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경제학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역사 == [[파일:external/www.capitalideasonline.com/Family%20tree%20of%20economics.jpg]] [[폴 새뮤얼슨]]의 '경제학의 가계도'[* 새뮤얼슨이 주로 활동한 시기는 1950년대 신고전학파 종합 시절이므로, 그 이후의 계보는 위 그림에는 없다.] [include(틀:경제학사(사상))] * [[1750년대]]: 화폐수량설의 기초가 [[데이비드 흄]]에 의해 발표됨. * [[1770년대]]: [[애덤 스미스]]가 [[국부론]]을 발간함. (애덤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이 세상을 움직인다''') * [[1830년대]]: [[쿠르노]]가 기업간의 경쟁을 도식화한 쿠르노 모형을 만듦. * [[1870년대]]: 한계혁명이 일어남. * [[1890년대]]: [[알프레드 마샬]]이 경제학 교과서를 씀. * [[1920년대]]: 콥-더글라스 생산함수의 발표. 호텔링의 선형 도시 모형 발표. 에지워스의 듀오폴리 모형 발표. NBER가 창설됨. * [[1930년대]]: 장기와 단기의 개념을 제이콥 바이너가 정립. 스타켈버그 모형 발표. 로널드 코즈가 거래비용 개념 발표. [[존 메이너드 케인스|케인스]]가 일반이론을 발표하며 거시경제학 정립. 힉스에 의해 신고전학파 종합이 시작. * [[1940년대]]: [[폴 새뮤얼슨]]의 '경제분석의 기초'가 출판됨. 신고전학파 종합이 널리 퍼짐. * [[1950년대]]: [[솔로우-스완 모형]]이 해로드-도마 모형을 대체하며 주류 경제성장이론으로 등장. [[필립스 곡선]]의 발견. [[통화주의]]가 떠오르기 시작함. * [[1960년대]]: 안나 슈워츠가 [[밀턴 프리드먼]]과 미국의 통화역사를 분석하며 화폐와 경기변동을 연결함. * [[1970년대]]: 스티글리츠, 애컬로프, 스펜스 등이 레몬 마켓, 신호이론 등을 통해 정보의 중요성을 보임. 카네만과 트버스키가 합리적 개인 가정을 공격하며 행동경제학 출범. [[로버트 루카스]]의 루카스 비판. 합리적 기대 개념의 도입. 로버트 홀이 [[밀턴 프리드먼]]의 항상소득가설을 검증함. * [[1980년대]]: 프레스콧과 쉬들란이 [[실물경기변동이론]]을 내놓음. 샤피로와 스티글리츠가 효율성임금 이론을 제시함. [[폴 로머]]의 내생성장이론 연구. * [[1990년대]]: 로렌스 볼과 데이비드 로머가 실질경직성과 명목경직성을 통해 시장이 불균형 상태로 들어가는 과정을 제시. 새로운 신고전학파 종합이 일어나면서 [[DSGE]]모델이 유행하기 시작함. * [[2000년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2008년 금융위기]]가 일어남. 위기의 발생 이유, 예방 방법, 수습 등에 대한 연구. 행동경제학, 비합리성을 지닌 경제활동에 대한 연구.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