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비교)

r2 vs r3
... ...
10 10
11 11
당시 발음이나 문법 체계는 더 똑똑하고 많이 배운 놈이 있으면 더 자세히 추가바람.
12 12
13
한국어의 시대 구분은 고대 국어 - 중세 국어 - 근대 국어 - 현대 국어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국어의 역사는 말 그대로 동굴에서 불 피우고 살던 원시인들이 쓰던 원시 한국어부터 시작하겠지만 기록으로 남아있는 최초의 한국어 자료는 고조선의 백수광부[* 직역하면 백발의 미친 사람. 그냥 동네 정신병자다.]의 아내가 지었다고 알려진 공무도하가이다.[* 기록 자체는 고려시대에 되었지만, 노래 자체는 그 시대부터 구전된 것으로 추정한다.] 그 뒤로 확인할 수 있는 한국어 문학은 유리왕이 지었다는 황조가를 제외하면 죄다 신라-통일 신라 시대의 향가 위주이다. 삼국 시대의 기록 자체가 그렇게 많이 남아있지 않기 때문. 다만 서동요 같은 여러 향가를 통해서 옛날 옛적에도 우리가 쓰는 -을/를, -은 등의 조사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3
한국어의 시대 구분은 고대 국어 - 중세 국어 - 근대 국어 - 현대 국어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국어의 역사는 말 그대로 동굴에서 불 피우고 살던 원시인들이 쓰던 원시 한국어부터 시작하겠지만 기록으로 남아있는 최초의 한국어 자료는 고조선의 백수광부[* 직역하면 백발의 미친 사람. 그냥 동네 정신병자다.]의 아내가 지었다고 알려진 공무도하가이다.[* 기록 고려시대에 되었지만 노래 자체는 그 시대부터 구전된 것으로 추정한다.] 그 뒤로 확인할 수 있는 한국어 문학은 유리왕이 지었다는 황조가를 제외하면 죄다 신라-통일 신라 시대의 향가 위주이다. 삼국 시대의 기록 자체가 그렇게 많이 남아있지 않기 때문. 다만 서동요 같은 여러 향가를 통해서 옛날 옛적에도 우리가 쓰는 -을/를, -은 등의 조사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4 14
고구려, 백제, 신라 세 나라가 말이 크게 다르지 않았다는 점은 중국의 여러 역사서에서 고구려, 백제, 신라는 서로 말이 크게 다르지 않고 신라인의 말을 백제인이 통역했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15 15
16 16
중세 한국어는 시대로 따지면 통일 신라 말기부터 조선 시대 중기까지[* 복잡하게 생각하기 싫으면 양란 전후]라고 볼 수 있다. 제일 대표적인 자료가 훈민정음. 당시에는 한국어에도 중국어처럼 4개의 성조가 존재했고 현재는 단모음으로 취급하는 ㅔ,ㅐ도 어이, 아이 등으로 나누어 이중 모음처럼 발음했다. 예를 들어서 내는 나이, 네는 너이 식으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