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고대 로마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통치 체계 == 처음에는 [[로마 왕국|왕정]]으로 시작했으나 왕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을 축출하고 [[공화정]]이 되었고, 이 공화정 체제는 원칙상 동로마가 망할때까지 폐지되지 않는다. 그러나 실질적으론 [[옥타비아누스]]가 지존{{{-2 ''Augustus''}}}의 직함을 얻고 나서는 [[로마 제국|제정 로마]]로 따로 분류된다. 이 시기에는 공화국의 수령{{{-2 ''Princeps''}}}이 통치자{{{-2 ''Imperator''}}}이자 지존{{{-2 ''Augustus''}}}으로서 [[로마 황제|사실상의 왕 노릇]]을 했고, 그래서 그리스인들은 로마의 수령{{{-2 ''Princeps''}}}을 그냥 [[바실레우스|왕{{{-2 ''Basileus''}}}]]이라 불렀다. 한자어로도 황제{{{-2 (皇帝)}}}라 번역한다. 황제의 후계자가 실제 [[혈통|피]]로 이어진 경우도 많았지만, 대개는 황제가 후계자를 [[양자(가족)|양자]]로 삼고 계승하는 형식을 많이 취했다. 기본적으로 로마의 황제권은 '[[가문]]'에 귀속되는 '자산'과 같은 취급을 받았으며 또한 양자도 가문을 계승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현실적으로 [[일부일처제]]에서 친자로만 부자 상속을 계속 이어가는 것은 확률적으로 보아 상당히 어렵다. [[동양]]에서 장자 상속 등으로 원칙이 세세하게 규정되었던 것과 달리 [[로마 제국|로마]]에서는 누가 다음 황제가 될 것인지 마지막까지 분명한 원칙을 세우지 못했다. 대체로 황제가 다음 황제를 지명하는 식이었다.[* 보통 어떤 식으로든 [[혈연]] 관계가 있는 사람을 고르기는 했다. 아들이 아니면 [[조카]]라거나 [[사위]]라거나 하는 식이었다.] 이러한 방식은 아들보다 현명한 사람을 지명함으로써[* 그러나 사실상 아들보다 현명한 사람을 지명하는 경우는 없었고 아들이 아닌 이를 지목하는 경우 대부분은 황제가 아들이 없는 경우였다.] [[오현제 시대]]의 번영을 가져올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현명한 사람'이 아니라 [[군벌]]이나 [[권신]]처럼 힘 있는 사람이 제위를 계승하는 폐단을 낳았다.--물론 군벌이나 권신 자리에 올랐다는 자체가 능력이 있다는 소리긴 하다-- 황제의 [[정통성]]을 뒷받침할 방법이 마땅치 않으므로 제위가 제대로 계승되지 않거나 계승한 황제가 함량 미달인 경우, 군 지휘관들이 제각기 황제를 자칭하는 혼란과 내전도 가져올 수 있는 [[양날의 검]]이 되었고, 결과적으로 혼란의 시대가 훨씬 길었다. 이러한 제도상의 허점과 그에 따른 혼란을 생각하면 [[로마 제국]]이 오랫동안 건실하게 유지되었음이 놀라울 정도라고 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체제의 미흡성이 [[명분]]보다 [[실력주의|실력을 우선시하는]] [[로마인]]의 [[사상]]과 만나 로마의 존속을 위협하는 동시에 그럼에도 1000년 동안 연명할 수 있게 만들기도 했다. [[오현제]] 이후의 [[로마 제국|제정 로마]]는 갈수록 악화되는 기상 환경과 [[이민족]]의 침략, 로마 사회 특유의 고질적인 문제나 경제적 위기가 총체적으로 합쳐진, 언제 망해도 이상하지 않을 '부패해가는 시체'였다는 것이 (당대 [[지식인]]들에게도, 후대 [[학자]]들에게도) 중론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마가 [[고대]]에 천년, [[중세]]에 천년을 견딜 수 있었던 이유는 무능한 황제로 인해 혼란기가 찾아와도 끝내 유능한 황제가 나타나서 혼란을 종식하고 반석 위에 체제를 정비했기 때문이다. 반대로 보면 이런 것들을 보완할 정도의 [[로마법|법 제도]]나 [[시스템]]이 그만큼 발달했다는 의미도 될 수 있다. 실제로 로마는 [[암군|함량 미달의 황제]]가 제위에 올라도 제국의 시민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민생에 상당한 관계가 있는 조세 제도도, 로마는 지방 조세 행정에 국가가 거의 개입하지 못하고 각 [[속주]] [[총독]]들의 역량과 [[징세청부업자]]들의 수완에 의지해서 황제의 역량에 따라 [[민생]]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뚜렷하게 작용하지 못했다고 보기도 한다.[* [[세금]] 징수를 직업으로 하던 세리들이 알아서 세금을 걷던 로마식 세금 제도를 개혁해 보려던 [[도미티아누스]]는 문제 있는 황제로 낙인 찍히고 [[기록 말살형]]에 처해졌다. 이 문제는 결국 [[디오클레티아누스]] 시대에 가서야 개선되지만 적어도 [[3세기]] 초까지는 로마의 국가 유지에 도움이 되기도 했다. 다만 이런 조세제도는 공화정 시기에도 문제가 있다고 여겨지긴 했는지 [[카이사르]]도 이를 개선하려고 했었다. 카이사르는 본인도 총독을 해봤고, [[집정관]] 시절에 [[크라수스]]를 도와서 세리들이 걷어야 하는 세금을 낮춰주는 법안을 통과시켰기에 세리 제도의 폐해에 대해서 매우 잘 알았다. 그래서 세금을 걷을 권리를 경매에 붙여서 가장 많은 세금을 걷겠다고 약속한 세리에게 세금을 속주들에서 걷을 권리를 주는 형식이 아니라, 해당 속주에서 알아서 정해진 액수만큼 걷는 형식으로 바꾸려고 했다. 그러나 이 법안이 통과되기 전에 암살당한지라 끝내 개선되지 못했다.] 이후 [[황제]]([[임페라토르]], [[카이사르(칭호)|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칭호)|아우구스투스]])를 뜻하는 [[서양]] 각국의 단어가 로마 최고 통치자{{{-2 ''Imperator''}}}를 뜻하는 말의 변형이었는데 '[[엠퍼러]](emperor)', '[[카이저]](Kaiser)', '[[차르]](Царь)' 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엠퍼러는 통치권{{{-2 ''Imperium''}}}을 쥔 통치자를 의미하는 임페라토르(IMPERATOR)에서 유래했고, 카이저나 차르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이름이 변형되어 만들어진 이름이다. 로마 제국의 황제들은 모두 자신의 이름에 카이사르를 꼭 집어넣었다. 원래는 카이사르의 후계자라는 정당성 부여의 형식으로 쓰였는데 나중에는 거의 황제라는 뜻이 되어버린다. 이러한 황제{{{-2 ''Imperator''}}}를 내세울 수 있는 나라는 오직 로마의 통치권{{{-2 ''Imperium''}}}[* Imperium에 대응되는 영어 Empire가 오늘날 '제국'을 의미하다보니 번역에 매우 혼란이 있는데, Imperium은 그 자체로는 '통치권'을 의미하며, 심지어 군주정 유무와도 아무 상관이 없다. 그래서 로마의 통치권{{{-2 ''Imperium''}}}을 계승했다고 자처한 신성 로마 제국은 흔한 단순화와 달리 [[고려]]나 [[발해]]가 [[고구려]] 보듯이 로마 제국을 본 것이 아니다. 그저 '로마가 쥐고 있던 통치권', 곧 Imperium Romanum을 지금 자신들이 쥐었다고 생각했을 뿐이다.]을 계승했음을 자처한 국가들인 만큼 로마는 임페리움의 상징이었다. [[유럽]]에서는 [[나폴레옹 1세|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자기 주체적으로 관습을 탈피하고 칭제하기 전까지 로마와 관계 없는 그 누구도 황제{{{-2 ''Imperator''}}}를 자처하지 못했고, [[19세기]]에 유럽 최강국이었던 [[영국]]의 [[영국 국왕|왕]]도 유럽 바깥에서 '[[인도 제국]]의 황제' 자리를 얻어오기 전까지는 공식적으로 황제로 칭하지 않았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