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神威
(r4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EZ2AC 시리즈]] == [include(틀:EZ2AC 시리즈의 역대 보스곡)] || 장르 ||<-4> [[아트코어|Artcore]] || || 곡명 ||<-4> 神威 || || 작곡 ||<-4> [[sasakure.UK|TJ.hangneil]] || || 배경 ||<-4> [[Sta|Crolul]] || || 최초 수록버전 ||<-4> [[EZ2DJ 7th CV]] || || BPM ||<-4> 210 || ||<-5><bgcolor=#ffffff,#1c1d1f> '''[[EZ2AC : FNEX]] 기준 난이도 정보''' || ||<rowbgcolor=#fafafa,#242629> '''모드 / 난이도''' ||<colcolor=blue,#6495ed> '''NM''' ||<colcolor=DeepPink,salmon> '''HD''' ||<colcolor=#F2F,violet> '''SHD''' ||<colcolor=DarkViolet,MediumPurple> '''EX''' || ||<bgcolor=#008080><colcolor=white> '''5K RUBY''' || 10 || - || - || - || ||<bgcolor=#008080> '''5K ONLY''' || 8 || 12 || 15 || '''17''' || ||<bgcolor=#0063ff> '''5K STANDARD''' || 12 || 14 || 17 || '''18''' || ||<bgcolor=#0063ff> '''7K STANDARD''' || 13 || 15 || '''18''' || - || ||<bgcolor=#c71585> '''10K MANIAC''' || 12 || 16 || 18 || 19 || ||<bgcolor=#c71585> '''14K MANIAC''' || 10 || 13 || 18 || - || ||<bgcolor=#ffa500><color=#212529> '''EZ2CATCH''' || 13 || 17 || '''18''' || - || ||<bgcolor=#ffa500><color=#212529> '''TURNTABLE''' || 17 || - || - || - || * 코스 수록은 [[EZ2AC 시리즈/라디오 및 코스]]를 참고. * [[EZ2AC 시리즈/수록곡 일람|수록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EZ2DJ CV의 히든 곡이자 보스곡이었고, 최초 수록된지 많은 시간이 흘렀음에도 최고레벨 곡으로 유명하다. BPM은 210인데, BPM 215의 [[Dream Walker]]의 등장 전까지 EZ2DJ 시리즈 수록곡 중 가장 빠른 BPM였다. 또한 5K RUBY를 포함한 모든 모드에서 가장 평균 난도가 어려운 곡이기도 하다. [[EZ2DJ CV]]의 엑스트라 스테이지에서 최초로 플레이할 수 있었다. EZ2DJ CV 3.0 버전 기준, 플레이어 레벨이 상당히 높아야 플레이할 수 있었는데, 이후 패스워드 시스템의 알고리즘이 파훼되고, AMUNA WORLD라는 이름의 패스워드 생성기가 만들어지고, 만렙코드 생성법 등이 공개되면서 금방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CV의 최종판이 되었던 3.1 버전 기준으로는 기계의 퍼미션 레벨이 높거나 일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보너스 스테이지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어떤 기계는 기계의 퍼미션 레벨을 높힌 이후 보너스 레벨도 사라지고 이 곡도 등장하지 않는 버그가 있었다. 자세한 건 [[EZ2DJ CV]] 문서를 참고. 이후 EZ2AC EV 1.5 버전부터 선곡창에서 특수 글씨체 연출이 적용되었다. EZ2 시리즈의 난이도 인플레이션을 가속화 시킨 곡이다. 시대를 풍미했던 과거의 보스곡들인 [[Zeroize]], [[20000000000]], [[Fire Storm]] 등은 대다수가 5키에서만 난이도가 높았고 10키, 14키, 캐치 등의 다른 모드에서는 최고레벨에 다소 못 미쳤었다. 하지만 이 곡은 5키에서도 이전의 보스곡들을 모두 압도하는 고난도 패턴으로 무장하였고, 이외의 다른 모드에서도 최고레벨 또는 고난도 패턴이 추가되었다. 예외는 루비 믹스인데, 중~고레벨 사이이며 캐치에서는 4대 천왕, 14키에서는 Hyper Magic 때문에 부동의 최고난도 패턴이 되진 못했다. [[Soul Destructor]] CV2 패턴은 5키에서 유일하게 바이올렛 카무이 그 이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다른 모드는 허술한 구성이다. 게다가 애초에 더미파일 급의 패턴이 어쩌다가 보스곡 대접을 받게된 소디와 달리 카무이는 기획단계부터 최종보스로 구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매번 신작이 발매되며 구곡의 신패턴, 매 시리즈의 신곡이 추가되어도 여전한 체감난이도를 자랑했다. [[ApolloN]], [[Return to Universe]], [[Hyper Magic]], [[GEHENNA]] 같은 곡이 비슷한 포지션에 있다. 거기다 스크롤 및 판정 완화 이전의 바카는 현재에도 속칭 우제널디 코스들보다 한 수 위로 평가받으며 [[Encounter on orbit]] 18+ 패턴과도 어느 쪽이 확실히 더 어렵다고 단정짓기가 애매하다. 또한, 여전히 7키와 14키에선 판정, 스크롤 완화 전의 카무이를 최종보스로 보는 사람도 있지만 10키와 턴테이블은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 AE에서 스크롤 속도가 줄어들고 판정도 완화되어서 클리어에 다소 부담을 덜 수 있게 되었다지만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어차피 못 깨는 사람은 못 깨는]] EZ2AC의 고레벨 곡인 것은 여전하다. 고난이도 곡들이 추가되는 와중에도 전 모드 평균 난이도로는 최강에 위치해 있었으나, EV에서 [[Gothique Resonance]]가 카무이와 비슷한 난이도대로 등장하고 [[BEDLAM]], [[BlitzKrieg]], [[GEHENNA]]가 카무이를 뛰어넘는 난이도를 보여주었다. 패턴은 BGA를 맡은 sta(crolul)가 직접 제작하였다. 이는 [[EZ2AC : ENDLESS CIRCULATION]] 필드 테스트 당시 테스트 기기를 중계하던 목마 오락실 채팅방에서 개발자 znpfg이 직접 밝힌 사항이다. [[http://toez2dj.net/zeroboard/zboard.php?id=c_ez2dj2&page=1&no=274072|참고]]. 이후 디시인사이드 EZ2AC 갤러리에서 echospherics도 이 패턴에 대해 언급하였다. 단, 7키 쪽은 본래 패턴이 너무 심할 정도로 어려웠기 때문에 개발진에서 수정을 한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수정을 한 것도 매우 어렵다는 평가가 많다. 참고로 패턴을 제작한 직후 sta가 개발진에게 건넨 말은 '''[[wac|"이게 그렇게 어려운 건가요?"]]'''였다고 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