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r143 vs r144
... ...
164 164
>릴파(?): 빵 같은 거라던지. (웃음)
165 165
>아이네(?): 근데 요새
166 166
==== 일반인 반증 논리 ====
167
만약 2023년에 공개된 '굴포차 영상' 속 등장인물이 일반인이었다면, 해당 논란이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이슈화된 이후 스스로 해명하거나 반응을 보였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논란 제기 후 26일이 지나도록 이들이 전혀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는 점은 오히려 해당 인물들이 일반인이 아닐 가능성을 시사한다.
167
만약 2023년에 공개된 '굴포차 영상' 속 등장인물이 일반인이었다면, 해당 논란이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이슈화된 이후 스스로 해명하거나 반응을 보였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논란 제기 후 26일이 지나도록 이들이 전혀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는 점은, 오히려 해당 인물들이 일반인이 아닐 가능성을 시사한다.
168 168
169
*게임 이론의 관점에서 이 상황을 해석해 보면, '침묵'이라는 전략은 일반인에게 우월전략[* Dominant Strategy. 상대방의 전략과 무관하게 항상 자기에게 가장 유리한 결과를 가져오는 전략.]으로 작용하기 어렵다.
169
이러한 상황을 게임 이론의 관점에서 해석해보면, 침묵이라는 전략은 일반인에게 우월전략[* Dominant Strategy. 상대방의 전략과 무관하게 항상 자기에게 가장 유리한 결과를 가져오는 전략.]으로 작용하기 어렵다. 일반인의 경우, 등장하여 정체를 해명함으로써 루머 확산으로 인한 사회적 손실을 줄이는 것이 이득이기 때문이다. 반면, 정체를 공개할 수 없는 신분(예: 이세계아이돌)이라면, 침묵은 오히려 유일한 전략이 된다.
170 170
171
*따라서 내쉬 균형[* Nash Equilibrium. 게임 이론에서 모든 참가자가 상대방의 전략을 고려할 때 누구도 자신의 전략을 일방적으로 바꿔 이득을 볼 유인이 없는 상태.]이 성립하려면, 어떠한 전략 조합 [math(s^*)]에 대해, 모든 참가자 [math(i)]에 대하여 다음 부등식이 만족되어야 한다.
171
내쉬 균형[* Nash Equilibrium. 게임 이론에서 모든 참가자가 상대방의 전략을 고려할 때 누구도 자신의 전략을 일방적으로 바꿔 이득을 볼 유인이 없는 상태.]이 성립하려면, 어떠한 전략 조합 [math(s^*)]에 대해, 모든 참가자 [math(i)]에 대하여 다음 부등식이 만족되어야 한다.
172 172
173
||<tablealign=center><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ff,#1f2023>[math(u_i(s_i^*, s_{-i}^*) \ge u_i(s_i, s_{-i}^*))]||
173
||<tablealign=center><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ff,#1f2023>[math(u_i(s_i^, s_{-i}^) \ge u_i(s_i, s_{-i}^*))]||
174 174
175
*해당 수식은 모든 플레이어 𝑖가 상대 전략 [math(s_{-i}^*)]가 고정된 상태에서 자신의 전략 [math(s_i)]를 일방적으로 변경해도 효용이 증가하지 않 경우에 성립하며, 침묵이 실제로 선택되었고 유지되고 있다는 사실은 해당 전략이 실질적 균형점이었음을 역으로 시한다.
175
* 수식은 모든 플레이어 𝑖가 상대 전략 [math(s_{-i}^*)]가 고정된 상태에서 자신의 전략 [math(s_i)]를 일방적으로 변경해도 효용이 증가하지 않 경우에 성립한다. 침묵이 실제로 선택되었고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는 사실은, 해당 전략이 실질적 균형점이었음을 역으로 시한다.
176 176
177
이러한 전략 선택의 구조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78
179 179
||<tablealign=center><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ff,#1f2023> 영상 속 인물 || 침묵 시 || 해명 시 || 우월전략 ||
180 180
|| 일반인 || 루머 고착화[br]오해 확산으로 실익 없음 || 정체 해명 가능[br]사회적 피해 최소화 || 해명[br]→ 침묵은 불리함 ||
181 181
|| 이세계아이돌 || 커리어 타격 회피[br]정체 노출 방지 || 정체 드러나며[br]이미지 붕괴 || 침묵[br]→ 해명은 실현 불가 ||
182 182
183
*, 굴포차 영상 속 인물의 장기적 침묵은 단순한 무반응이 아니라, 전략적으로 설명 가능한 균형의 결과이며, 해당 인물이 자신의 정체를 드러낼 수 없는 위치(다시 말해 이세계아이돌 멤버)일 가능성을 정황적으로 뒷받침하는 근거로 작용한다.
184
*이와 같이 침묵이라는 전략이 정체성에 따라 전략적 지위가 달라지는 구조는, 이후 정황 해석의 토대가 된다.
183
*결과적으로, 굴포차 영상 속 인물의 장기적 침묵은 단순한 무반응이 아니라, 전략적으로 설명 가능한 균형의 결과이며, 해당 인물이 자신의 정체를 드러낼 수 없는 위치(다시 말해 이세계아이돌 멤버)일 가능성을 정황적으로 뒷받침하는 근거로 작용한다. 이처럼 침묵이라는 전략이 정체성에 따라 전략적 지위가 달라지는 구조는, 이후 정황 해석의 토대가 된다.
185 184
186
187 186
=== 생체적 요소 ===
188 187
==== 주르르 단지증 ====
189 188
*주르르가 단지증(oligodactyly)으로 인해 새끼손가락이 짧은데 영상 속에서 주르르로 의심되는 인물이 똑같이 단지증으로 새끼손가락이 짧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