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파리/TMI(비교)
r1133 vs r1134 | ||
---|---|---|
... | ... | |
57 | 57 | |
58 | 58 | [[부아내비]]라는 단어를 보면 이러한 인정욕구를 엿볼수있다. [[부아내비]]란 ''''부'''리는 게 '''아'''니라 '''내'''가 '''비'''빈거다' 의 약자로 왁타버스 내에서 이 말이 성행했을 정도로 왁타버스의 작업 구조는 대가를 바라지 않는[* 사실 대가를 요구하지 못하는 분위기에 가깝다.] 열정페이식 콘텐츠 제작 구조이다. |
59 | 59 | |
60 | 부아내비 작업자에게 남는 것은 자신의 스트리머가 수천, 수만명이 보는 방송에서 샤라웃 해줬다는 자부심과 뿌듯함. 즉 [[인정욕구]]만이 남게 되며 이는 [[부아내비]]의 이유가 오직 개인적인 인정욕구 때문임을 시사한다. 팬의 입장에서 매우 큰 정신적인 보상이지만 노동자의 입장에서는 아무런 보상도 받지 못한 것과 다름이 없고[* 제일 흔히 나오는 얘기가 왁타버스는 노동의 대가로 바나나우유 기프티콘을 던져주고 끝낸다는 것이다. 그것이 진실이든 아니든 대외적인 인식이 그렇다.] 스트리머와 그 추종자들이 끊임없이 [[부아내비]]를 염불처럼 얘기하는 분위기에서 정당한 대가를 요구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겠는가? 실제로 이세계아이돌의 데뷔곡 [[RE : WIND]]에 절반 이상 작사에 관여한 감자가비가 자신의 권리를 주장했을 때 이파리에게 무슨 일을 당했는지는 자명하다. 결국 이 부아내비는 우왁굳 및 이세돌 본인들이 앞장서 해결해야 하는 부분이지만 문제는 |
|
60 | 부아내비 작업자에게 남는 것은 자신의 스트리머가 수천, 수만명이 보는 방송에서 샤라웃 해줬다는 자부심과 뿌듯함. 즉 [[인정욕구]]만이 남게 되며 이는 [[부아내비]]의 이유가 오직 개인적인 인정욕구 때문임을 시사한다. 팬의 입장에서 매우 큰 정신적인 보상이지만 노동자의 입장에서는 아무런 보상도 받지 못한 것과 다름이 없고[* 제일 흔히 나오는 얘기가 왁타버스는 노동의 대가로 바나나우유 기프티콘을 던져주고 끝낸다는 것이다. 그것이 진실이든 아니든 대외적인 인식이 그렇다.] 스트리머와 그 추종자들이 끊임없이 [[부아내비]]를 염불처럼 얘기하는 분위기에서 정당한 대가를 요구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겠는가? 실제로 이세계아이돌의 데뷔곡 [[RE : WIND]]에 절반 이상 작사에 관여한 감자가비가 자신의 권리를 주장했을 때 이파리에게 무슨 일을 당했는지는 자명하다. 결국 이 부아내비는 우왁굳 및 이세돌 본인들이 앞장서 해결해야 하는 부분이지만 문제는 알고 있음에도 묵인하고 있다는 것이다. |
|
61 | 61 | |
62 | 62 | 우왁굳은 이를 묵인한 수준을 넘어, 오히려 작업자들의 인정욕구를 이용해 무급 작업 구조를 의도적으로 조장하고 설계한 결과에 가깝다. 이는 사이비 종교의 성격과 매우 닮아있는데, 우왁굳은 고멤, 작업계, 상현·하현 등의 계급 시스템을 만들어 부아내비 경쟁을 부추긴 뒤, 작업자들의 인정욕구를 이용하여 '더 많이 기여한 팬일수록 더 높은 평가를 받는다' 는 구조를 만들었다. 또한 사이비 종교의 세뇌 시스템처럼 "팬이니까", "팬과 스트리머가 같이 만드는 세계관이니까" 라고 끊임없이 주입하며 부아내비 분위기를 조성, 이를 따르는 것이 '참된 팬의 자세'처럼 간주되어 이를 어길 경우 집단적으로 혐팬치, 혐파리라며 낙인찍히는 환경이 형성됐다. 결국 왁타버스의 작업구조는 우왁굳이 팬들의 인정욕구를 이용해 의도적으로 설계한 무급 노동 시스템인 것이다. |
63 | 63 | === 숫자집착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