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455 vs r456
... ...
101 101
이 사건 이후 1년여가 지나 이세계아이돌의 분류에서 '아이돌'이 사라졌다는 걸 생각해보면 괜히 나섰다가 한 대 얻어맞은 셈. ~~업보다 업보~~
102 102
103 103
== 원작 비하 및 댓글창 패악질 ==
104
[[이세계아이돌]]이 곡을 커버하면 그 원곡 영상에 찾아가서 패악질을 일삼는다. "원곡 개별로네", "원곡보다 이세돌 커버가 낫네" 등 원작에 대한 존중없이 비교 및 비하를 일삼았고 이는 현재 진행형이다. [[https://m.dcinside.com/mini/vtubersnipe/3232450|#1]][[https://m.dcinside.com/mini/vtubersnipe/1534639|#2]][[https://m.dcinside.com/mini/vtubersnipe/1538537|#3]][[https://m.dcinside.com/mini/vtubersnipe/3048643|#4]][[https://m.dcinside.com/mini/vtubersnipe/245888|#5]][[https://m.dcinside.com/mini/vtubersnipe/187840|#6]][[https://m.dcinside.com/mini/vtubersnipe/2909916|#7]]
105
106 106
가면을 써서 타 팬덤 비호감작을 시도하기도 한다. [[https://m.dcinside.com/board/stream_new1/16168608|#1]] [[https://m.dcinside.com/mini/vtubersnipe/2009808|#2]]
107 107
108 108
원곡 초월 등의 드립은 아티스트 팬덤에서 심심찮게 나오는 말이긴 하지만, 그 수위가 심할시엔[* 왜 한정하냐면, 커버곡 측 아티스트 팬덤이 같은 팬덤의 구성원이 병신짓 하는 걸 인지하려면 원곡자나 팬의 항의가 들어오거나, 우연히 그 장면을 목격해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같은 팬'''들이 '''제지'''하고 '''사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들은 그러한 모습을 거의 보이지 않으며 원작자에 대한 존중과 배려를 보이지 않았다. 심지어 커버곡의 경우, 원작자의 저작물과 그 유명세를 이용해 자신을 홍보하는 것에 가까움에도 불구하고 그러는 것은 기본적으로 팬덤 문화에 문제가 있음을 암시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