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TMI(비교)
r193 vs r194 | ||
---|---|---|
... | ... | |
194 | 194 | |
195 | 195 | 이러한 특징은 인구통계학적으로 매우 희귀한 편이며, 특정 손가락 단위에서의 유사성까지 고려할 경우 동일성에 대한 강력한 정황 증거로 기능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해당 특징의 발생 빈도, 후천 결손과의 감별, 그리고 조건부 확률 모델을 기반으로 한 우도비[* Likelihood Ratio. 해당 증거가 귀무가설보다 대립가설을 더 잘 설명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분석을 포함하여 논의한다. |
196 | 196 | |
197 | ||<tablealign=center><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ff,#1f2023> 우도비 (LR) 범위 || 증거의 해석 수준 || 설명 || |
|
197 | ||<tablealign=center><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ff,#1f2023> 우도비 (LR) 범위[* Budowle et al., "Interpretation of forensic DNA evidence: a policy perspective", Forensic Science International: Genetics, 2009.] || 증거의 해석 수준 || 설명 || |
|
198 | 198 | || 1 || 정보 없음 || 관측된 증거는 두 가설 모두에 대해 동일한 설명력을 가진다. || |
199 | 199 | || 1 ~ 10 || 매우 미약한 지지 || 동일인 추정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며, 단독 근거로는 부족하다. || |
200 | 200 | || 10 ~ 100 || 약한 지지 || 다른 정황과 병행할 경우 일부 설득력을 가질 수 있다.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