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세계아이돌/TMI(비교)
r40 vs r41 | ||
---|---|---|
... | ... | |
13 | 13 | 나무위키에서는 이들이 버추얼 아이돌이냐 아니냐를 가지고 논의가 있었다. 중재자 [[Hoto_Cocoa]]가 이들을 '방송인'으로 규정해 '출시'라는 단어를 한때 사용했을 정도. |
14 | 14 | |
15 | 15 | == 역할 연기(Role Playing) 부재 == |
16 | 이세계아이돌에게 RP라고 부를만한 설정이 없다는 점은 |
|
16 | 이세계아이돌에게 RP라고 부를만한 설정이 없다는 점은 타 버추얼 방송인과 가장 다른 점이고, 다소 이질적이라는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
|
17 | 17 | |
18 | ||
18 |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스스로의 인격을 구성한다. 가상 공간에선 상호작용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완전히 새로운 인격을 처음부터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RP가 상세할수록 이들을 처음 접하는 시청자들이 가상 공간에서 새로운 인물을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
|
19 | 19 | |
20 | ||
20 | 다시 말해, 아무리 많은 버추얼 방송인들이 RP를 초창기에만 쓰고 버린다고는 하지만 RP는 엄연히 버추얼 캐릭터의 중심을 지키고 있는 뼈대인 셈. 예를 들어, 이제는 버추얼 유튜버 계에서 고참 라인에 속하고, 시청자들과 솔직한 소통을 지향하는 바람에 RP가 거의 다 깨졌다고 봐도 무방한 홀로라이브 JP 3기생 우사다 페코라가 꼬박꼬박 자기 사는 곳을 '페코랜드'라고 부르는 것도 이러한 '설정'을 한번씩 상기시킴으로써 본인이 '버추얼' 방송을 하고 있음을 어필하는 행위이다. 오글거릴지언정 스스로의 버추얼 인격을 위한 일인 셈이다. |
|
21 | 21 | |
22 | 자기 나이도 그대로, 자기 사는 얘기도 그대로 해버리면 신규 시청자들이 '오그라드는' 상황을 피해 도망가는 걸 방지함으로써 진입장벽을 낮출 수는 있겠다. 그러나 이렇게 되면 '버추얼', 내지는 '이세계'라는 이름을 굳이 붙일 필요가 없을 것이기에 기존 버추얼 유튜버를 시청하던 층에게서는 RP를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걸 고려할 수 있냐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다. |
|
23 | ||
24 | 24 | 그래서인지, 이세계아이돌의 아바타에는 '이세계'에 해당하는 컨셉이 없다. 방송용 아바타를 만들 때 VR Chat에서 사용하던 판매용 아바타들을 구매해 기반으로 만들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래서 이들이 VR챗 컨텐츠를 하면 아바타를 그대로 들고 오거나 색깔만 바꿔오는 모습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https://youtu.be/pzuA8rQ1rSU?si=V4L19s1TmHrbZAdG|가짜 아이네]]가 대표적인 예시. |
25 | 25 | |
26 | 26 | == 공연 컨텐츠 관련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