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비교)
r15 vs r16 | ||
---|---|---|
1 | [[분류:철학]] |
|
1 | [[분류:철학]][[분류:나무위키 학문 프로젝트]] |
|
2 | 2 | [목차] |
3 | 3 | [clearfix] |
4 | 4 | == 개요 == |
5 | 본 학문은 철(Fe)을 주성분으로 하는 금속 재료, 즉 철강(steel and iron)의 제련, 제조, 가공, 조직, 성질 및 응용에 관한 제반 학문 영역을 포괄하는 학문 분야임. 광범위한 금속 공학(metallurgy)의 한 분야로서, 인류 문명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온 철강 재료의 심층적인 이해와 혁신적인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함. --이건 재료역학/공작법 이잖아-- |
|
5 | 인간의 본질에 대해 탐구하는 학문. [[사회학]]은 학문에 여러 사람이 필요하지만 철학은 혼자서도 할 수 있다. |
|
6 | 6 | |
7 | ==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
14 | ||
15 | ||
16 | ||
17 | ||
7 | == 역사 == |
|
8 | === 선사시대 === |
|
9 | 선사시대, 수렵과 채집을 기반으로 작은 집단을 이루어 살던 시기의 인간들은 생각이란 걸 할 틈이 없었다. 당장 내일 먹고 살 문제만 바라보며 살기에도 바빴기 때문이다. 자연과 인간을 구분하는 선은 먹고 먹히는 것 이외에는 없었기에, 인간과 동물은 하등 다를 바가 없었다. |
|
10 | ||
11 | 그러나 집단이 점점 커져 [[사회]]를 형성하고, 사회 내부에서 역할 분담이 생겼다. 이제 모든 사람이 한꺼번에 사냥과 채집에 나설 이유는 없어졌다. 즉, 잠시 쉴 시간이, 곧 '생각'할 시간이 생겼다는 뜻이다. |
|
12 | ||
13 | 쉬는 시간에 원시인들은 무얼 했을까? 대부분은 힘들어서 잠을 청했겠지만, 피로가 풀린 뒤 부터는 점점 여가시간을 자기가 하고싶었던, 궁금했던 일에 투자하기 시작했을 것이다. 누군가는 열심히 운동을 해서 사냥 실력을 길렀을 것이다. 다른 누군가는 사냥에 필요한 더 효과적인 무기를 개발했을 것이고, 또 누군가는 멧돼지를 다 먹고 남은 가죽을 몸에 걸치면 따뜻하다는 사실을 발견해냈을 것이다. |
|
14 | ||
15 | 활동적인 일을 싫어하는 사람도 있었을 것이다. 그런 사람들 중 누군가는 쉬는 시간에 벽화를 그려 [[역사]]를 기록하고, 오늘 먹고 남은 나무 열매를 어디엔가 담아두고 싶다는 생각도 했을 것이다. 돌과 돌끼리 [[음악|박자를 맞춰 두드리면 재밌다]]는 생각도 했을 것이다. 또 누군가는 멍하니 하늘을 올려다보다 [[자연과학|저 허연 덩어리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나]], 같은 쓸데없는 생각을 했으리라. |
|
16 | ||
17 | 이 "쓸데없는 생각"이 바로 철학의 시작점이다. 자연에 대해 생각하던 원시인들이 원인과 결과를 추론할 수는 없었을 것이니, 뭔가 초자연적인 존재가 자연 현상을 다룬다고 여겼을 것이다. 그 중 관찰력이 날카로웠던 누군가가 자연 현상의 몇 번 맞췄을 것이고, 사람들은 이 사람이 특별한 존재로써 자연과 통한다고 여겨 받들기 시작했다. 흔히 '샤먼'이라 불리는 이런 사람들은 자연을 탐구하고 그 결과를 사람들에게 알리는 역할을 맡아, 제사라는 특별한 의식으로까지 발전시켰다. 이들이야말로 선사시대의 과학자요, 철학자들이라고 할 수 있다. |
|
18 | ||
19 | 그렇게 실컷 바깥 세상에 대한 생각을 마친 인간은 마침내, '나'를 생각하게 된다. |
|
20 | ||
21 | === 고대 철학 === |
|
22 | 고대 그리스의 따뜻한 봄날 오후를 생각해보자. 하루 일과를 얼추 끝마친 당신은 딱히 할 일도 없겠다 아고라[* 그리스 풍 도시마다 있었던 넓은 광장을 말한다. 모 포털사이트 게시판이 아니다!]에 잠깐 놀러간다. 뭔가 재밌는 일이 없나 둘러보던 그때, 웬 목소리 큰 사람이 인간의 본질이 무엇인지에 대해 큰 소리로 논하기 시작한다. 아고라에선 자유로운 발언권이 보장되기 때문에 한마디 거들어주자, 목소리 큰 사람은 신나서 당신에게 질문을 마구 던지며 주장을 펼쳐나가고 더 많은 이야기들을 이끌어낸다. 당신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무언가 깨달음을 얻게 되고, 만족한 채 집으로 돌아간다. |
|
23 | ||
24 | 이 목소리 큰 사람이 고대 그리스의 대표적인 철학자 집단인 '소피스트'의 일원이고, 당신과 함께한 과정은 소피스트의 대표적인 철학 전개 방법인 '산파법'이다. |
|
25 | ||
26 | === 중세 철학 === |
|
27 | 아이러니하게도 인간은 다시 한 번 신의 품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당시 철학은 감히 신과 인간을 따로 생각하는 불경한 학문으로 특별 관리 대상이 되어 종교학과 일체가 되었다. 이 때의 기록은 오직 종교적인 관점에서 본 문헌만이 남아있어 [[역사]]의 입장에서도 암흑기라 부른다. |
|
28 | ||
29 | === 르네상스 === |
|
30 |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
|
31 | >---- |
|
32 | >르네 데카르트 |
|
33 | 아이작 뉴턴이 [[과학]]으로 인류와 자연, 그리고 신을 구분해내는데 성공해 인류의 지식 수준이 폭발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
|
34 | ||
35 | === 근대 철학 === |
|
36 | 두 차례의 세계대전으로 인해 집단과 사회의 광기에 휩싸였던 세계는, 대전 이후 극심한 우울에 시달리며 스스로의 존재를 의심하고 다시 긍정하는 실존주의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
|
37 | ||
38 | === 현대 철학 === |
|
39 | 먹고살만한지 쓸모없는 소리들만 하고 있다. |
|
40 | ||
41 | == 관련 문서 == |
|
42 | * [[제1원인론]] : 떡밥위키에 작성된 최초의 철학 관련 문서. [[NRS_]]가 중재를 맡았던 한 토론의 영향으로 유명해졌다. |
|
43 | * [[사회학]] : 문과 내에서 두 학문은 문제아지만 최강. 사회학이 철학의 동생격이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