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 아카이브(비교)
r50 vs r51 | ||
---|---|---|
... | ... | |
57 | 57 | |
58 | 58 | 총괄 프로듀서는 [[김용하(게임 개발자)|김용하]]로, [[넥슨게임즈|개발 모체]](음악, 삽화 등 포함)는 한국이다. 첫 서비스는 일본 서버에서 먼저 이루어졌고 한국 및 글로벌 서버는 [[넥슨]]이, 일본과 중국서버의 퍼블리싱 및 서비스 회사는 [[Yostar]]가 맡고 있다. 기본적으로 한국 넥슨게임즈의 게임으로 분류되나 성우나 운영, 미디어 믹스 등 요스타 또한 마찬가지로 게임의 서비스와 연관되었다.[* 전체적인 개발 모체는 [[넥슨게임즈]]이고 [[Yostar]]는 개발사인 [[넥슨게임즈]]의 요청에 따라 퍼블리싱을 맡게 된 형태이기 때문에 IP홀더는 [[넥슨게임즈]]이지만 일본 선출시 게임이니 만큼 일반적인 해외 개발사-로컬 퍼블리셔 간의 관계에 비해 퍼블리셔인 [[Yostar]]의 역할이 큰 편이다.[[http://gamefocus.co.kr/detail.php?number=138740|#]][[https://www.inven.co.kr/webzine/news/?news=283458|#]]] |
59 | 59 | |
60 | 공식적으로 쓰이는 별다른 약칭은 없으나 유저들 사이에서는 블아 또는 블루아카, [[몰?루|몰루겜]] 등으로 주로 불 |
|
60 | 공식적으로 쓰이는 별다른 약칭은 없으나 유저들 사이에서는 블아 또는 블루아카, [[몰?루|몰루겜]] 등으로 주로 불린다. 최근에는 [[울라리]]같은 입에 담지도 못할 끔찍한 어휘를 쓰는 놈들이 블카브, 루이브, 블루브 같은 뒤틀린 약칭을 유통하고 있다. 블루 아카이브라는 이름이 붙기 전에는 프로젝트 MX[* [[김용하(게임 개발자)|김용하]] PD가 [[https://youtu.be/qbIBIouvHNw?t=1271|2021 ndc]]에서 밝힌 바로는 미소녀 [[X-COM 시리즈|XCOM]]을 노렸기 때문에 '''M'''oe '''X'''com을 줄인 것이라고 한다.]라는 가제로 불렸다. 한국에 앞서 선행 서비스를 시작한 일본에서는 일본식 약어로 '브루아카(ブルアカ)'라고도 불린다.[* 이는 [[햄스터(게임 회사)|햄스터]]의 고전게임 복각시리즈인 [[햄스터(게임 회사)#s-3.2|아케이드 아카이브스]]를 일본에서 '아케아카'라고 부르는 것과 비슷하다.] |
|
61 | 61 | |
62 | 62 | == 요구 사양 == |
63 | 63 | === iOS / iPadOS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