어린데, 1871년생으로 변법자강운동을 펼칠 당시 아직 10대였으며 [[을미정난]] 당시(1895년)에도 겨우 24세밖에 되지 않았다. 언제까지 즉위했는지는 불명이나 광서제가 겨우 4살에 즉위했다 보니 만약 65세가 넘어도 61년 재위의 강희제를 능가하며, 67세가 넘으면 황제+상황 63년의 건륭제도 능가한다. * '''황후 [[각순황귀비 타타라씨|타타라씨]]''' 원 역사의 각순황귀비 타타라씨. 서태후가 궁내정치를 포기하여 밀당 끝에 광서제의 정비가 될 수 있었다. 원 역사처럼 서구 문물에 관심이 많아 기술자들을 불러 섭영술을 배우기도 했다. 1905년에 마침내 태자를 낳았다. * '''황태자''' 황제 자이티얀과 황후 타타라씨의 외동아들. [[푸이]]와 동년배다. 실존인물이 아니기 때문인지 이름은 나오지 않았다. 다만 '부(溥)'자 항렬이기 때문에 '아이신기오로 푸X'일 것이다. 조선의 상왕이 된 귀남이 북경을 방문했을 때 만나 함께 사진을 찍었다. 2013년 기준으로 청의 황제가 이 황태자의 아들이라는 것을 보아 상당히 장수한 모양이다. * '''[[자희태후]] 예허나라 힝전''' (=엽혁나랍 행정) 원 역사 청말의 황후, 황태후, 섭정. [[서태후]]로 유명하다. 권력욕은 여전한데 원 역사에서 [[의화단 운동]]으로 대표되는 반서구파를 지원했던 것과 달리 여기서는 장지동의 말에 넘어가 청 황실의 막대한 부를 쏟아부어 '동아철도회사', 일명 '동철'의 최대 주주가 되며 개화에 동참한다. --개화에 관심있는 것이 아니라 동철이 장차 거대한 권력이 될 것이라는 말에 넘어갔다-- 당시 댓글에서는 이것만 해도 중화 중흥의 주역으로 역사에 남을 것이라고 난리가 났다. 공친왕이 일으킨 정변을 이홍장과 그의 회군이 막아내긴 했지만 군사력이 집중된 이홍장에게 권력이 집중되었고, 결국 불만을 품고 베이징에 1700년대부터 존재하던 [[러시아정교회]] 성당으로 피신해 러시아를 끌어들이려고 했다. 하지만 일이 꼬여 조선으로 쫓겨나듯이 와야 했고 현재 조선 왕궁에 거주중. 대신 쫓겨나면서도 동철 지분은 챙겨와서 권토중래를 노리고 있고 실제로 조선왕이 자신에게 붙여준 김옥균을 이용해서 동철 대주주로서의 업무를 하고 있으며 이러한 업무를 위해 한양보다 감시가 적은 온양으로 내려오기까지 한다. 대외적인 이유로는 병 치료를 위한 [[온양온천]] 이용. 김홍집이 처음 서태후에게 망명을 권유할 때도 이 온양온천을 언급한다.[* 작중에선 '온양온천을 가장 즐겨 찾은 임금이 누구인지를 생각하면 퍽 냉소적인 말이다'란 표현이 나오는데 이유가 있다. 온양온천을 즐겨 찾은 임금 중에는 [[현종(조선)|현종]]이 있는데, 현종은 '''[[병자호란]]'''으로 인해 [[효종(조선)|효종]]과 [[인선왕후]]가 청나라에 볼모로 끌려갔을 당시에 청나라에서 태어났기 때문이다. 그런데 청나라의 황태후가 조선으로 쫓겨나듯이 오면서 상황이 역전되어버렸으니 역사를 안다면 이런 [[블랙 코미디]]가 따로 없다.] 그러다가 1888년에 옥균의 조언을 받아들여 가지고 있는 동철 지분 절반을 독일에게 넘겨주고 얻은 화포와 군함을 가지고 북경으로 화려하게 돌아왔다. 이어 북양군을 견제하고자 그 화포와 군함을 이홍장과 대립하는 장지동에게 넘겨주었다. 그간의 경험으로 황권에 기댄 권세를 부질없다는 것을 깨닫고 대원군이나 도쿠가와 요시노부처럼 민심을 자신의 것으로 삼아 권력을 누리려 한다. 흠정당과 국민당 내 반서태후 세력을 제거하려 자작극을 벌였으나 이를 광서제에게 들켰고 이로 인해 광서제가 천하를 우롱했다는 명분으로 자신을 칠 수 있게 되어 광서제에게 대항하지 못하게 된다. 이후 조용히 지내다가 이름값으로 공화정부의 초대 총통이 되었다. 사서에 제 이름 '예허나라 힝전'을 제대로 남길 수 있게 된 것에 감격하여 자신이 정녕 원하는 것이 무엇이었는지 깨달았다.[* [[명성황후]]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사서에 여성이 남더라도 대개 이름은 무슨 부인 혹은 태후로만 남아 있어 이 행정이라는 이름도 유력한 설에 불과하다. [[만주족]]은 성 대신 이름을 실생활에서 주로 사용하기에, 서태후에게 있어서도 이름이 가지는 의미는 작지 않을 것이다.] * '''순친왕 [[아이신기오로 이후완]]''' (=애신각라 혁현) 광서제의 친부. 공친왕의 동생. 재주가 없다고는 할 수 없지만 천하의 대국을 바라봄은 공친왕만 못하고 사람 사이를 이간질하고 자기 권력을 유지하는 데는 서태후만 못하다는 소릴 듣는다. 원 역사대로 1891년에 병으로 사망했다. * '''경군왕 [[아이신기오로 이쾅]]''' (=애신각라 혁광) 원 역사의 청나라 초대 내각총리대신. 병으로 사망한 순친왕 이후완을 대신하여 자의원의 총재를 맡고 있다. * '''종군왕 [[아이신기오로 자이타오]]''' (=애신각라 재도) 광서제의 막내 동생. 공무하느라 아들 푸이를 기르느라 정신이 없는 순친왕 자이펑을 대신해서 에드워드 7세의 장례식에 참석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