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r6 vs r7
... ...
8 8
일본의 [[지하 아이돌]] 그룹 [[제로 프로젝트]]에 대한 TMI다.
9 9
10 10
== 과연 이들은 아이돌인가? ==
11
작성중
11
일단은 지하 아이돌로 분류를 했지만, 이들이 [[아이돌]]이 맞긴 한가에 대한 고찰을 해보자.
12 12
13
제로프로는 Z1~Z5 다섯 단계의 리그로 나뉘어져 있다. 그리고, 이 중에서 고유 의상을 갖추고 팀별로 라이브에 출연하는 팀은 Z1/Z2 상위 리그의 팀들이다. 나머지 Z3 이하의 팀들은 라이브에 출연할 때 팀별이 아닌 블럭별로 3~4팀 단위가 한꺼번에 출연한다.
14
15
그래서 다른 그룹들의 경우 지하 아이돌 타이반에 출연하게 될 때 한 그룹이 나와서 온전하게 3~4곡을 부르고 나가는데, 제로프로 하위리그의 경우 한 팀이 1곡 부르면 다른 팀으로 바뀌어서 다시 1곡을 부르고... 이런 식으로 진행된다. 게다가 하위 리그는 제대로 된 고유 의상도 없이 라이브에 제복을 착용한다. 물론 멤버별로 제복 커스터마이징이 다르긴 하다.
16
17
그래서 상위 리그는 아이돌이 맞긴 하지만, Z3 이하의 하위 리그는 아이돌이라기보다는 '연구생' '연습생' 에 더 가까운 느낌이다. 게다가 특전회 시간이 되면 Z3 이하의 경우 10명 이상의 멤버들이 팬들에게 무서운 눈빛으로 자기를 찍어달라고 호소한다.
18
19
그나마 2024년 말부터는 하위 리그의 경우도 어느정도 줄이 길어지긴 했지만[* 이전에는 팀 이름 그대로 Z4나 Z5가 타이반에 출연하면 특전회 때 체키 찍는 사람이 제로인 경우도 허다했다.] 이것도 온전히 라이브 때문에 늘어난게 아닌, 이른바 '제로챠'라고 불리는 믹스채널 플랫폼 내에서의 경쟁 이벤트 때문에 그렇다.
20
21
믹스채널은 원래 스마트폰용 방송 플랫폼으로서, 이 믹스채널에서 여러 이벤트가 열려서 아이돌 멤버나 모델을 뽑는 경우가 많다. 심지어 K-POP 걸그룹의 일본인 멤버를 믹스채널에서 뽑을 때가 있다. 하지만 제로프로는 이 믹스채널을 자기들 멤버간의 경쟁 플랫폼으로 사용했다. 각 리그별로 상위 5명한테 신곡을 준다던가 정기공연에 출연시킨다던가 하는 특전을 걸었는데, 이것 때문에 이 제로챠라는게 시작된 뒤의 데뷔생들 중에서는 방송에서 도네를 많이 받는 사람들이 인지도가 생기게 되는, 주객전도가 된 현상이 생기고 말았다.
22
23
물론 유튜브나 트위치, 니코니코동화 등의 본격적인 인터넷 방송 플랫폼은 아니지만, 아이돌 라이브로서의 인기보다는 라이브 방송인으로서의 인기가 늘어나게 되는 현상이 과연 그룹의 미래에 올바른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든다.
24
25 25
== 주의사항 ==
26 26
멤버가 워낙 많은데다가, 멤버 각각의 인간관계도 있기 때문에 잘못 발을 들여서 교류하는 멤버들이 많아지다보면 결국 주머니 사정은... --팬의 재정을 제로로 만드는 프로젝트--
27 2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