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만화)(r1 Blame)
r1 | ||
---|---|---|
r1 (새 문서) | 1 | [[분류:일상(만화)]][[분류:일본 만화/목록]][[분류:2006년 만화]][[분류:4컷 만화]][[분류:일본의 코미디 만화]][[분류:일상 만화]][[분류:일본 학원 만화]][[분류:일본 판타지 만화]][[분류:현대물/만화]] |
2 |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일상(만화), version=870, uuid=버전 uuid)] | |
3 | [include(틀:일상(만화))] | |
4 | ||<-2><table width=350><table align=right><table bordercolor=#000,#000><bgcolor=#fff,#010101><table bgcolor=#ffffff,#2d2f34><table color=#212529,#e0e0e0> {{{#000,#e0e0e0 '''{{{+1 일상}}}'''[br]日常[br]Nichijou: My Ordinary Life}}} || | |
5 | ||<-2><bgcolor=#ffffff,#2d2f34><nopad> [[파일:external/image.aladin.co.kr/892523615X_f.jpg|width=100%]] || | |
6 | ||<bgcolor=#ffffff,#010101> '''{{{#000,#e0e0e0 장르}}}''' ||[[일상물|일상]], [[개그물|개그]], [[부조리 코미디]] || | |
7 | ||<bgcolor=#ffffff,#010101> '''{{{#000,#e0e0e0 작가}}}''' ||[[아라이 케이이치]] || | |
8 | ||<bgcolor=#ffffff,#010101> '''{{{#000,#e0e0e0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카도카와 쇼텐]][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원씨아이]][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코단샤|코단샤 USA]] || | |
9 | ||<bgcolor=#ffffff,#010101> '''{{{#000,#e0e0e0 연재처}}}''' ||[[소년 에이스|월간 소년 에이스]][br]콤프틱[br]4컷 만화 nano 에이스 || | |
10 | ||<bgcolor=#ffffff,#010101> '''{{{#000,#e0e0e0 레이블}}}'''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카도카와 코믹스·에이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nt 코믹스[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버티칼 코믹스 || | |
11 | ||<bgcolor=#ffffff,#010101> '''{{{#000,#e0e0e0 연재 기간}}}''' ||{{{-1 2006년 12월호 ~ 2015년 12월호[* 월간 소년 에이스][br]2007년 3월호 ~ 2008년 7월호[* 콤프틱][br]2011년 Vol.1 ~ 2013년 10월호 증간[* 4컷 만화 nano 에이스][br]2021년 12월호[* 월간 소년 에이스] ~ 연재 중}}} || | |
12 | ||<bgcolor=#ffffff,#010101> '''{{{#000,#e0e0e0 단행본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12권 ,,(2024. 10. 25.),,[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2권 ,,(2025. 07. 21.),,[br]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11권 ,,(2023. 08. 29.),,[br][[파일:핀란드 국기.svg|width=20]] 10권 [br][[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 2권 || | |
13 | ||
14 | [목차] | |
15 | [clearfix] | |
16 | == 개요 == | |
17 | >'''우리가 하루하루 보내고 있는 일상이란 사실 기적의 연속일지도 모른다네.''' | |
18 | >---- | |
19 | >― [[사사하라 코지로]] | |
20 | ||
21 | >'''[[슈르]], 생각 의외로 평범?!, 개그 만화 버전 2.0, 포스트 모더니즘, 매일 쉴새없이 전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일상!''' | |
22 | >---- | |
23 | >― [[카도카와 쇼텐]] | |
24 | ||
25 | [[아라이 케이이치]](あらゐけいいち)[* 혹은 아라위 케이이치. [[ゐ]] 문서 참조. 일단 한국 정발판에서는 '아라이 케이이치'로 표기되었다. 다만 영어판 명칭은 ARAWI.]의 만화. 2006년부터 [[KADOKAWA]] 쇼텐의 월간 [[소년 에이스]], 4컷 nano 에이스, 콤프틱에 연재되다 10권으로 완결되었으나, 완결로부터 6년이 지난 2021년 12월호부터 월간 소년 에이스에서 다시 연재하기로 결정됐다.[* 작가의 트위터에 따르면 ‘'''갑자기 그리고 싶어졌으므로'''’ 다시 연재를 하게 되었다고.[[https://twitter.com/himaraya/status/1450733528367484932?s=21|#]] ] 참고로 콤프틱은 [[러키☆스타]]의 연재 잡지이기도 하다. 국내에서는 [[대원씨아이]]가 정식 발매 중이며, 2015년 2월 23일에 9권까지 정발되었다. 번역자는 [[금정]]. 연재 속도가 좀 극악한 편이라 무려 1년 반 만에 5권 이후 6권이 나왔다. 실제로 이 6권은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DVD와 묶인 한정판으로도 나왔다. 통상판은 타치바나 미사토, 웨보시, 후엣 트리오가, 한정판은 스탈라 공주가 표지 이미지. | |
26 | ||
27 | == 줄거리 == | |
28 | >'''예측 불허의 코믹 폭탄! 깨알 같은 개그 퍼레이드~''' | |
29 | > | |
30 | >자신이 로봇임을 숨긴 채 학교를 다니고 있는 여고생 시노노메 나노. 하지만 그녀의 친구들 중에는 그 사실을 모르는 사람이 없는데…?! | |
31 | > | |
32 | >모든것이 일상이면서 비일상, 비일상이면서 일상인 그들의 좌충우돌 스쿨라이프. | |
33 | >---- | |
34 | >― 국내 정발본 소개 | |
35 | ||
36 | == 발매 현황 == | |
37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000,#000><table width=100%><rowbgcolor=#fff,#010101><rowcolor=#000,#e0e0e0><width=33.3%> '''01권''' ||<width=33.3%> '''02권''' ||<width=33.3%> '''03권''' || | |
38 | ||<rowbgcolor=#ffffff> [[파일:external/image.aladin.co.kr/892523615X_f.jpg|width=100%]] || [[파일:external/image.aladin.co.kr/8925238268_f.jpg|width=100%]] || [[파일:external/preview.kyobobook.co.kr/580406030048379001.jpg|width=100%]] || | |
39 | ||<rowbgcolor=#fff,#010101><rowcolor=#000,#e0e0e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7년 07월 26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8년 10월 30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7년 10월 26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8년 12월 15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8년 07월 26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0년 02월 15일''' || | |
40 | ||<rowbgcolor=#fff,#010101><rowcolor=#000,#e0e0e0> '''04권''' || '''05권''' || '''06권''' || | |
41 | ||<rowbgcolor=#ffffff> [[파일:external/preview.kyobobook.co.kr/580308020130142001.jpg|width=100%]] || [[파일:external/preview.kyobobook.co.kr/580408010168181001.jpg|width=100%]] || [[파일:external/preview.kyobobook.co.kr/580104040763373001.jpg|width=100%]][br][*한정판표지 [[파일:nichi06_limited.png|width=300]]] || | |
42 | ||<rowbgcolor=#fff,#010101><rowcolor=#000,#e0e0e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9년 01월 26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0년 04월 15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9년 10월 24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0년 06월 15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1년 03월 26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1년 9월 25일''' || | |
43 | ||<rowbgcolor=#fff,#010101><rowcolor=#000,#e0e0e0> '''07권''' || '''08권''' || '''09권''' || | |
44 | ||<rowbgcolor=#ffffff> [[파일:external/image.kyobobook.co.kr/l9788925295329.jpg|width=100%]] || [[파일:external/image.kyobobook.co.kr/l9791156251613.jpg|width=100%]] || [[파일:external/image.kyobobook.co.kr/l9791157543328.jpg|width=100%]] || | |
45 | ||<rowbgcolor=#fff,#010101><rowcolor=#000,#e0e0e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1년 10월 26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2년 03월 25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2년 10월 24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4년 01월 25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3년 12월 10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5년 01월 25일''' || | |
46 | ||<rowbgcolor=#fff,#010101><rowcolor=#000,#e0e0e0> '''10권''' || '''11권''' || '''12권''' || | |
47 | ||<rowbgcolor=#ffffff> [[파일:188391411.jpg|width=100%]][* 1권 표지와 똑같은데, 퀄이 다르다. 그럴만도 한게, 5권을 기점으로 그림체가 좀 바뀐다.--그리고 1권에서 [[아이오이 유코|유코]] 책상에 있던 사슴도 없어졌다.--][*특장판표지 [[파일:external/images-na.ssl-images-amazon.com/91wek%2BiSEHL._SL1500_.jpg|width=400]]] || [[파일:일상11.jpg|width=100%]]|| [[파일:nichijou-12.jpg|width=100%]]|| | |
48 | ||<rowbgcolor=#fff,#010101><rowcolor=#000,#e0e0e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5년 12월 26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8년 6월 14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2년 12월 26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3년 11월 29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4년 10월 25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5년 07월 21일''' || | |
49 | ||
50 | * 표지 날개의 저자 근황에는 있으라는 글은 없고 뭔가 설명할 수 없는 그림만 달랑 그려져 있다. 이런 것을 보면 역시 비범한 센스의 만화. 겉표지 날개에는 표지 일러스트의 일부가 변형된 일러스트가 있다.[*목록 1권: 유코의 책상 아래에도 사슴이 있다. 2권: 우드큐브의 [[나가노하라 미오|누군가]]의 머리가 달려있다. 3권: [[사쿠라이 이즈미|사쿠라이 선생]]의 책상의 죽순이 대나무가 되었다. 4권: [[나카무라 선생]]은 나카노조의 리젠트를 사고, [[유코]]는 자신의 쟁반에 있던 야구공에 맞고, [[마이]]의 까마귀에는 [[교장(일상)|교장]]의 가발을 물고 있다. 5권: 유코의 자화상이 절의 종에 눌렸다. 6권: 스탬피드 포스터의 캐릭터가 나와있다. 7권: 4명의 오기가 머리끼리 붙이고 있다. 8권: 안나카가 뒤집혔고, 미오는 4WD가 됐다. 9권: 이누베의 영혼이 폭발했다. 그리고 1권과 일러스트 표지가 그림체 빼고는 다를 게 없는 10권은 유코가 "수고했어" 라고한다.] | |
51 | ||
52 | * 만화책 등 관련 상품의 넘버링을 '일상의 ~ n' 식으로 붙인다. 일상의 n권, 일상의 블루레이 n권, 일상의 DVD n권 같은 식이다. | |
53 | ||
54 | * [[파일:external/pbs.twimg.com/CIULmVzUsAAiBC3.jpg|width=400]] | |
55 | 2015년 8월 25일, 10권 단행본 완결이 발표되었다. [[열린 결말]]로 끝났고 때문에 팬들은 아쉽다는 반응들을 내비쳤다.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news/521/read?bbsId=G003&itemId=277&articleId=1827000|링크]] 그리고 [[소년 에이스]] 2016년 2월호에 마지막 일상 단편이 나옴으로써 마무리를 지었다...지만 공식 완결 후 무려 6년 뒤인 2021년 12월에 연재를 재개함으로써 향후 새로운 단행본이 발매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 |
56 | ||
57 | * 한국어판은 원제를 그대로 번역한 '''<일상>'''이라는 제목으로 정발되었다. 원제 '日常' 옆에 일본어 발음을 알파벳으로 옮긴 'nichijou'가 있듯이, '일상' 제목 옆에 한국어 발음을 알파벳으로 옮긴 'ILSANG'이라는 단어가 쓰여 있다. | |
58 | ||
59 | * 영어판은 '''<Nichijou: My Ordinary Life>'''라는 제목으로 정발되었다. '니치죠우: 나의 평범한 인생'이라는 의미. | |
60 | ||
61 | == 특징 == | |
62 | [[그림체]]에서 엿보이듯 《[[아즈망가 대왕]]》처럼 연애 요소를 배제한 유쾌한 학원 일상물 같지만 실상은 [[개그만화 보기 좋은 날]], [[팝 팀 에픽]]처럼 부조리 코미디를 이용한 '''막나가는 만화'''다. 1학년 Q반 3인조와 관련해서는 평소 《[[딸기 마시마로]]》처럼 귀여운 그림체로 이야기를 진행하다가 개그 파트에서 갑자기 《[[개그만화 보기 좋은 날]]》 또는 《[[멋지다 마사루]]》 풍의 그림체로 변한다. 특히 [[나가노하라 미오|미오]]가 폭주하는 장면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 |
63 | ||
64 | [[4컷 만화]]는 아니지만[* 가끔 4컷으로 전개되는 경우도 있다.] [[옴니버스]]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중심이 되는 캐릭터들이 존재하지만 매 화마다 중심이 되는 캐릭터가 각각 다르다.[* 자세히 보면 디테일한 게 지난 에피소드의 주역을 맡은 주연 캐릭터들이 엑스트라 역할로 자주 출연하는데, 이때 몰골을 보면 지난 에피소드에서 당한 그대로다.] [[고양이]]가 [[칸사이벤]]을 쓰고 [[로켓 런처]]나 [[저먼 스플렉스]]가 작렬하는 시점에서 그 [[4차원]]적인 상상력에 혀를 내두르게 된다. 사실, 본편 1페이지부터 [[시노노메 나노|로봇 여고생]]이 등장하는 걸 보고 있노라면 우리가 생각하는 일상은 이미 존재하지 않는다. 띠지를 보면 '''평범 ≠ 일상'''이라고 적혀있는데 이게 정답일지도 모르겠다. | |
65 | ||
66 | 개그 센스는 《딸기 마시마로》나 《멋지다 마사루》, 《개그만화 보기 좋은 날》 등과 통한다고 할 수 있다. 직접적인 대사나 [[슬랩스틱 코미디]]보다는, 각각의 캐릭터가 보여주는 미묘한 표정, 부조리, 컷 분할, 대사 템포 등 종합적인 요소들의 캐치를 통해 웃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복도에서 벌을 서던 유코는 교장과 사슴이 레슬링을 벌이는 와중에도 '히에에엑~?!'이라는 비명만 질렀지만, 교장의 저먼 스플렉스 후 양면 테이프로 붙인 가발이 벗겨지는 것을 보자마자 갑자기 정색하며 순식간에 돌아서서 교실 문을 열어 제쳤다.] 코드가 맞고 안 맞고가 상당히 중요해서 안 맞으면 아예 개그 포인트 자체를 이해하지 못 하여 입꼬리가 미동도 안 할 수 있다. 코드만 맞는다면 정말 즐겁게 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도 위의 만화들과 통하는 면이 있는 듯. 여하튼 한마디로 압축하면 [[병맛]] 만화가 다 그렇지만 취향을 꽤 많이 타는 작품. | |
67 | ||
68 | 사실 이 만화의 개그 코드는 시작부터 나오는 윳코의 인사, '''슬라맛 빠기''' and '''나무알라멘'''[* 원문에서는 南無三([[나무삼]])으로 개그파트 [[초월 번역]]의 대가인 [[금정]]이 나무알라멘으로 [[초월 번역]]해버렸다. 아마도 [[나무아미타불]]+[[알라]]+[[아멘]]?]로 요약된다. [[셀라맛자린]] 참조. 한국 정발판 만화에도 이게 무슨 말인지 설명해 주는 각주 같은 건 없다. '[[마인어|인도네시아어]]'라는 각주는 붙어 있다. 작품의 진짜 철학이라면 [[사사하라 코지로]]의 명대사인 "우리가 하루하루 보내고 있는 일상이란 사실 기적의 연속일지도 모른다네."일 것이다. | |
69 | ||
70 | 상술되었듯 옴니버스 방식의 단편적인 에피소드로 진행되지만 주연 캐릭터뿐만 아닌 등장하는 수 많은 캐릭터들은 거의 머리카락으로 구분을 한다싶을 정도로 비슷한 외모를 하고 있지만 성격과 개성이 굉장히 뚜렷해 각기다른 매력과 캐릭터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캐릭터마다 관계와 상호반응에 대한 다양한 떡밥 등의 발전적인 흐름을 가지고 있어 자칫 지칠 수 있는 에피소드 진행에 흥미를 돋군다. 또한 이 떡밥들에 대해 굉장히 치밀하게 묵히는 것도 본작의 특징이자 매력 중 하나이다.[* 예시로 조손 관계로 거의 확실시 추측되는 [[박사(일상)|박사]]와 [[교장(일상)|교장]], [[나카무라 카나|나카무라]]를 피해 시노노메 연구소에서 지내고 있는 [[사카모토(일상)|사카모토]]와 나카무라의 상호반응, 미래 [[사쿠라이 이즈미|이즈미]]의 결혼 여부에 대한 교묘한 컷 연출 등이 있다.] | |
71 | ||
72 | 그림체의 경우엔 당시 타 일본만화들에 비해 굉장히 단순하고 깔끔한 선화로 아라이 케이이치만의 개성적인 그림체를 자랑하며 표지를 보면 계속되는 그림체의 변화를 크게 체감할 수 있다. 특히 11권의 경우 거의 미국만화가 일본만화를 흉내낸게 아닐까 싶을 정도로 그림체가 역변하였는데, 이는 일상이 10권을 마지막으로 완결이 나고 작가의 차기작 [[CITY(만화)|CITY]]가 연재되었다가 11권부터 재연재를 시작한 것이기 때문이다. 다만 11권부터는 캐릭터 디자인이 바뀐 수준으로 지나치게 역변하여 일부 독자들에겐 다소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 그도 그럴게 상술된 바와같이 캐릭터들이 비슷한 외모를 하고 있어 그림체를 굉장히 많이 타는 디자인이며 CITY를 본 독자들의 경우엔 이에 어느정도 적응이 되었겠지만 일상만을 본 독자들은 이질감을 느끼기에 충분하다.] | |
73 | == [[/등장인물|등장인물]] == | |
74 | [include(틀:일상(만화)/주요 인물)] | |
75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일상(만화)/등장인물)] | |
76 | ||
77 | 등장인물의 성은 주로 [[군마현]]의 지명에서 따온 것들이 많다.[* 작가가 군마현 출신이다.] [[안나카 하루나]]의 경우는 이름까지 합하여 [[안나카하루나역|동명의 역]]에서 따왔다. | |
78 | ||
79 | == 미디어 믹스 == | |
80 | === [[/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 | |
81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일상(만화)/애니메이션)] | |
82 | ||
83 | === 라디오 === | |
84 | [[파일:external/i51.tinypic.com/14oc3fo.jpg|width=500]] | |
85 | ||
86 | [[http://lantis-net.com/nichijou/|공식 홈페이지]] | |
87 | [[http://www.nicovideo.jp/mylist/29291747|니코동 주소]] | |
88 | ||
89 | 매주 [[금요일]] 방송하였으며 2011년 12월 30일을 마지막으로 방송이 끝났다. 총 45화까지 있다. | |
90 | ||
91 | 일상 홈페이지에 매주 1편씩 '일상의 라디오' 란 이름으로 라디오 프로그램이 업데이트된다. 시노노메 연구소 편 30분 + 토키사다메 고교 편 30분 총 1시간 편성. 연구소 편은 나노, 박사, 사카모토가 진행하며 고교 편은 유코, 미오, 마이가 진행한다. | |
92 | 참고로, 28화부터 42화까지 유코(혼다 마리코)와 나노(후루야 시즈카)가 서로 바뀌어 진행된다. 이하 각 편의 코너. | |
93 | ||
94 | * 시노노메 연구소 | |
95 | * 뭐든지 OK | |
96 | * 책의 타이틀 | |
97 | * 토키사다메 고교 | |
98 | * 뭐든지 OK | |
99 | * 남자 기숙사에 합격입니까? | |
100 | * 고맙습니다. | |
101 | ||
102 | ==== 오프닝곡 ==== | |
103 | * 東雲研究所の今日も平和です(시노노메 연구소의 오늘도 평화로워요) | |
104 | [youtube(Byfka3GVzMs)] | |
105 | 일상 라디오의 첫 번째 오프닝곡. 나노, 하카세, 사카모토가 부르며 평화로운 일상의 내용이다. | |
106 | ||
107 | * ゆっこ・みお・麻衣のスチャラカ三人衆(윳코 · 미오 · 마이의 무책임한 삼인방) | |
108 | [youtube(LLyGuzgVgOA)] | |
109 | 일상 라디오의 두 번째 오프닝곡. 윳코, 미오, 마이가 부르는 삼인방의 일상이다. 여담으로 윳코의 개드립은 나오지 않는다. | |
110 | === [[일상(우주인)|게임]] === | |
111 | [[파일:external/i55.tinypic.com/14e9f6w.jpg|width=500]] | |
112 | ||
113 | '일상(우주인)'이라는 이름으로 PSP 게임화되었다. 자세한 건 [[일상(우주인)]] 문서 참고. | |
114 | ||
115 | === 서적 === | |
116 | ==== 소설 ==== | |
117 | ===== 일상의 소설 ===== | |
118 | [[파일:/20160406_282/aa8459_1459934779841DccaY_JPEG/NaverBlog_20160406_182619_00.jpg]] | |
119 | ||
120 | '일상의 소설' 이라는 이름으로 소설화되었다. 발매일은 8월 1일. 저자는 시이데 케이이며 원작자인 아라이 케이이치가 감수하였다. 라이트 노벨 형식으로, 원작에 나오는 캐릭들의 소소한 일상을 다루고 있다. 가장 앞에는 3장의 일러스트가 실려있다. | |
121 | ||
122 | ===== 일상의 여름방학 ===== | |
123 | [[파일:일상 여름방학.jpg]] | |
124 | 日常の夏休み | |
125 | 저자는 이즈노 히라나리이며 작화는 원작자인 아라이 케이이치. 아라이 케이이치가 그린 스케치 50점이 내용에 포함되어 있다. 제목대로 시간적 배경은 여름방학이며 내용은 여름방학을 맞이하여 우주로 떠난다. | |
126 | ||
127 | ==== 일상대백과 ==== | |
128 |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NaverBlog_20160928_214352_00.jpg]] | |
129 | ||
130 | 일상의 쓸데없는(?) 지식들을 총집합으로 모아 놓았다. 토키사다메의 배경에 대해 설명하거나, 캐릭터들의 가족 관계, 간단한 프로필 등 일상의 모든 것에 대해 설명해 놓았다. 품절이며 중고로만 구할 수 있다. | |
131 | ||
132 | ==== 일상으로 배우는 화학 · 물리기초[* 대한민국의 [[물리학Ⅰ]], [[화학Ⅰ]]에 대응] ==== | |
133 | 일상으로 배우는 화학과 물리다. 등장인물들이 나와서 질문을 하고 답을 하는 형식의 내용. | |
134 | ||
135 | ==== 일상의 비밀 ==== | |
136 | 일상 캐릭터들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 다룬다. 군마 현을 지나는 철도 노선뿐만 아니라 각종 지명과 건물명 등 작가의 비범한 정신 세계를 엿볼 수 있다. 나노는 태엽, 미오는 우드큐브같이 책 겉표지 뒤에 각 인물을 상징하는 로고가 있다. 여담으로 캐릭터 사진 같은 건 없다고 한다. | |
137 | ||
138 | ==== 악보 일상 ==== | |
139 | 발매일은 2012년 2월 1일이며 국내엔 잘 알려지지 않은 책이다. 일상에 나오는 노래들이 피아노 악보로 수록되어 있다. | |
140 | ||
141 | * 피아노 솔로 | |
142 | ヒャダインのカカカタ☆カタオモイ-C | |
143 | ヒャダインのじょーじょーゆーじょー | |
144 | Zzz | |
145 | 東雲研究所の、今日も平和です | |
146 | ゆっこはほんとにバカだなぁ | |
147 | ||
148 | * ピアノ弾き語り[* 피아노를 치면서 동시에 노래를 부르는 것을 말한다. 이때 가사는 각 음계마다 한 음절씩, 히라가나 및 카타카나로 되어있다.] | |
149 | ヒャダインのカカカタ☆カタオモイ-C | |
150 | ヒャダインのじょーじょーゆーじょー | |
151 | Zzz | |
152 | 翼をください | |
153 | マイバラード | |
154 | 怪獣のバラード(コーラス譜付き) | |
155 | Let's search for Tomorrow | |
156 | 旅立ちの日に | |
157 | ||
158 | === 캐릭터송 === | |
159 | [[파일:attachment/일상(만화)/c0121209_4e53a62d8a93f.jpg|width=600]] | |
160 | ||
161 | 2011년 7월 10일에 [[박사(일상)|박사]], [[시노노메 나노|나노]], [[사카모토(일상)|사카모토]]의 캐릭터송이 발매되고, 8월 10일에 [[아이오이 유코|유코]], [[나가노하라 미오|미오]], [[미나카미 마이|마이]]의 캐릭터송이 발매되었다. 조연들 중에서는 [[사사하라 코지로|사사하라]]와 [[타치바나 미사토|미사토]]가 9월 7일에, 그리고 [[나카무라 선생]], [[사쿠라이 이즈미]], [[안나카]], [[세키구치 유리아]], [[교장(일상)|교장]]이 10월 26일에 라스트 5사람이란 이름으로 발매 되었다. | |
162 | ||
163 | 저 수많은 캐릭터 송을 보면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2006년 애니메이션)|하루히]]나 [[케이온!/애니메이션|케이온! 시리즈]]처럼 캐릭터 송으로도 한몫 제대로 챙기려고 했던 것 같지만, 애니메이션 매상 자체가 사망한 관계로 캐릭터 송의 매상 역시 500장 전후 선에 그쳤다. | |
164 | ||
165 | == 관련 문서 == | |
166 | * [[大工]] | |
167 | * [[시노노메 연구소]] | |
168 | * [[토키사다메]] | |
169 | * [[토키사다메고등학교]] | |
170 | * [[CITY(만화)]] | |
171 | * [[My Ordinary Lif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