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계획경제
(r3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유래 == 오늘날 흔히 계획경제로 불리는 경제체제는 주로 소련이 시행했던 [[사회주의]] 경제체제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소련 이전에도 [[산업 혁명]] 당시 후발주자였던 [[독일 제국]]이나 [[러시아 제국]]이 국가가 산업화 계획을 수립해서 주도한 사례가 언급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사례는 오늘날 우리가 흔히 언급하는 계획경제보다는 국가가 경제개발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을 뿐 기본적인 경제 시스템은 자본주의 체제를 토대로 진행되었다. 다만 독일 제국이 진행했던 국가 주도 산업화는 훗날 러시아 제국에도 영향을 미쳤고, 간접적으로는 소련에서 산업화 모델로 삼은 국가 주도 경제개발 정책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소비에트 정부는 초창기에는 낙관론에 힘입어 여러 가지 실험적인 정책들[* 예를 들면 화폐를 무제한으로 찍어내서 사유재산 자체를 무효화시키려고 한 것이 있다. 결과적으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사유재산을 무효화한다는 목표를 달성했지만 러시아 사회 전반에 걸쳐 혼란을 더욱 가중시켰다. 훗날 소련은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1946년 [[헝가리]]에서 화폐를 [[초인플레이션/사례#유럽|대량으로 발행]]하여 헝가리 경제를 마비시켰다.]을 시행하려다가 [[러시아 내전]]으로 한바탕 고생을 한다. 소련은 러시아 내전에서 승리를 거두기는 했지만 내전과 기근으로 러시아의 경제는 황폐화되었기 때문에 전후복구가 매우 시급한 과제였고, [[신경제정책]]으로 자본주의적 요소를 일부 재도입했다. 이후 중소기업 활성화와 [[토지개혁]] 및 자영농 육성 등을 포함한 [[신경제정책]]으로 경제가 정상을 되찾고 나서는 좀 더 빠른 산업화와 늘어나는 빈부격차 문제 때문에 경제정책 노선에 대한 논쟁이 일었다. 1920년대의 대표적인 논쟁으로 [[니콜라이 부하린|부하린]]과 [[예브게니 프레오브라젠스키|프레오브라젠스키]] 사이의 논쟁이 있었는데 1928년 이오시프 스탈린이 프레오브라젠스키가 주장한 공업 중심의 전면적인 산업화 방식을 채택하여 [[5개년 계획]]을 시작한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대기근]] 문서에서 볼 수 있듯이 경제발전 과정에서 농촌이 황폐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고 이 때문에 경제성장률이 10%대를 웃도는 데 비해 구매력은 그에 걸맞지 않게 성장하지 않는 등 부작용이 만만치 않았다. 그럼에도 소련은 1930년대 산업화정책으로 [[대공황]] 당시 다른 선진국에 비해 실업률이나 경제위기 없이 안정적으로 운영하면서 산업화도 성공적으로 이룩하면서 소련을 세계 2위 경제대국으로 일구어냈다. 경제발전 외에도 계획경제가 가져온 부차적인 성과의 하나로 [[수리경제학]]의 발전이 있다. [[레오니트 칸토로비치]]를 비롯한 소련의 수학자들은 경제 계획을 세우기 위해 정교한 수리경제학적 방법들을 고안해 내었다. 소련의 학자들은 [[오가스]] 프로젝트를 계획하는 등 컴퓨터를 이용하여 경제 계획을 세우려 하였고 이는 [[컴퓨터과학]]의 발전에도 영향을 주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