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48 vs r49 | ||
---|---|---|
... | ... | |
4 | 4 | [목차] |
5 | 5 | [clearfix] |
6 | 6 | == 개요 == |
7 | [[Hebi.]] 비공식 [[총공팀]]에서 플레이리스트를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작[[https://x.com/Hebi_STREAM/status/1916907502878527842|#]][[https://archive.md/i5eBQ|@]]하는 중, 개발 과정에서 테스트를 위해 사용된 데이터에 PLAVE 총공팀 서버로 향하는 링크가 포함 |
|
7 | [[Hebi.]] 비공식[* 엄밀히 말해 총공팀은 원래 다 비공식이다. 공식이면 법적 리스크가 생긴다. 아래 용어설명 문단 참고] [[총공팀]]에서 플레이리스트를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작[[https://x.com/Hebi_STREAM/status/1916907502878527842|#]][[https://archive.md/i5eBQ|@]]하는 중, 개발 과정에서 테스트를 위해 사용된 데이터에 PLAVE 총공팀 서버로 향하는 링크가 포함된 것이 드러나면서 촉발된 사건이다. |
|
8 | 8 | |
9 | == 용어 설명 == |
|
10 | 해당 문서는 다음 용어를 알지 못하면 이해하기 힘들 수도 있어서 먼저 읽어보길 권합니다. |
|
11 | 11 | |
12 | === 총공 === |
|
13 | K-팝 팬덤, 특히 아이돌 팬덤 등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팬덤 내 일부 팬들이 결성한 '''총공팀''' 등의 안내에 따라 특정 목표를 위해 정해진 시간과 방식에 따라 일제히 행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좌표를 찍는다'''고 표현되는 행위로, 팬덤 내에서 팬질에 열성적인 일부 팬들이 팀을 꾸리고 행동 방식을 지정하는 것이다. |
|
14 | ||
15 | 총공의 종류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
16 | ||
17 | '''음원 총공''': 스트리밍 사이트의 순위를 올리기 위해 반영 기준에 맞춰 반복적으로 음원을 듣는 행위. |
|
18 | ||
19 | '''음반 총공''': 음반 구매를 유도하고 독려하는 활동. |
|
20 | ||
21 | '''투표 총공''': 각종 앙케이트나 시상식 등에서 특정 후보에게 투표하도록 유도하는 것. |
|
22 | ||
23 | '''유튜브 총공''': 유튜브 조회수와 순위를 높이기 위한 반복적인 시청. |
|
24 | ||
25 | '''SNS 총공''': 트위터, 인스타그램 등에서 특정 해시태그나 키워드를 활용해 실시간 트렌드에 아이돌 이름을 노출시키는 것. 다른 팬덤들도 행하기 때문에 보통 일정 시간을 정해놓는다. |
|
26 | ||
27 | '''기사/댓글 총공''': 기사의 댓글란 등에 좌표를 찍는 것. 최근에는 부정적 기사에 대한 총공은 줄어드는 추세이다. |
|
28 | ||
29 | ||
30 | 이 모든 총공 활동은 '''비공식'''적인 팬덤 내의 일로, 기본적으로 팬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된다. |
|
31 | ||
32 | 만약 이러한 행동을 소속사나 아티스트 본인이 주도할 경우, 이는 팬 활동이 아닌 '''이해당사자의 개입'''으로 간주되어 음원 차트 조작, 음반 판매량 조작, 투표 조작, 유튜브 순위 조작, SNS 실검 조작, 여론 조작 등으로 해석될 여지가 생긴다. |
|
33 | ||
34 | === 총공팀 === |
|
35 | 팬덤에 따라 명칭은 다르지만, 대개 '''총공팀'''이라 불리는 이들은 팬덤 내 자발적으로 구성된 '''비공식''' 조직이다. 이들은 총공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며 팬덤의 화력을 어디에 집중할지, 어떤 방식으로 행동할지를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 대체로 하나의 팬덤에는 인정받는 총공팀이 1개만 존재한다. |
|
36 | ||
37 | 총공팀은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므로, 팬덤 내에서도 "저 사람이면 믿고 따라간다"는 수준의 인정을 받는 광팬이 주도하지 않으면 팬덤에게 인정받지 못하고 잘 따르지 않는다. 에고 문제나 좆목 논란을 피하기 위해 팀을 만든 당사자조차 닉을 드러내지 않고, 총공팀 계정을 '''총공팀'''이라는 이름으로만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
|
38 | ||
39 | 39 | == 전개 == |
40 | 40 | === 4월 27일 === |
41 | 41 | 4월 27일 새벽 3시경 어드민 시스템에 대한 무단 외부 침입 공격으로 인해 배포된 서버 설정이 개발 환경으로 설정되며 request 트래픽이 PLAVE 총공팀 서버로 몰리는 일이 발생하였다.[[https://x.com/kms0219kms/status/1916844820712313173|#]][[https://archive.md/S9a78|@]][[https://x.com/kms0219kms/status/1916847749926207887|#]][[https://archive.md/iMvxu|@]][[https://x.com/kms0219kms/status/1916930729503822268|#]][[https://archive.md/IpPWQ|@]]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