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r184 vs r185 | ||
---|---|---|
... | ... | |
204 | 204 | ==== 손가락 부위 일치 확률 ==== |
205 | 205 | 단지증이 존재한다는 사실만으로도 희귀성이 있지만, 동일한 특정 손가락(이 경우 소지)에 단지증이 존재할 확률은 다음과 같이 보정된다. |
206 | 206 | |
207 | * |
|
207 | *단지증이 특정 손가락(소지)에 발생함은 brachydactyly type A3, 즉 새끼손가락 중간지절 단축형 단지증증을 시사한다. |
|
208 | *전체 단지증 중 type A3의 비율은 약 20%이다. [* Type D가 약 50%를 차지한다. BDA3은 BDD 다음으로 흔하게 보고되며, 국소적 연구에서 15~25%로 나타난다.] |
|
208 | 209 | |
209 | *따라서, 무관한 두 인물이 모두 소지 단지증을 가지고 있을 확률은 다음과 같다. |
|
210 | ||
211 | [math( P = (0.0002)^2 \times (1/10) = 4 \times 10^{-8} \times 0.1 = 4 \times 10^{-9} )] |
|
212 | ||
213 | *이는 0.0000004%, 즉 2억 5천만 명 중 1명 수준의 확률이다. |
|
214 | ||
215 | 216 | ==== 후천적 손실과 감별 가능성 ==== |
216 | 217 | 영상에 따르면, 대상 인물은 단지된 손가락에도 손톱이 존재하며, 결절부의 윤곽이 매우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경계를 보인다. 이는 외상 절단에 흔히 수반되는 흉터나 조직 손상이 없는 상태로, 의학적으로 선천성 단지증으로 판단할 수 있는 주요 소견이다.[* KOSHA(산업안전보건공단), 2022 산업재해통계분석] |
217 | 218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