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16 vs r17
... ...
32 32
> 교과서 집필 시 출처를 정확히 해야 한다. 그러나 교학사 뒤 출처를 살펴보면 싸이월드와 [[디시인사이드]] 등 웹사이트와 '''[[엔하위키]], 일명 위키백과(네티즌이 등록을 요구하면 자료가 등록되는 사이트)가 기재돼 있습니다.'''(후략)
33 33
위에서 보았듯, 일반인들은 '''엔하위키와 위키백과의 차이도 몰랐다'''[* [[위키]]와 위키'''백과'''를 혼동한 듯.]. ~~정확히는 [[엔하위키 미러]]이긴 했어도 이미 저 둘을 구분 못하는 이상 설명해 본 들...~~ 이런 상황이니 위키 좀 한다 하는 사람들은 빡빡한 규정과 유저층이 고착화된 위키백과 대신 리그베다 위키에 가서 편집했고, 이 덕에 리그베다 위키는 "지식을 재미있게 전달하는 잡학 위키"라는 타이틀을 갖게 된다.
34 34
35
그러나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이후 리그베다의 데이터를 전부 갖게 된 [[나무위키]] 시절부터 상황이 달라진다. 이후에 터진 [[여성시대 대란]]으로 나무위키가 제도권에 진입하면서 일반인들이 급속도로 밀려들었기 때문. 이중에는 위키백과에서 활동하다 넘어 온 사람들도 있다. 더 이상 이전 오타쿠 팬 내지 위키계 사람들만 아는 유머로는 새로운 유저층이 만족할 수 없었으며, 마침 지식 전달에 상대적으로 중점을 두는 사람들이 위키백과 대신 나무위키로 들어오면서 나무위키에는 유머 제공보다 비교적 정확한 지식을 싣는 백과사전의 역할이 더욱 중시되게 되었고, 당연히도 지식 전달에 방해가 되는 가독성을 저해하는 요소들(철 지난 유머, 취소선)은 지워지게 된 것이다. 또한 엔하계 위키 특유의 유머에 반감이 있는 경우에도 위백화를 지지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백괴 유머를 쓰면 됩니다.-- --이런 삐 같으니-- 그리고 여기서 밀린 사용자는 나무위키를 떠나거나[* 하지만 떠나도 [[리브레 위키]]외에는 갈 곳이 거의 없는데다 리브레는 어려운 미디어위키 문법과 나무위키와 다른 라이선스로 인해 나무위키에서 온 사람들이 적응을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다. 지금은 그나마 알파위키와 새문위키가 있기는 하지만...] 나무위키에 적응하는 길을 택하는 것이다.
35
그러나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 이후 리그베다의 데이터를 전부 갖게 된 [[나무위키]] 시절부터 상황이 달라진다. 이후에 터진 [[여성시대 대란]]으로 나무위키가 제도권에 진입하면서 일반인들이 급속도로 밀려들었기 때문. 이중에는 위키백과에서 활동하다 넘어 온 사람들도 있다. 더 이상 이전 오타쿠 팬 내지 위키계 사람들만 아는 유머로는 새로운 유저층이 만족할 수 없었으며, 마침 지식 전달에 상대적으로 중점을 두는 사람들이 위키백과 대신 나무위키로 들어오면서 나무위키에는 유머 제공보다 비교적 정확한 지식을 싣는 백과사전의 역할이 더욱 중시되게 되었고, 당연히도 지식 전달에 방해가 되는 가독성을 저해하는 요소들(철 지난 유머, 취소선)은 지워지게 된 것이다. 또한 엔하계 위키 특유의 유머에 반감이 있는 경우에도 위백화를 지지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백괴 유머를 쓰면 됩니다.-- --이런 삐 같으니-- 그리고 여기서 밀린 사용자는 나무위키를 떠나거나[* 하지만 떠나도 [[리브레 위키]] 외에는 갈 곳이 거의 없는데다 리브레는 어려운 미디어위키 문법과 나무위키와 다른 라이선스로 인해 나무위키에서 온 사람들이 적응을 힘들어하는 경우가 많다. 지금은 그나마 알파위키와 새문위키가 있기는 하지만...] 나무위키에 적응하는 길을 택하는 것이다.
36 36
37 37
== [[나무위키]]에서 ==
38 38
나무위키에서 [[나무위키/비판 및 문제점/문서 서술 관련|그동안 지적받던 문서 서술상의 비판]]이 주로 위백화의 대상이 된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