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분류:나무위키]][[분류:2015년 설립]][[분류:엔하계 위키]][[분류:umanle S.R.L.]] |
2 |
|
[include(틀:접근 제한, 문서명=나무위키)] |
3 |
|
[include(틀:한국어 위키/엔하계)] |
4 |
|
[include(틀:umanle S.R.L.의 서비스)]
|
6 |
|
||<-2><tablealign=right><tablewidth=400><tablebordercolor=#00a495,#2d2f34><tablebgcolor=transparent><tablecolor=#010101,#fff><colcolor=#fff><col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495 30%, #13ad65)" dark-style="background: #2d2f34"
|
8 |
|
'''{{{+1 나무위키}}}[br]namuwiki'''}}} ||
|
10 |
|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
12 |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width=40%> [[파일:나무위키 아이콘.svg|width=75]] || [[파일:나무위키 로고(국영문).svg|width=190&theme=light]][[파일:나무위키 로고(국영문) 화이트.svg|width=190&theme=dark]] ||}}} ||
|
14 |
|
||<colbgcolor=#00a495,#2d2f34><width=30%> '''사이트 종류''' ||[[위키]] ||
|
16 |
|
|| '''소유''' ||[[umanle S.R.L.]][* 이전 소유자: [[namu]]] ||
|
18 |
|
|| '''사용 언어''' ||'''[[한국어]]'''[br][[영어]], [[일본어]]^^(열람만 가능)^^[* 사용하는 브라우저 기기 설정에 따라 영어, 일본어 사이트로 자동 리다이렉트 된다. 사이트 아래 '한국어' 버튼을 누르면 한국어 사이트로 접속 가능하며, 이 경우, 더 이상 자동 리다이렉트가 되지 않는다.][* 편집이나 토론 스레드 열람 등이 불가능하며, 사용자 문서 열람도 불가능하다.]||
|
20 |
|
|| '''위키 엔진''' ||[[the seed]][* [[나무위키:게시판|나무위키 게시판]]은 2021년 3월 15일부터 [[아카라이브]]에서 사용하는 엔진인 Live v2를 사용한다. 이전에는 [[XpressEngine]]를 사용했다.] ||
|
22 |
|
|| '''위키 문법''' ||[[나무위키:문법 도움말|나무마크]] ||
|
24 |
|
|| '''설립일''' ||[[2015년]] [[4월 17일]] '''([age(2015-04-17)]주년)''' [br] {{{#00a495,#00a495 설립일로부터 '''[dday(2015-04-17)]일'''째}}} ||
|
26 |
|
|| '''설립자''' ||[[namu]], [[나무위키:전직 특수 운영진#PPPP|PPPP]], [[kasio]] ||
|
28 |
|
|| '''운영진 수''' ||19명[*참고 '''[[나무위키:사측 관리자|사측 관리자]]를 제외한''' 나무위키의 선출직 관리자·중재자의 수.] ||
|
30 |
|
|| '''라이선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CC BY-NC-SA)|CC BY-NC-SA 2.0 KR]]||
|
32 |
|
|| '''회원가입''' ||선택 (가입 권장)[* 미가입 상태로 문서를 편집하거나 토론에 참가하거나 게시판에서 활동할 시 '''IP 전체가 영구히 노출'''되며 [[ACL]] 1단계가 걸린 문서부터는 편집 요청만 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입하는 것이 활동하기에 더 편리하다. 단, [[3단계 접근 제한]]이 걸린 문서 한정으로 해당 문서에 기여를 했다면 편집 요청 없이 바로 편집할 수 있다. 다만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 이후부터 SKT 사용자는 로그인을 해야 한다.] ||
|
34 |
|
|| '''영리 여부''' ||영리[* 2016년 5월 7일을 기해 [[umanle S.R.L.]]이 개발자 [[namu]]로부터 도메인, 위키엔진 라이선스 등을 포함한 나무위키 사이트 구성 전체를 이관받으면서 영리로 자동 전환되었다.] ||
|
36 |
|
|| '''전체 문서 수''' ||'''7400507개'''[* 일반 문서만 놓고 보았을 때는 [pagecount(문서)]개이다. 여기서 일반 문서 개수는 리다이렉트를 포함하며, 틀([pagecount(틀)]개)이나 분류([pagecount(분류)]개), 파일([pagecount(파일)]개), 사용자([pagecount(사용자)]개), 위키운영, 템플릿([pagecount(템플릿)]개), 나무위키([pagecount(나무위키)]개), 휴지통, 파일휴지통 이름공간의 문서를 제외한 결과이다. 특수기능, 토론, 투표, 시스템 이름공간은 문서가 없다.] ||
|
38 |
|
|| '''현재 상태''' ||운영 중 ||
|
40 |
|
||<-2> '''관련 링크''' ||
|
42 |
|
|| '''사이트 주소''' ||[[https://namu.wiki|[[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한국어 한국어 [[나무위키:대문]] 문서로 연결된다.] | [[https://en.namu.wiki|[[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영어 영어 [[나무위키:대문]] 문서로 연결된다.] | [[https://ja.namu.wiki|[[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일본어 일본어 [[나무위키:대문]] 문서로 연결된다.] ||
|
44 |
|
|| '''[[나무위키 뷰어|{{{#fff 공식 애플리케이션}}}]]'''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net.umanle.namuwiki|[[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width=20]]]] | [[https://apps.apple.com/kr/app/나무위키-공식앱/id1623510780|[[파일:App Store 아이콘.svg|width=25]]]] ||
|
46 |
|
|
|
1 |
[[분류:나무위키]] |
|
2 |
[include(틀:넘어옴, 넘어옴1=남간, 넘어옴2=나뮈, 넘어옴3=좆무위키, 넘어옴4=꺼무위키, 넘어옴5=꺼라위키)] |
|
3 |
[include(틀:위키)] |
26 |
4 |
[목차] |
27 |
5 |
[clearfix] |
28 |
6 |
== 개요 == |
29 |
|
||<tablebordercolor=#00a495,#2d2f34><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00a495,#2d2f34>||<width=370px>{{{#!wiki style="margin: 10px"
|
30 |
|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wiki
|
32 |
|
----
|
34 |
|
}}}{{{-2 공식 슬로건}}}}}} ||
|
36 |
|
나무위키는 [[umanle S.R.L.]]이 운영 중인 [[the seed]] 엔진 기반의 [[한국어]] [[위키]]이며, [[2015년]] [[4월 17일]]에 설립되었다. 국내 영향력 1위 위키이다.
|
|
7 |
[[https://namu.wiki/w/나무위키:대문|대문 링크]] |
34 |
8 |
|
35 |
|
읽기 한정으로 [[영어]]와 [[일본어]]도 자동 번역 기능을 통해 지원하고 있다.
|
|
9 |
국내 영향력 사실상 1위인 한국어 위키위키 사이트로, 좋든 싫든 빠와 까를 미치게 만드는 사이트다. 안에서도 밖에서도 욕만 처먹지만 결국 알게 모르게 남간을 조금씩은 보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다양한 싸움과 [[토론]], [[고세구 고지전|고지전]]의 주 무대가 되는 전장이다. |
36 |
10 |
|
37 |
|
== [[나무위키:상징|상징]] ==
|
38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무위키:상징)]
|
|
11 |
또한 [[나무위키 마이너 갤러리]] 및 [[나무위키 차단 소명 갤러리]]의 주 관람 무대이기도 하다. |
39 |
12 |
|
40 |
|
== [[/역사|역사]] == |
41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무위키/역사)] |
|
13 |
== 명칭 == |
|
14 |
스스로는 [[신지식의 성지]]라고 부르는 듯하지만, 대부분의 대중은 [[꺼무위키]]나 [[좆무위키]], 남갤에서는 [[남간]]이라고 불린다. 디시에서는 나뮈라고 불리기도 했으나 요즘은 사멸했다. |
42 |
15 |
|
43 |
|
== 설립자 == |
44 |
|
나무위키의 설립자는 [[namu]], [[나무위키:전직 특수 운영진#PPPP|PPPP]], [[나무위키:전직 특수 운영진#kasio|kasio]]이다. 이들은 [[리그베다 위키 게시판]]에 [[비회원]]으로 처음 등장했는데 나무위키 개설자들은 특정 단체나 집단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지 않으며, 지식의 사유화를 반대하고, 평화로운 방식으로 지식의 자유로운 공유를 지원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나무위키 설립 후 [[ztirf]], [[syndrome]]이 합류하면서 초창기 운영진이 구성되었다.[* namu가 직접 이 문서를 편집하면서 [[https://namu.wiki/history/나무위키?from=3249|수정코멘트]]로 ztirf와 syndrome은 나무위키가 설립된 이후에 합류하였다고 밝혔다.] 이후 [[:파일:namuwiki_n4.jpg|2015년 5월 8일 공지사항]]에서 syndrome이 밝힌 바에 따르면 당시 운영진들의 소임은 다음과 같다.
|
|
16 |
== 역사 == |
|
17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리그베다 위키)] |
45 |
18 |
|
46 |
|
* [[namu]] - [[백엔드(프로그래밍)|백엔드]] 개발자 |
47 |
|
* [[나무위키:전직 특수 운영진#PPPP|PPPP]] - [[프론트엔드(프로그래밍)|프론트엔드]] 개발자
|
49 |
|
* [[나무위키:전직 특수 운영진#kasio|kasio]] - 렌더러 개발자
|
51 |
|
* [[나무위키:전직 특수 운영진#ztirf|ztirf]] - 위키 관리 및 게시판 관리
|
53 |
|
* [[나무위키:전직 특수 운영진#syndrome|syndrome]] - 이슈 트래커 및 기타 이슈 관리
|
|
19 |
전신 [[리그베다 위키]]의 소유자 청동이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로 민심이 떡락하자 파라과이 국적이라 주장하는 정체불명의 [[umanle]]에게 팔아넘기며 나무위키가 시작되었다. 개발자들([[namu]] 등)이 DB를 포크하면서 제로베이스가 아닌 리베 시절 문서가 대부분 보존된 채로 출발했다. 괘씸하게도 이러한 포크+선점효과 덕에 포크 위키에 불과한 얘가 한국 위키 생태계를 거의 독식하고 제로베이스에서 시작하는 수많은 군소위키들을 말려죽였다.[* [[https://librewiki.net/wiki/한국어_위키#나무위키의_큰_영향력에_의한_문제|]] <- 여기에 나름 설명되어있다.] 군소위키 판리자를 전전하던 [[코코아]]도 이제는 나무위키 [[중재자]]가 본업이니 군소위키들이 얼마나 망했는지 짐작이 갈 거다. |
51 |
20 |
|
52 |
|
나무위키의 개발자들은 신상을 공개하지 않고 있는데, 여러 이유가 있지만 주된 이유는 법적 분쟁을 의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단 개발자들의 신원이 밝혀지면 나무위키에 불만이 있는 개인 혹은 단체들이 사방에서 고소를 걸 가능성이 매우 높고[* [[청동(인물)|청동]]이 [[리그베다 위키]]를 운영할 때 문서 관련해서 [[고소(법률)|고소]]·[[고발]]에 상당히 자주 시달렸다.] 리그베다 위키 측에서 [[법무법인]]을 동원한 광범위한 고소를 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개설자 [[namu]]의 [[:파일:namuwiki_n5.jpg|나무위키 Q&A 게시판 답변]]에 따르면 본업이 [[정보보호|정보 보안]]과 관련되어 있다고 한다.
|
|
21 |
2015년 여성시대 사건을 기점으로 한국 위키계의 선두 주자로 치고나섰다. |
53 |
22 |
|
54 |
|
나무위키가 소유권 이전을 거쳐 [[파라과이]]의 법인 [[umanle S.R.L.]]에 인수된 이후로 파라과이의 법을 준수하며 나무위키 개발자들은 현재 별도의 특별한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다.
|
|
23 |
하지만 천하의 남간도 세월이 흐르면서 [[위백화]](노잼화)를 피하지 못하고 있다. --근데 피하면 씹덕이라고 깔 거 아닌가-- |
55 |
24 |
|
56 |
|
== [[나무위키:역대 운영진|역대 운영진]] == |
57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무위키:역대 운영진)]
|
|
25 |
== 사이버 콜로세움 == |
|
26 |
대체 불가능한 꿀잼 보장 사이버 콜로세움, 마르지 않는 도파민의 샘. 지구 방방곡곡의 사관들이 시간 빌게이츠 논리배틀을 벌인다. 위키 덩치가 워낙에 커서 별의 별 해괴한 분야의 문서에서 토론이 열리고, 위키 단위에선 항시 몇 ~ 몇 십 건의 토론이 뜨겁게 유지된다. |
58 |
27 |
|
59 |
|
== [[:분류:나무위키의 기능|기능]] ==
|
60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분류:나무위키의 기능)]
|
62 |
|
나무위키는 자체 [[위키 엔진]]인 [[the seed]]와 자체적인 텍스트 문법인 [[나무위키:문법 도움말|나무마크]][* [[리그베다 위키]]에서 사용하는 [[모니위키]] 문법과 호환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리그베다 위키에서 [[포크]]한 문서들의 초기 판본을 보면 [[하이퍼링크]]나 이미지 파일이 깨져 있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설립 초창기에 [[namubot]]이라는 [[봇#s-2]]을 돌려 호환되지 않는 모니위키 문법을 수정했다.]를 사용한다. [[HTTP/2]]를 지원하며 아래에 있는 주요 기능 목록의 하이퍼링크를 누르면 각 기능을 설명하는 문서로 연결된다.
|
|
28 |
다양한 인터넷 커뮤와 이익집단이 [[외부 개입]]을 작당모의하고 몰려와서 서로 [[토론]]창에 참호 파고 총질해대는 곳이다. 사측에게 외부 개입인 거 걸리면 최소 4주 차단이지만, VPN으로 [[깡계]] 파서 작당하고 본계로는 정상인 코스프레 하는 방식으로 다들 활동한다. |
62 |
29 |
|
63 |
|
=== 대표 기능 ===
|
64 |
|
* [[the seed]] - 나무위키에서 사용되는 [[위키 엔진]]이다. |
65 |
|
* [[나무위키:도움말|도움말]] - 나무위키의 도움말 문서이다. 문서의 생성 · 삭제 · 이동 · 편집 요청 방법과 편집기에서 쓰이는 단축키를 설명한 [[나무위키:편집 도움말|편집 도움말]], 텍스트 · 색상 · 링크 · 표 · 매크로 등 the seed 엔진이 제공하는 다양한 위키 문법을 설명한 [[나무위키:문법 도움말|문법 도움말]], 나무위키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설명한 [[나무위키:기능 도움말|기능 도움말]] 등 여러 종류의 도움말이 존재한다.
|
67 |
|
* [[나무위키:FAQ|FAQ]] - 자주 들어오는 질문의 답변을 정리한 문서이다.
|
69 |
|
* [[문서#위키에서]] - 나무위키에 있는 개별 페이지들을 문서라고 한다. [[:분류:나무위키의 규정|나무위키의 규정]]에 맞게 문서를 작성해야 하며 나무마크를 통해 문서를 편집할 때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
71 |
|
* [[이미지 업로드]] - 파일을 나무위키 서버에 올려 문서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기능이다. [[:분류:파일]] 문서에서 나무위키에 업로드된 파일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전에는 [[imgur]] 등의 외부이미지를 업로드하고 나무위키에 핫 링크를 했었지만 지금은 기능이 막혀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자세한 이유는 [[imgur#s]] 문서 참고.] 대부분 이미지에는 라이선스가 있어 [[저작권 침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할 때 주의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에는 틀을 삽입하여 알려준다.]
|
73 |
|
* [[분류#나무위키의 문서 분류 기능]] - 나무위키 문서들을 각 주제에 맞게 분류할 수 있는 기능이다. 최상위 분류는 [[:분류:분류]] 분류다.
|
75 |
|
* [[틀#위키의 틀]] - 안내 기능을 하거나 비슷한 다른 문서들을 묶어주는 박스이다. [[나무위키:틀]] 문서나 [[:분류:틀]] 문서에서 나무위키의 틀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
77 |
|
* [[:분류:템플릿|템플릿]] - 동일한 주제의 여러 문서에 일괄적으로 적용되는 문서를 만들 때 사용하는 양식이다. [[:분류:템플릿]] 문서에서 템플릿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
79 |
|
* [[나무위키:토론 도움말|토론]] - 문서 작성에 관해 의견 충돌이 벌어졌을 경우, 토론 합의를 통해 더 좋은 문서를 만들어가기 위한 기능이다.
|
81 |
|
* [[나무위키:내 문서함|내 문서함(즐겨찾기)]] - 주시 문서 기능으로, 로그인 후 내 문서함에서 스타를 체크한 문서 목록을 문서의 최근 편집 일자순으로 모아서 볼 수 있다.
|
83 |
|
* [[나무위키:프로젝트|프로젝트]] - 나무위키 사용자들이 위키 기여를 더욱더 알차게 하도록 자발적으로 개설하여 서로 협력하면서 문서 기여를 하는 프로젝트이다. 프로젝트 목록은 [[:분류:나무위키 프로젝트]]에서 볼 수 있다.
|
85 |
|
* [[나무위키:문서 작성 요청|문서 작성 요청]] - 나무위키에 아직 없는 문서 중 필요하다고 느껴지는 문서들을 요청하는 집단연구 성격의 메타 문서다.
|
87 |
|
* [[나무위키:주요 페이지 링크|주요 페이지 링크]] - 리그베다 위키 시절의 흔적으로, 주제별로 문서를 모아놓는 [[메타 문서]] 목록의 일부를 나열한 문서이다. 메타 문서 목록은 [[:분류:메타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
89 |
|
* [[나무위키:게시판|게시판]] - 공지사항을 확인할 수 있으며, 문의, 신고, 차단 소명, 편집 요청 승인/닫기 요청, 다중 계정 검사 요청, 토론 종결문의 등을 할 수 있다. 그루터기에는 사용자들이 나무위키와 관련된 범위 안에서 자유로운 글을 올릴 수 있되, 다른 게시판에 부합하거나 타 이용자를 비난하는 글 또는 운영에 방해가 되는 글을 작성하면 삭제될 수 있으니, 하지 말아야 한다.
|
91 |
|
* [[나무위키:통계|통계]] - 나무위키의 문서 수를 네임스페이스별로 각각 확인할 수 있는 곳이다.
|
93 |
|
* [[나무위키:연습장|연습장]] - 나무위키의 문법이 잘 적용되는지 테스트해 볼 수 있는 곳이다.
|
95 |
|
* [[나무위키:보존문서|보존문서]] - 기록 보존을 위해 보존된 운영 관련 문서들이다. 보존문서의 목록은 [[:분류:보존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원칙적으로 편집이 금지된다.
|
97 |
|
* [[사용자 문서]] - 각 계정 당 하나씩 가지게 되는 [[사용자]] 고유의 문서이다. 계정 사용자와 관리자와 [[나무위키:사용 승인된 봇 계정 목록|봇 계정]]만 편집할 수 있다.[* 관리자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사용자 문서에 개입하지 않으며, 규정에 위반되거나 명백히 문제가 되는 내용을 삭제할 때만 개입한다.]
|
99 |
|
* [[위키/스킨#나무위키에 있는 스킨|스킨]] - 나무위키에 적용할 수 있는 스킨으로, 나무위키 기본 스킨인 espejo와 로그인 후 설정할 수 있는 [[리브레 위키]] 스킨의 liberty가 있다. 두 스킨 모두 밝은 화면과 [[나무위키:테마|어두운 화면]]을 설정할 수 있다.[* 다크모드(어두운 화면)는 비로그인 상태에서도 설정이 가능하다.]
|
101 |
|
* [[나무위키:더미|더미]] - 무의미한 뻘문서가 만들어진 경우 일반 사용자들로 하여금 접근하기 어렵게 만들기 위한 기능이다. '더미:(무의미한 문자열)'과 같은 형식으로 문서명을 바꾸는 행위를 더미화라고 한다. 콜론(:)이 들어간 문서명 때문에 [[네임스페이스]] 중 하나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으나 [[관습]]일 뿐 실제로 존재하는 네임스페이스가 아니다.
|
103 |
|
* [[휴지통(나무위키)|휴지통]] - 더미와 비슷하지만 '휴지통:'은 더미와 달리 나무위키 시스템에서 실제로 존재하는 [[네임스페이스]]다. 네임스페이스 [[ACL]]이 관리자만 읽기 가능으로 되어 있어 일반 사용자는 문서 내용뿐만이 아니라 문서 역사도 알 수 없다. 악성 차단회피자가 만든 문서나 개인 정보가 들어간 문서 등의 로그를 말소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
|
30 |
||<nopad> [youtube(NJdhCNI2ils)] || |
|
31 |
|| [[김성회|구독자 90만 렉카 놈]]이 각 잡고 다뤄서 영상을 뽑을 정도.[br]누가 남간 토론 중계 / 해설 유튜브 채널 파라 흥할 거다. ~~[[외부 개입]]으로 썰리지 않길 빌자~~ || |
85 |
32 |
|
86 |
|
== 법적 책임 및 한계 ==
|
87 |
|
=== 해외 법인과 한국 법의 관계 ===
|
89 |
|
[[파라과이]] 법인인 유한책임회사 [[umanle S.R.L.]]이 나무위키를 인수하면서 나무위키가 파라과이 법은 지키되 [[대한민국 헌법|한국 법]]을 지킬 의무는 없어졌다. 따라서 나무위키는 한국 법을 따를 의무가 없다. 그래서 [[국가보안법]]을 위반하는 서술이나 파라과이에서는 합법인 [[성인물]][* [[아청법|아동 및 청소년 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 자료 포함.]도 올릴 수 있다.[* 단, 진짜로 성인물을 올릴 경우엔 나무위키 측에서 제재를 가한다. 즉 예를 들어 [[에로게]]에 대한 문서를 만들경우 해당 게임에 대한 정보를 서술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H신]]을 직접 업로드 할 경우 제재를 받는다.] [[명예훼손]]도 한국보다는 느슨한 파라과이의 명예훼손법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한국 경찰의 지시에 따라 회원 정보를 한국 경찰에게 넘기면 파라과이의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이니 만약 한국 경찰이 나무위키 회원의 정보를 알고 싶다면 파라과이 경찰에게 협조 공문을 보내야 한다.
|
|
33 |
18년도에 정치병자들을 대놓고 감싸더니 23년도에 자체 실시간 검색어가 도입되면서 렉카성이 더 짙어졌다. 폐지된 네이버 실검을 대체하고 있다는 암묵의 인식 때문인지 대놓고 말은 안해도 엄청 신경쓴다. 현재 펨코 포텐에 거의 먹혔고 뻘키워드가 갑자기 실검에 올라가는 식으로 영향력을 과시 중인데, 사판은 별다른 대처를 못 하고 있다. |
89 |
34 |
|
90 |
|
[[파라과이]] 경찰은 일반적으로 파라과이 법 위반 사항에 대해서만 한국 경찰에게 협력하므로 문서 작성 시 파라과이 법만 잘 지키면 크게 위험할 일은 없다. 파라과이 현지 경찰이 회원 정보를 요구하더라도 법적으로 법원의 [[영장]]이 있어야만 회원 정보 제공 의무가 생긴다. 오히려 사용자 정보를 이러한 과정 없이 한국 경찰에게 알리면 파라과이의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처벌받을 수도 있다. 단, 한국에 거주하는 사람이 전체 [[IP]]가 드러나는 비회원 상태로 문서를 작성하게 되면 신원이 드러나게 되어 한국법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다.
|
|
35 |
== 비판 == |
|
36 |
[[우만레]] 병신이면 개추 |
91 |
37 |
|
92 |
|
그래도 2016년 8월부터 [[임시조치/나무위키|임시조치]] 요청을 받고 있다. 문제는 내용의 적합성과 상관없이 비리 정치인이든 사회에 물의를 끼친 사람이든 누구라도 자신에 대한 문서가 보기 싫을 때 본인의 서술이 들어가 있는 문서를 통째로 삭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운영진이 임시 조치의 적합성을 판단하지 않고 기계적으로 삭제하기 때문에 서술의 자유가 침해될 여지가 있다는 주장도 있으나 권리자에게 문서 제거 요구를 받을 때마다 나무위키에서는 [[나무위키:투명성 보고서]]에서 해당 내용을 공지하고 있으며, 기여자[* 해당 문서에 유의미한 기여를 한 사용자 한정. 단순한 문법 추가, 윤문, 이전 버전 되돌리기, 토론에만 참여한 경우는 유의미한 기여가 아니다.]의 이의제기 요청을 통해 문서를 복구할 수도 있다.
|
|
38 |
불쌍한 [[나무위키 관리자]]들을 무급으로 부려먹는게 큰 문제점 가운데 하나다. 노예들은 순수한 사명감에 지원해 노동착취에 시달리다가 찐따화 흑화하고 선민의식에 찌들어 븅신같은 운영을 하기 일쑤다. [[남갤]]에서는 남간의 대들보인 [[베가]]에게 월급 좀 주라고 동정론이 일기도 하였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namuwiki&no=96345|#]] 선점효과+찐따가 알아서 [[부아내비]]하는 제도 덕택에 사판들은 띵가띵가 놀면서 부귀영화를 누리게 되었다. |
93 |
39 |
|
94 |
|
파라과이에 본사가 있으면 [[https://ko.wikipedia.org/wiki/단기 보호 기간 조항|단기 보호 기간 조항]](rule of the shorter term)에 의해 문제가 생긴다는 주장이 있다.
|
|
40 |
[[위백화]][[https://namu.wiki/thread/AnExultantAndLamentableMatch|#]][* 2025년 6월 16일부터 완전히 오유를 망쳐놓은 시게의 불편러들처럼 위백화되었다.], [[라레나]], [[남갤]], [[남소갤]] 등 나무위키에 대한 비판에 조금이라도 접근할 수 있는 주제의 항목은 작성이 금지되어 있다. 나무위키/비판 문서에도 사측에 대한 비판은 일절 없으며 저 문서의 존재 이유가 '우리는 자기비판을 허용한다'는 거짓된 인식을 심기 위한 기만용이다. 사측에 대한 비판을 조금이라도 남간 안에서 언급한다면 [[사판]]이 너를 [[운영 방해|운방빔]]으로 죽일 것이다. |
95 |
41 |
|
96 |
|
=== 속지주의와 속인주의 ===
|
97 |
|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나무위키 이용자는 해외에 체류 중일 때 [[속지주의]] 원칙을 따르는 현지 법률과 [[속인주의]] 원칙을 따른 대한민국 법률이 동시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하며 아무리 대한민국 밖에 있더라도 대한민국 국적을 지닌 작성자가 대한민국으로 들어오면 한국 법으로 제재당할 수 있다.
|
|
42 |
나무위키 내 충성파만을 걸러내려고 일부러 갈드컵성 차단을 남발한다고 하는데 이러면 지들이 싫어하는 디시랑 뭐가 다른지 모르겠다. |
98 |
43 |
|
99 |
|
기본적으로 법적인 책임은 게시물의 최초 작성자나 그 내용을 복사하여 배포한 사람이 지지만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도 게시물 관리에 대한 책임이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서비스 이용자가 올린 저작권 침해 게시물에 대해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가 이를 직접 확인하였거나 [[미필적 고의|미필적]]으로 인식하였을 경우에는 방조 책임이 있다. [[http://oneclick.law.go.kr/CSP/CnpClsMain.laf?popMenu=ov&csmSeq=193&ccfNo=4&cciNo=2&cnpClsNo=2&menuType=prec|서울중앙지법 판례 참고]].
|
|
44 |
=== 다른 위키들의 통렬한 일침 === |
|
45 |
[[https://www.alphawiki.org/w/나무위키/비판 및 문제점|알파위키 - 나무위키/비판 및 문제점]] |
|
46 |
[[https://librewiki.net/wiki/나무위키/문제점|리브레위키 - 나무위키/문제점]] |
100 |
47 |
|
101 |
|
나무위키의 운영 회사가 [[파라과이]]에 있으니 나무위키가 어떤 짓을 해도 한국 법이 적용되지 않는 [[치외법권]]인 줄로 착각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는데 이것은 나무위키 [[법인]]에 대해서 한국법이 적용받지 않는다는 의미이지, 나무위키에서 한국인 편집자가 문서를 편집했을 때나 한국인 관리자가 나무위키의 운영에 관한 조치를 취할 때 한국 법을 적용받지 않는다는 의미는 결코 아니다. '''대한민국 법은 속인주의와 속지주의가 모두 적용되기 때문에''' 나무위키 서버와 법인이 외국에 있다고 해도 편집자나 나무위키 관리자가 한국인이면 나무위키에서 했던 한국 법 위반 행동은 한국법의 처벌 대상이다. 따라서 수사기관에 의해 신상이 밝혀지면 한국 법에 의해 수사 내지 처벌을 받게 될 수 있다. 그리고 편집자가 외국인이라 하더라도, [[형법의 적용범위|외국인이 대한민국 영역 외에서 대한민국 국민에 대해 범죄를 저지른 경우에는 국내 형법을 적용할 수 있다.]][* 외국 영토에서는 한국 관할권이 없어 체포 또는 처벌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속지주의#s-3|나무위키는 파라과이 서버이기 때문에]] 한국 수사기관이 외국에 범죄자 인도 요청을 할 수 없다. 하지만 한국 수사기관이 해당 외국인을 특정하는 것은 가능하기 때문에 어느날 그 외국인이 한국에 입국하는 순간 바로 공항에서 체포되어 외국법이 아닌, 한국의 법으로 재판을 받게 된다.]
|
|
48 |
보고 반성해라 만레야 |
102 |
49 |
|
103 |
|
[[umanle S.R.L.]]이 고소 주체에게 아이피 등의 개인 정보를 제공하거나 편집자 본인이 스스로 자신의 행적을 떠들고 다니는 경우 집 인터넷 [[IP]]이든, 휴대폰 IP이든 간에 아이피만 있으면 사용자의 법적 주소를 찾아 추적해 낼 수도 있다.
|
|
50 |
== 논란 및 사건 사고 == |
|
51 |
실검 조작 사건이 많다. 이파리 관련한 실검 조작은 [[이파리/TMI]] 문서의 [[이파리/TMI#s-5.2|5.2]]번 문단 참고. |
104 |
52 |
|
105 |
|
나무위키가 한국 법을 적용받지 않는다는 것이 나무위키 내에서의 과도한 [[명예훼손]]성 서술 등의 행위를 맹목적으로 허가한다는 뜻은 결코 아니다. 그러니 굳이 위험한 글을 작성하게 된다면 '''비로그인 상태로 작성해 [[IP]]를 남길 경우''' 한국 법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다. 대한민국 법으로부터 안전한 것은 나무위키 사이트나 상법상 운영 주체인 umanle 법인 자체일 뿐 대한민국에서 나무위키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이나 위키 관리자가 아니다.[* [[https://board.namu.wiki/free/2007454|단, 1시간 이내의 IP 기여내역을 사용자 기여로 이전할 수 있다.]]]
|
|
53 |
== 특징 == |
|
54 |
알파위키와 서버가 같아서 차지하는 사이버네틱 땅덩어리가 많다. 그래서 알파위키는 나무위키가 먹다 남은 서버를 주워서 연명한다. 이건 뭐 유희왕의 초기 사이킥족도 아니고. |
106 |
55 |
|
107 |
|
만약 나무위키가 [[사회적 협동조합]], [[비영리 사단법인]], [[재단법인]] 등으로 [[비영리 단체]]화할 경우 단체를 해외에 설립하면 한국 법에서 어느 정도 벗어날 수 있으나 한국 거주 위키 사용자들의 참여가 어려울 수 있다.
|
|
56 |
2025년 7월 11일부터 난독증게이들한테 나뮈 침공의 정당성을 열어줬다. 알아서 하든지 말든지 나무위키의 자업자득이지 굳이 제3자가 왜 나뮈랑 위백화를 용서하고 사랑해야 함? |
108 |
57 |
|
109 |
|
=== 저작권 === |
110 |
|
[[저작권]]은 [[베른 협약]]으로 보호되며, 전 세계 어디에 있어도 극히 일부 국가를 제외하면 저작권을 침해하는 행위는 당연하게도 '''불법'''이다. '''심지어 [[중국]]과 [[북한]]까지''' 어디에도 피할 곳이 없다. 파라과이 법상 불법인 경우, 즉 [[저작권법]]을 위반할 경우[* 파라과이는 베른 협약 가입국이므로 당연히 처벌받는다.] 파라과이 [[사법부]]가 한국 경찰/검찰에게 고소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
58 |
== 관련 커뮤니티 == |
|
59 |
* [[나무위키 마이너 갤러리]] |
|
60 |
* [[나무위키 차단 소명 마이너 갤러리]] |
|
61 |
* [[떡밥위키]] |
|
62 |
* [[나무위키 실검 알려주는 채널]] |
111 |
63 |
|
112 |
|
운영 회사가 파라과이에 있기 때문에 [[저작권]] 및 [[데이터베이스권]] 침해와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 문제로 운영 주체에게 소송을 걸 경우 회사가 위치한 파라과이 법원에 소송을 걸게 되며, 이 경우 [[오픈 소스]] 관련 판례도 없는 [[대한민국]]보다는 [[GPL]] 및 [[CCL]]에 한국보다는 친화적인 파라과이 법정에서 재판하는 것이므로 나무위키 측에 더 유리할 것으로 전망된다. 게다가 한국 저작권자들은 파라과이 기준으로는 외국 기업이기 때문에 파라과이 정부의 허가 없이는 그들 자체적으로 직접 제재를 할 수 없다. 외교와 관련된 문제이자 [[내정간섭]]으로 오해되기 때문에 그나마 실효성 있는 [[임시조치/나무위키|임시조치]]를 통해서 간접적으로나마 제재하는 것이다.
|
113 |
|
|
114 |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s-4.5|CC BY-SA]] 4.0인 [[위키백과]],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s-4.5|CC BY-SA]] 3.0인 [[리브레 위키]]의 내용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s-4.6|CC BY-NC-SA]] 2.0인 나무위키로 퍼올 수 없으며, 반대로 나무위키의 문서를 위키백과나 리브레 위키로 퍼갈 수도 없다.
|
115 |
|
|
117 |
|
== [[/영향력|영향력]] ==
|
119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무위키/영향력)]
|
121 |
|
|
123 |
|
== [[/비판 및 문제점|비판 및 문제점]] ==
|
125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무위키/비판 및 문제점)]
|
127 |
|
|
129 |
|
== [[/불안정 요소|불안정 요소]] ==
|
131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무위키/불안정 요소)]
|
133 |
|
|
135 |
|
=== [[/서버 에러 기록|서버 에러 기록]] ===
|
137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무위키/서버 에러 기록)]
|
139 |
|
|
141 |
|
=== [[/서버 트래픽 오류|서버 트래픽 오류]] ===
|
143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무위키/서버 트래픽 오류)]
|
145 |
|
|
147 |
|
== 다른 위키와의 비교 ==
|
149 |
|
=== [[/다른 위키와의 차이점|다른 위키와의 차이점]] ===
|
151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무위키/다른 위키와의 차이점)]
|
153 |
|
|
155 |
|
=== [[/다른 위키와의 관계|다른 위키와의 관계]] ===
|
157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무위키/다른 위키와의 관계)]
|
159 |
|
|
161 |
|
== 기타 ==
|
163 |
|
* 사이트 초기 운영진 중 한 명인 ztirf의 답변[* [[파일:namuwiki_n2.jpg]] ]에 따르면 [[나무]]의 열매가 맺히는 것처럼 지식이 맺히는 이미지에서 이름을 따왔다고 한다.
|
165 |
|
* 이 문서는 '''나무위키 자체에서 단독으로 작성된 첫 문서'''다. 다만 나무위키 자체에서 이루어진 '''최초의 편집'''은 [[나무위키:대문]] 문서의 r110 [[https://namu.wiki/history/나무위키:대문?from=110|'''나무 위키로 바꾸자 :)''']]이다. 이후 몇몇 편집 테스트가 이루어지다가 본 문서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자체 문서 개설이 이루어졌다. [[https://namu.wiki/w/나무위키?uuid=706bf17a-7078-429d-a5cd-cd264c6aedb2|1판 보러 가기]] [[https://namu.wiki/history/나무위키?until=1|첫 역사 보러 가기]]
|
167 |
|
* [[2015년]] [[4월 17일]] 10시 00분 48초 개설자에 의해 [[나무위키:대문]]의 첫 편집이 이루어졌으며 [[2015년]] [[4월 18일]] 00시 55분 37초 [[음차]] 문서를 시작으로 일반 사용자들의 편집이 시작되었다. 사족으로 [[나무위키:대문]] 문서는 원래 [[FrontPage]] 문서였지만 [[네임스페이스]]가 적용되면서 이동하게 되었다.
|
169 |
|
* [[2016년]] [[5월 7일]] 08:00([[PYT]])에 [[namu]]로부터 [[파라과이]]의 유한책임회사 [[umanle S.R.L.]]로 운영권이 넘어갔다.
|
171 |
|
* [[2024년]] [[11월 3일]] 기준 [[Similarweb]] 웹사이트 순위에서 [[대한민국]] 기준 5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검색 포털 [[다음]] 바로 아래 순위로 전자상거래 사이트인 [[쿠팡]]보다 한단계 윗 순위이다.]소셜 미디어 부문에서는 1위이다.
|
173 |
|
* 외국에 있는 서버치곤 [[핑#s-1]] 속도가 빠른 이유는 [[Cloudflare]]이라는 프록싱/캐싱 업체의 서비스인 [[CDN]] 엔터프라이즈 플랜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https://board.namu.wiki/notice/1196242|#]]
|
175 |
|
* 게시판은 나무위키와 관련된 궁금한 점을 묻거나 처리를 요청할 수 있는 문의 게시판, 이용자의 규정 위반 행위를 신고할 수 있는 신고 게시판 등으로 나누어져 있다. [[나무위키:게시판]] 문서에서 각 게시판의 목록과 설명을 확인할 수 있다. 단, 게시판의 용도나 양식, 규정에 맞게 글을 쓰지 않으면 처리 지연 혹은 거부, 무통보 삭제될 수 있다.
|
177 |
|
* 나무위키는 [[Microsoft Edge]], [[Chrome]], [[Firefox]]만을 공식 지원한다.[* 다른 웹 브라우저도 이용이 가능하나, 이용이 불안정하다.]
|
179 |
|
* 페이지 하단부에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라는 문구가 있는데 리그베다 위키에서의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논란]]을 의식한 것이다. 개설 당시의 문구는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전적으로 기여자에게 있습니다."였으나 오해의 소지가 있어 변경되었다.
|
181 |
|
* [[2015년]] [[5월 24일]] 확인. 자동 로그인을 하고 쿠키 목록을 보면 [[코사카 호노카|honoka]]라는 쿠키가 있다는 게 확인되었다.
|
183 |
|
* [[2015년]] [[6월 13일]] 확인. 나무위키 메타 태그 중 어떤 프로그램으로 생성되었는지 나타내는 generator 태그가 [[the seed]]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185 |
|
* 나무위키의 [[도메인 네임#s-3.1|gTLD]]인 .wiki는 .travel, .insurance 등과 함께 2008년 이후 신규 생성된 [[도메인 네임#s-3.1.1|new gTLD 도메인]]으로, 한국 도메인 등록 대행업체를 통하면 1년 이용료 3~4만 원에 등록이 가능하다.
|
187 |
|
* 만약 나무위키에 로그인하지 않고 자신이나 타인의 기여 목록을 확인하고 싶다면 로그인 사용자는 {{{#ff5e00 https://namu.wiki/contribution/(UUID)/document}}}를, 아이피 사용자는 {{{#ff5e00 https://namu.wiki/contribution/ip/(IP 주소)}}}[* UUID가 포함된 링크로 이동된다.]를 주소창에 입력하면 된다. [[나무위키 프로젝트]]에서 참가자 서명을 할 때나 특정 반달을 신고할 때 증거 자료를 제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189 |
|
* [[리그베다 위키]]에 있는 '나무위키' 문서의 역사를 보면 [[2013년]]부터 이미 대한민국에 '나무위키'라는 동명의 웹사이트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나무위키'는 2013년 3월 1일에 만들어진 한국어 위키다.
|
191 |
|
* [[2015년]] [[10월 10일]] 새벽에 새로운 스킨이 적용되었다. 각주가 위키백과처럼 렌더링 되고 최근 변경 및 토론 기록이 페이지 우측에 배치되는 등 기존의 스킨에서 여러 의미로 달라졌다.
|
193 |
|
* 사용자 지정 아바타 시스템, [[Gravatar]]가 추가되었다. 로그인 시 상단에 보이는 이미지를 변경하여 프로필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자세한 적용법은 해당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
195 |
|
* 2010년대 후반 이후 유명 인터넷 방송인이나 유튜버 사이에서 [[나무위키 읽기|나무위키를 켜서 자신에 관한 문서를 보는 게 하나의 컨텐츠]]로 자리잡았다. 주로 디테일한 내용에 놀라면서도 잘못된 프로필이나 정보에 대해서는 정정한다. 다만 이런 방송을 보고 나무위키를 이용하지 않던 유저들에 의해 [[문서 훼손]]이 일어나는 부작용도 생기고 있다.
|
197 |
|
* [[2017년]] [[12월 25일]]에는 [[크리스마스]]를 맞아 상단 바의 색이 빨간색으로 바뀌었고, 뒷배경이 마우스의 방향을 따라 눈이 내리게 되었다. [[나무위키:테마|어두운 화면]]으로 보면 더 잘 보이고, 눈이 맨 밑에 도달하면 없어진다. 스크롤을 내리면 눈도 쌓이지 않고 계속 따라온다.[* [[2020년]] 12월 25일에도 상단바의 색이 빨간색으로 바뀌었다.]
|
199 |
|
* [[2022년]] [[11월 1일]]부터 [[11월 5일]]까지 동년 [[10월 29일]]에 발생한 [[이태원 압사 사고]]를 추모하기 위하여 [[국가애도기간]] 동안 상단바에 검은 리본이 삽입되었다.[* 클릭 시 [[이태원 압사 사고]] 문서로 이동되었다.] [[:파일:나무위키 검은 리본.jpg|보러가기]]
|
201 |
|
* [[2023년]] [[3월 3일]]에 일부 [[SVG]] 파일들이 검은색으로 변한 오류가 발생했다. 이후 2시 50분경에 복구되었다.
|
203 |
|
* [[만우절]]에는 운영사 측에서 나무위키를 다른 사이트처럼 보이게 만드는 이벤트를 진행하기도 한다. 자세한 내용은 [[만우절/나무위키]] 문서 참고.
|
205 |
|
* [[2017년]] [[만우절]]에는 나무위키 테마가 [[리브레 위키]] 테마로 변경되었다.
|
207 |
|
* [[2019년]] [[만우절]]에는 나무위키가 [[꺼무위키]]로 바뀌고 [[나무위키:대문]]도 꺼무위키:대문으로 바뀐 이벤트가 있었다. [[:파일:Namuwiki_2019_Aprilfools.png|보러 가기]]
|
209 |
|
* [[2022년]] [[만우절]]에는 [[나무위키:대문]] 문서가 완전히 구글처럼 변경되었다. [[https://board.namu.wiki/b/free/2785132|보러 가기]]
|
211 |
|
* [[2023년]] [[만우절]]에는 [[나무위키:대문]] 문서가 완전히 [[넷플릭스]]처럼 변경되었다.
|
213 |
|
* [[2024년]] [[만우절]]에는 [[나무위키:대문]] 문서가 [[나우누리|PC통신]]처럼 변경되었다.
|
215 |
|
* [[2025년]] [[만우절]]에는 [[나무위키:대문]] 문서가 [[엔하위키]]처럼 변경되었다.[* 공교롭게도 나무위키가 10주년을 맞이한 해이다.] [[나무위키 뷰어]] 앱으로 접속할 경우 메인 화면에 '[[위키레이싱|나무위키 파도 타기 게임]]'을 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
217 |
|
* [[나무위키 뷰어]]가 존재한다. 읽기 기능이나 관련 문서 추천 기능 등이 있다.
|
219 |
|
* URL에서 서브 도메인을 첨부하여[* [[https://en.namu.wiki]], [[https://ja.namu.wiki]]] 영어 또는 일본어로 나무위키를 볼 수 있는데 이는 별다른 편의 기능이 없고 단순히 나무위키 한국어 페이지를 번역기로 번역한 사이트이므로 실제 외국인이 열람하기에는 어느 정도 무리가 있다.[* 번역기의 특성상 사전에 있는 단어나 고유명사가 아닌 비속어 등은 특히 이상하게 나오기 쉽다.] 외국어 버전에서는 편집 기능이 제공되지 않고 오직 열람만이 가능하다.
|
221 |
|
* 2024년 말, [[황금방패]]로 인해 [[중국 대륙]]에서의 나무위키 접속이 차단되었다.
|
223 |
|
|
225 |
|
== 관련 문서 ==
|
227 |
|
* [[나무위키:기본방침]]
|
229 |
|
* [[나무위키:편집지침]]
|
231 |
|
* [[위키 관련 정보]]
|
233 |
|
* [[나무위키:대문]]
|
235 |
|
|
237 |
|
{{{#!if version2 == null
|
239 |
|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
241 |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this=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나무위키]]의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if version2 != null}}}
|
|
64 |
== 관련문서 == |
|
65 |
* [[the seed]] |
|
66 |
* [[사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