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비교)
r7 vs r8 | ||
---|---|---|
... | ... | |
13 | 13 | === 이항 관계의 종류 === |
14 | 14 | 이중 매우 general한 것은 성질이라고도 불리며, 주로 조합되어 다른 관계를 기술할 때 쓰인다. 예를 들면 추이 관계(transitive relation)는 성질로 표현될 때 추이성(transitivity)이라고 불리게 된다. 수학적으론 같은 개념이다. |
15 | 15 | |
16 | * 반사 관계 |
|
17 | * 비반사 관계 |
|
18 | * 대칭 관계 |
|
19 | * 반대칭 관계 |
|
20 | * 비대칭 관계 |
|
21 | * 추이 관계 |
|
22 | * 강한 연결 관계 |
|
16 | * [[반사 관계]] |
|
17 | * [[비반사 관계]] |
|
18 | * [[대칭 관계]] |
|
19 | * [[반대칭 관계]] |
|
20 | * [[비대칭 관계]] |
|
21 | * [[추이 관계]] |
|
22 | * [[강한 연결 관계]] |
|
23 | * [[동치 관계]] |
|
24 | * [[준순서 관계]](원순서 관계) |
|
25 | * [[부분순서 관계]] |
|
26 | * [[순부분순서 관계]] |
|
27 | * [[준전순서 관계]] |
|
28 | * [[전순서 관계]](선형 순서 관계) |
|
29 | * [[정렬 순서 관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