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740 vs r741
... ...
21 21
[[버츄얼 유튜버]] 팬덤치곤 [[아줌마|40대 여성]] 비율이 높다.[[https://gall.dcinside.com/mini/board/view/?id=vtubersnipe&no=3216844&exception_mode=recommend&search_pos=-3197795&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40%EB%8C%80&page=1|#]]
22 22
23 23
=== 선민의식 ===
24
[[#선민의식|선민의식]]이란 '''[[이파리|팬덤]] 본인들이'''(다시 강조하자면 [[이파리|팬덤]] 본인들이) '''[[버튜버|버츄얼 유튜버]] 업계 및 메타버스 업계도하있다며 우월감을 드러내는 태도'''이다. [* 더 나아가 선도하고 있는것을 실제로 인정받고 싶어한다. 후술할 [[#인정욕구|인정욕구]]와 연결된다.]
24
[[#선민의식|선민의식]]이란 [[왁타버스]] 및 [[이파리|팬덤]] 본인들이(다시 강조하자면 [[이파리|팬덤]] 본인들이) '''[[버튜버]]/메타버스 업계구자이최고라며 우월감을 드러내는 태도'''이다. [* 더 나아가 선도하고 있는것을 실제로 인정받고 싶어한다. 후술할 [[#인정욕구|인정욕구]]와 연결된다.]
25 25
26 26
선민의식의 예시로, 3D 모델링을 이용해 생방을 진행하는 것이 기술적 우위라고 생각해 Live2D 기반 [[버튜버]] 팬덤에게 '[[지구견|너희들]]은 3D로 방송 안하냐?'는 식의 시비를 자주 걸곤 한다.[* 일본에선 3D보다 Live2D를 이용해 생방을 진행하는 편을 훨씬 선호한다는 점에서 기술적 우위라곤 딱히 할 수 없지만 이들에게 그런 건 중요하지 않다.] 일본 버츄얼 역사 태동기의 키즈나 아이부터 생각해보면 바로 알겠지만 3D를 초창기에 주로 사용했고, 점차 Live2D를 사용함으로써 일본 버츄얼 방송 중흥기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홀로라이브의 사쿠라 미코가 초창기 3D 모델을 활용하다 Live2D로 전환한 것이 대표적인 예.] 오히려 순수하게 비용만 따지면 3D를 기반으로 하는 뚜따[* 기성품 3D 모델링을 활용하여 개조하는 행위.]는 많이 들어야 수백 수준이지만 Live2D 기반 버츄얼 모델은 최소 수백에서 수천으로 기술력 만큼의 가격 차이가 있다. [* 물론 콘서트에서 쓸 수 있는 정도의 3D 기반 아바타는 최소 수천부터 시작한다.]
27 27
... ...
29 29
30 30
이러한 과도한 선민의식은, 수장인 [[우왁굳]]의 발언을 '[[고척돔]] 공연은 사실상 우리만을 위한 [[이세계 페스티벌#삭제콘|단독 콘서트]]'로 확대해석하게 만들었으며 이는 후술할 이세페2 논란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 다만 확대해석은 팬의 잘못이라 하기엔[[우왁굳]] 본인부터가 '단콘급' 콘서트라고 발언하여 확대해석을 유도한 것도 있다.]
31 31
32
실제로 업계 선도하고 있는지를 떠나서, 동종 업계에 대한 존중 없는 태도는 분명한 문제가 된다.
32
실제로 업계 선도하는 선구자인, 업게의 최고인지를 떠나서, 동종 업계에 대한 존중 없는 태도는 분명한 문제가 된다.
33 33
=== 인정욕구 ===
34 34
[anchor(인정욕구)]
35 35
>별 병신같은 걸 가지고 타인의 관심을 듬뿍 받고 싶어하는 행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