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비교)
r9 vs r10 | ||
---|---|---|
... | ... | |
27 | 27 | --돈이 안되는건 안한다.-- |
28 | 28 | --공학을 배우는것도 돈을 벌기 위해서다.-- |
29 | 29 | |
30 | 기본적으로 현실 세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학문이기 때문에, 현실 |
|
30 | 기본적으로 현실 세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학문이기 때문에, 현실 사회의 역학('''비용''', 시간, 성능, 무게 등)이 강하게 작용한다. 새로운 학문적 탐구보다 '돈을 얼마나 절약할 수 있는가'가 우선순위를 가지며, 비용을 줄일 수 있다면 수백년도 전에 개발된 방법이 현대까지 쓰이기도 하고, 비용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다면 탄생한 지 몇달도 안된 신기술로 갈아타기도 한다. |
|
31 | 31 | |
32 | 32 | 이러한 유연함이 일반적인 이론학계, 순수학계와의 큰 차이점으로, 학교에서 배운 내용과 실무에서 쓰이는 내용이 차이나게 되는 원인이 된다. 분야에 따라 상당히 정적인 학과도 있고 학교가 최신 기술을 가르치는 경우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순수학문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최신화되는 건 어쩔 수 없는 듯. |
33 | 33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