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비교)
r18 vs r19 | ||
---|---|---|
... | ... | |
14 | 14 | >'''신은 죽었다'''. 신은 죽어 있다. 그리고 우리가 그를 죽여버렸다. 살인자 중의 살인자인 우리는 어떻게 스스로를 위로할 것인가? |
15 | 15 | >---- |
16 | 16 | >프리드리히 니체 『즐거운 학문』 |
17 | ||
18 | >'''신은 죽었다.''' |
|
19 | >----- |
|
20 | >니체 |
|
21 | ||
22 | >'''니체는 죽었다.''' |
|
23 | >----- |
|
24 | >신 |
|
25 | 25 | [[니체]]는 이성과 과학의 발전에 따라 '전통적인 종교 가치와 믿음', '신이라는 개념과 그에 기반한 도덕체계'가 현대 사회에서 그 의미를 상실했다는 점에 주목하였고, 이 상황에서 인간은 주체적으로 기존 규범의 공허를 대체할 새로운 가치와 의미를 만들어나가야 한다고 말한다. |
26 | 26 | |
27 | 27 | 한편으로는 이렇게 '기존'에서 탈피하여, 현실의 삶을 온전히 긍정하고, 자신만의 삶을 창조하는 이상적인 인간상 '초인(Übermensch)'에 도달하는 것을 억압하는 장애물(=외부의 힘 내지는 절대자)로써 신은 죽어야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