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비교)
r8 vs r9 | ||
---|---|---|
... | ... | |
31 | 31 | |
32 | 32 | 이러한 유연함이 일반적인 이론학계, 순수학계와의 큰 차이점으로, 학교에서 배운 내용과 실무에서 쓰이는 내용이 차이나게 되는 원인이 된다. 분야에 따라 상당히 정적인 학과도 있고 학교가 최신 기술을 가르치는 경우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순수학문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최신화되는 건 어쩔 수 없는 듯. |
33 | 33 | |
34 | 아무래도 돈이 되고, 실제로 판매해서 성능을 테스트하다 보니 학계에서 연구하는 만큼 기업에서도 연구를 자주 하기 때문이다. 기업이랑 친하기 때문에 공대에서는 기업 연계 과정이나 코옵, 협업 과제 등을 같이하기도 한다. |
|
35 | ||
36 | 36 | 때문에 표준화에 매우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 결국 현실세계에서 문제를 풀어야 하는데 이 회사에서 만든 거랑 저 회사에서 만든 거랑 안맞으면 개고생이기 때문. 나사에서는 단위계도 하나로 못 쓰다가 탐사선을 날려먹은 전적도 있다. |
37 | 37 | |
38 | 38 | == 분야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