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神威/타사 리듬 게임 수록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사운드 볼텍스]] === ||<-5><colbgcolor=white,#1c1d1f>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난이도 ||<color=purple,#c6f> NOVICE ||<colcolor=orange,#dd0> ADVANCED ||<colcolor=red> EXHAUST ||<colcolor=dimgray,darkgray> MAXIMUM || || 자켓 || [[파일:神威(maimai).jpg|width=150]] || [[파일:神威(maimai).jpg|width=150]] || [[파일:神威(maimai).jpg|width=150]] || [[파일:神威(maimai).jpg|width=150]] || || 레벨 ||<color=purple,#c6f> 07 || 14 || 17 || 19 || || 체인 수 ||<color=purple,#c6f> 1452 || 2480 || 2615 || 3478 || || 일러스트 담당 ||<-4> [[Sta|Crolul]] || || [[사운드 볼텍스/이펙터|이펙터]] ||<-4> Arcana -Exceed- || || 수록 시기 ||<-4><color=#2f4f4f,silver> VI 119(2025/04/22) || || [[BPM]] ||<-4> 210 || 2025년 4월 22일 폴라리스 코드에 이어 사운드 볼텍스에 수록되면서 기어이 '''BEMANI 사상 최초로 수록된 EZ2DJ 오리지널 곡이 되었다.''' 사운드 볼텍스 역시 다른 리듬게임들과 마찬가지로 리마스터 버전으로 수록되었다. [youtube(fhhG2kpFvew, width=405, height=720)] MXM 채보 PUC 영상 MXM 채보는 함께 업데이트 된 [[What's up? Pop!]] MXM와 함께 19레벨로 등장했다. 전반적으로 노브보다는 노트 위주의 채보이며, 특히나 롱노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것이 특징. 초반에는 트릴과 [[Ether99]]를 연상케하는, 롱노트를 넓게 잡은 채로 칩노트를 처리해야 하는 원핸드가 주로 등장한다. 여기에 롱노트를 잡은 채로 12비트 FX트릴에 BT 잡노트가 즈레형태로 낀, 처리하기 난감한 패턴도 등장한다. 영상기준 38초 경에 등장하는 꾸물거리는 노브는 방치해도 이어지니 참고. 중반부에 등장하는 16비트 → 32비트 구간은 16비트 대우주 → 32비트 DCBA 계단의 형태로 등장했다. 사운드 볼텍스의 후한 판정 특성상 32비트 계단은 16비트 DC+BA 트릴로 처리해도 올크리티컬로 처리할 수 있다. 다만 세부판정을 노린다면 정타로 처리해야 한다. 이후로는 12비트 FX 트릴 + 8비트 BT 칩의 폴리리듬과 초반에 등장했던 롱잡+FX트릴+BT즈레 정도를 제외하면 무난하게 진행된다. 후반에는 다소 기습적인 손교차 패턴 이후 카무이의 상징과도 같은 후반 롱잡 패턴이 등장한다. 첫 4마디는 [[Chocolate Planet]]과 유사한 형태로 등장해 비교적 할만한 편이나, 다음 4마디는 FX롱노트도 끼어 들어가기 때문에 패턴을 읽기 상당히 난해하다. 이후 롱노트 원핸드가 이어지다 롱잡+BT폭타로 마무리.[* 롱노트 + 노브 원핸드 패턴 중 노브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바뀌는데, 일반적인 패턴처럼 손교차를 하면 왼손이 양 FX 롱노트 직후 BT-A 롱노트를 처리해야 하는 준무리배치가 된다. 정석적인 처리방법은 오른쪽 직각을 돌릴 때 왼손이 FX-L 롱노트를 잡고있다가 오른손이 BT-B 롱노트를 처리하고 왼손이 왼노브를 돌려주는 것. 물론 손이 커서 처리에 무리가 없다면 손교차를 해도 무방하다.] 클리어 난이도는 특유의 원핸드나 롱잡 처리력에 따라 개인차가 크게 갈리지만 대체로 19에서 중간 이상은 한다는 평. 스코어링은 체인수가 많기 때문에 일정 지점까진 할만한 편이나 상술한 즈레, 폴리리듬이나 롱잡트릴, 최후반의 롱잡 폭타 등이 판정을 내기 까다롭기 때문에 초고득점은 난이도가 상당히 올라간다. 채보의 평가는 상당히 좋은 편. 보는 것과 실제로 플레이할 때의 감각이 꽤나 차이나는 채보로, 원본을 사볼 스타일로 변주하며 고증하면서도 치는 맛이 좋다는 의견이 많다. 무리하게 난이도를 끌어올리지 않고 적당한 난이도로 등장한 것도 호평 요소. 다만 본가에서는 롱잡 이외에도 16비트 스크래치가 강렬한 채보로 등장했는데 노브가 상대적으로 밋밋하게 등장해서 아쉽다거나 EZ2ON, DJMAX와는 다르게 32비트 구간이 단순 계단으로 등장하는 것이 어딘가 허전하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해당 구간은 츄니즘에선 크리티컬노트 32비트 재봉틀로 손굴리기 형식으로, 마이마이에서는 32비트 상하 긁기로, 온게키에선 좌우 플릭 난사, 그루브 코스터에서는 연속 애드립 후 연타 노트로 등장하여 항상 해당 게임만의 요구치를 강하게 보여줬던 구간인 만큼 단순 계단으로 등장한 것에 아쉬움을 표하는 의견이 있다.] UC 이상 기준 총 체인수는 3478이지만 곡이 끝나면서 나오는 4동 롱노트를 제외하면 총 [[sasakure.UK|3390]]이다. 코나미 측에서 노리고 만든 것인지는 불명. [youtube(5Ybz_wy-oKw, width=405, height=720)] EXH 채보 PUC 영상 MXM 채보와는 다르게 노브를 적극적으로 사용한 것이 특징. 중반의 32비트 또한 16비트 계단노브를 어긋나게 한 형태로 등장했다. 난이도가 모난 곳은 없으나 전반적으로 손교차가 기습적으로 등장하므로 암기가 필요하다. 최후반의 롱잡은 칩노트 없이 롱노트만 등장하는 형태로 완화되어 등장한다. 니어 판정이 없는 시스템 특성상 처리는 널널하지만, 17레벨 내에선 생소한 형태이므로 롱노트 처리에 취약하다면 주의가 필요하다. MXM 채보와 마찬가지로 EXH 채보의 평가도 상당히 좋은 편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神威/타사 리듬 게임 수록, version=269, uuid=버전 bb2e566b-1d7d-4bfe-8ce0-40dca524309f)]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