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r8 vs r9 | ||
---|---|---|
... | ... | |
24 | 24 | |
25 | 25 | 2018년 12월 29일에 플레이한 게임 One Hour One Life의 영상에서 그리핑 플레이 때문에 문제가 제기됐다. 이러한 그리퍼들의 플레이는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의 포럼에서도 자주 화두되는 이야깃거리다. 해당 플레이에 대한 의견은 2가지로 갈리는데 엄연한 트롤링 행위라는 의견과 그리핑 행위도 게임의 한 콘텐츠로 볼 수 있다는 의견이 있다. |
26 | 26 | |
27 | === |
|
28 | [ |
|
27 | === 2020년 유튜버 뒷광고 사건|유튜브 광고 미표시 논란 === |
|
28 | * [[https://www.youtube.com/watch?v=kuLg3GFvdnI|캣트릭스 영상]][* 캣트릭스 개발자 측에서는 뒷광고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https://www.fmkorea.com/best/3021197041|#]]] |
|
29 | * [[https://youtu.be/rfOj_ZZjTy4|피파 모바일 영상]][* 원래는 유료 광고 표시가 없었지만 사건 이후 추가됐다.] |
|
29 | 30 | |
31 | ||
32 | 그러나 '''이번 사건이 비판받는 점은 영상에 광고라고 분명하게 명시하지 않았다는 점(표시광고 심사지침)'''이다. 그렇기에 대부분의 시청자들이 광고임을 인지했더라도, 당시 유튜브에선 이런 행위가 관행이었다고 하더라도 우왁굳이 유료광고포함 문구 미표기를 했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
|
33 | ||
34 | 2020년 8월 5일 우왁굳 유튜브 커뮤니티에 사과문이 게시되었다. [[https://www.youtube.com/post/Ugw-VXwu0vmCNkGu_bN4AaABCQ|유튜브 커뮤니티에 올라온 1차 사과문]] |
|
35 | ||
36 | 이후 [[F1 2020]] 본선전 영상의 댓글로 뒷광고가 아님을 표기했다. |
|
37 | ||
38 | 2020 8월 7일 유튜브 커뮤니티에 2차 사과문이 게시되었다. 해당 사과문에는 사죄의 의미로 한 달 동안 메인 채널[* "우왁굳의 게임방송"] 업로드 하는 영상의 수익을 창출하지 않을 것이라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https://www.youtube.com/post/Ugz0sOk98UlwS7pJw714AaABCQ|유튜브 커뮤니티에 올라온 2차 사과문]] |
|
39 | ||
40 | 그런데 이후 서브 채널[* 당시 "우왁굳의 풀업로두" 현재 "왁타버스 WAKTAVERSE"]의 영상에 광고가 포함된 채 영상이 업로드 되어 이를 지적하는 댓글이 올라왔다. 우왁굳은 이에 대해 댓글로 '수익 창출을 하지 않겠다는 것은 메인 채널만이었다'고 해명하였고 당시 서브채널이 개설된지 얼마 되지 않아 조회수가 대부분 만 자리수대였기에 오히려 댓글 작성자에게 반박하는 답글들과 여론이 더 많았다.[* 이러한 우왁굳의 해명은 사실이다. 그러나 일반 대중 입장에서는 이러한 설명이 논리적으로 이해는 되도 사과라는 맥락 속에서는 납득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우왁굳은 이내 지적을 수용하여 2020년 8월 8일 서브 채널 역시 수익 창출을 포기할 것과 본인의 잘못을 인정하는 내용을 담은 사과문을 게시하였다. |
|
41 | ||
41 | 42 | === 저작권 침해 논란 === |
42 | 43 | ==== 왁타버스 고멤들의 모델링 무단 도용, 수정 논란 ==== |
43 | 44 | [[왁타버스 고정 멤버]]들 중 상당수가 실존 인물의 얼굴이나 상업적 캐릭터들의 모델링을 무단 도용 및 수정한 아바타를 사용하면서 불거졌었던 논란.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