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13 vs r14
... ...
17 17
18 18
저서 애도와 멜랑콜리아에서 우울증을 감정과 대상에 대한 애도로 정의했다.
19 19
20
현대에 이르러 프로이트 까기가 일종의 유행같던 시기가 있었는데 결국 현재까지 유아, 아동심리학에선 주구장창 우려먹히고 있다.
20
현대에 이르러 프로이트 까기가 일종의 유행같던 시기가 있었는데 결국 현재까지 유아, 아동심리학에선 주구장창 우려먹히고 있다. [*
21 21
22
문학과 영화, 회화를 막론하고 예술 분야에 끼친 영향력 또한 지대하다. [* 국내에서 프로이트의 이론에 충실한 작품의 예로는 김기덕 감독의 필모그래피 전부와 박찬욱 감독의 올드보이가 있다.]
22
문학과 영화, 회화를 막론하고 예술 분야에 끼친 영향력 또한 지대하다. [* 국내에서 프로이트의 이론에 충실한 작품의 예로는 김기덕 감독의 필모그래피 전부와 박찬욱 감독의 <올드보이>가 있다.]
23 23
24
== 여담 ==
25
찰리 카우프만의 영화 <이제 그만 끝낼까 해>에서 여주인공의 입을 빌어 “프로이트적인 개소리”라며 언급된 바가 있다. 이와 별개로 해당 영화는 서사 구조와 인물 유형 등에서 상당히 프로이트적이다.
26 26
27
2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