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ins;Gate(r3 Blame)
r3 | ||
---|---|---|
r2 | 1 | [[분류:게임]][[분류:애니메이션]][[분류:씹덕]] |
r1 (새 문서) | 2 | [include(틀:LLM)] |
r2 | 3 | ||<-3><tablealign=right><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353535><tablewidth=400><bgcolor=#fff> '''{{{+2 STEINS;GATE}}}[br]シュタインズ・ゲート[br]슈타인즈 게이트''' || |
4 | ||<-3><nopad>[[파일:슈타게.webp|width=100%]] || | |
5 | ||
r1 (새 문서) | 6 | [목차] |
7 | [clearfix] | |
8 | == 개요 == | |
9 | 슈타인즈 게이트는 5pb.와 니트로플러스가 공동 개발한 게임으로, 과학 어드벤처 시리즈의 두 번째 작품이다. 2009년 엑스박스 360으로 처음 발매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플랫폼으로 이식되고 애니메이션, 만화, 소설 등 여러 미디어로 확장되었다. | |
10 | ||
11 | 이야기는 [[도쿄]] 아키하바라를 배경으로, 우연히 과거로 문자를 보낼 수 있는 타임머신을 발명한 주인공과 그의 동료들이 겪는 사건을 다룬다. 시간 여행이라는 소재를 중심으로 흥미진진한 전개와 매력적인 캐릭터, 그리고 깊이 있는 주제 의식을 담아내어 많은 팬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다. | |
12 | ||
13 | == 줄거리 == | |
14 | [include(틀:스포일러)] | |
15 | ||
16 | 자칭 광기의 매드 사이언티스트 호오인 쿄우마를 외치는 대학생 오카베 린타로는 아키하바라에 미래 가제트 연구소라는 이름뿐인 서클을 만들어 운영한다. 그는 소꿉친구인 시이나 마유리, 천재 해커 하시다 이타루와 함께 의미 없어 보이는 발명 활동에 몰두한다. | |
17 | ||
18 | 그러던 어느 날, 오카베는 우연히 라디오 회관에서 열린 타임머신 강연회에 참석했다가 천재 소녀 과학자 마키세 크리스가 누군가에게 살해당한 현장을 목격한다. 충격에 빠져 하시다에게 그 사실을 문자로 알리지만, 문자를 보낸 순간 현기증과 함께 주변 풍경이 기묘하게 변하는 것을 경험한다. 이후 라디오 회관 옥상에 정체불명의 인공위성이 추락해 있고, 조금 전까지 죽어있던 마키세 크리스가 멀쩡히 살아있는 것을 발견한다. | |
19 | ||
20 | 오카베는 자신이 보낸 문자가 과거로 보내졌고, 그로 인해 현재가 바뀌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들이 만든 미래 가제트 8호기 전화레인지(임시)가 바로 과거로 문자를 보낼 수 있는 D메일 기능이 탑재된 타임머신이었던 것이다. | |
21 | ||
22 | D메일을 이용해 주변 사람들의 소소한 과거를 바꾸며 즐거워하던 오카베와 연구소 멤버들. 하지만 이들의 행동은 곧 거대한 음모에 휘말리는 계기가 된다. SERN이라는 수수께끼의 연구기관이 그들의 타임머신을 노리고, 멤버 중 한 명인 시이나 마유리가 반복해서 죽음을 맞이하는 절망적인 미래에 직면하게 된다. | |
23 | ||
24 | 오카베는 마유리를 구하기 위해 몇 번이고 과거를 바꾸려 하지만, 세계선의 수렴이라는 거대한 힘 앞에서 번번이 좌절한다. 그는 소중한 사람들을 지키기 위해, 그리고 자신이 바랐던 미래를 되찾기 위해 고독한 싸움을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그는 수많은 선택과 희생을 강요받으며, 시간 여행의 무게와 책임감을 깨닫게 된다. | |
25 | ||
26 | == 등장인물 == | |
27 | * '''오카베 린타로''' (호오인 쿄우마) | |
28 | * 본 작의 주인공. 도쿄전기대학 1학년생이자 미래 가제트 연구소의 설립자, 랩 멤버 No.001이다. 스스로를 광기의 매드 사이언티스트 호오인 쿄우마라 칭하며 중2병적인 언행을 일삼지만, 실제로는 동료를 아끼는 마음이 깊고 정의감이 강하다. 특수한 능력인 리딩 슈타이너를 가지고 있어 세계선이 변동해도 이전 세계선의 기억을 유지할 수 있다. | |
29 | * '''마키세 크리스''' (크리스티나, 조수) | |
30 | * 18세에 대학을 조기 졸업하고 뇌과학 연구소에서 일하는 천재 소녀 과학자. 랩 멤버 No.004이다. 처음에는 오카베의 언행을 못마땅하게 여기지만, 점차 그의 진지한 모습과 연구에 협력하며 가까워진다. 츤데레이며, 과학적인 탐구심이 매우 강하다. | |
31 | * '''시이나 마유리''' (마유시) | |
32 | * 오카베의 소꿉친구이자 미래 가제트 연구소의 랩 멤버 No.002이다. 천진난만하고 순수한 성격으로, 연구소의 분위기 메이커 역할을 한다. 할머니의 영향으로 별가루와 관련된 말투를 자주 사용하며, 코스프레 의상 제작이 취미이다. | |
33 | * '''하시다 이타루''' (다루, 슈퍼 해커) | |
34 | * 오카베와 같은 대학에 다니는 친구이자 랩 멤버 No.003이다. 뛰어난 프로그래밍 및 해킹 실력을 가진 오타쿠. 미래 가제트의 제작을 담당하며, 2차원 캐릭터와 페이리스를 매우 좋아한다. | |
35 | * '''키류 모에카''' (샤이닝 핑거) | |
36 | * 극도로 과묵하고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로만 대화하려는 여성. 랩 멤버 No.005이다. 편집 프로덕션 아크 리라이트에서 일하며, 환상의 레트로 PC IBN5100을 찾고 있다. | |
37 | * '''우루시바라 루카''' (루카코) | |
38 | * 마유리의 학교 후배이자 아키하바라 야나기바야시 신사의 외아들. 랩 멤버 No.006이다. 여자아이처럼 예쁜 외모와 행동거지를 가지고 있으며, 오카베를 스승으로 모신다. | |
39 | * '''페이리스 냥냥''' (아키하 루미호) | |
40 | * 아키하바라의 메이드 카페 메이퀸 냥냥에서 일하는 인기 메이드. 랩 멤버 No.007이다. 평소에는 고양이 귀와 냥냥체 말투를 사용하며, 중2병적인 설정을 가지고 있다. 본명은 아키하 루미호로, 아키하바라 일대의 유지 가문의 딸이다. | |
41 | * '''아마네 스즈하''' (알바 전사) | |
42 | * 미래 가제트 연구소 건물 1층 브라운관 공방에서 일하는 아르바이트생. 랩 멤버 No.008이다. 활기차고 자전거를 좋아하며, 어딘가 비밀스러운 구석이 있는 인물이다. | |
43 | ||
44 | == 주요 설정 및 용어 == | |
45 | * '''타임 리프 머신''' | |
46 | * 미래 가제트 연구소에서 개발한 기계로, 특정 개인의 기억만을 과거의 자신에게 보내는 장치이다. 전화레인지(임시)에 헤드셋과 같은 장비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를 통해 과거로 돌아가 다른 선택을 할 수 있지만, 물리적인 시간 이동은 불가능하다. | |
47 | * '''D메일''' (딜리트 메일) | |
48 | * 전화레인지(임시)를 통해 과거로 보낼 수 있는 짧은 문자 메시지. D메일의 내용에 따라 과거가 바뀌고 현재의 세계선이 변동된다. SERN의 에셜론 시스템에 의해 감시될 가능성이 있다. | |
49 | * '''세계선''' (월드 라인) | |
50 | * 과거부터 미래까지 이어지는 하나의 가능성, 또는 역사의 흐름을 의미한다. 작은 변화로는 크게 바뀌지 않는 견고한 흐름이 존재하며, 이를 세계선 수렴 범위라고 부른다. 큰 사건의 결과는 쉽게 바뀌지 않지만, 그 과정은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세계선 변동률을 측정하는 다이버전스 미터가 중요한 장치로 등장한다. | |
51 | * '''SERN''' (셀은) | |
52 | * 유럽 합동 원자핵 연구기관을 모델로 한 거대 연구기관. 비밀리에 타임머신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독점하기 위해 어떠한 수단도 가리지 않는다. 미래 가제트 연구소의 타임머신 기술을 감지하고 이들을 위협한다. | |
53 | * '''미래 가제트 연구소''' (미래 가젯 연구소) | |
54 | * 오카베 린타로가 설립한 발명 서클. 아키하바라의 낡은 건물 2층에 위치하며, 오카베를 포함한 멤버들이 모여 각종 미래 가제트를 개발한다. | |
55 | * '''리딩 슈타이너''' | |
56 | * 오카베 린타로가 가진 특수한 능력. 세계선이 변동되어도 이전 세계선의 기억을 명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능력 때문에 그는 세계선 이동의 고통과 책임을 홀로 짊어지게 된다. | |
57 | * '''IBN5100''' | |
58 | * 환상의 레트로 PC. SERN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과거 D메일 기록을 삭제하는 데 필요한 핵심적인 도구이다. 이를 찾는 것이 이야기의 중요한 전환점이 된다. | |
59 | ||
60 | == 미디어 믹스 == | |
61 | 슈타인즈 게이트는 원작 게임의 성공 이후 다양한 미디어로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 |
62 | * '''게임''' | |
63 | * 슈타인즈 게이트 (원작, 2009) | |
64 | * 슈타인즈 게이트 비익연리의 달링 (팬디스크, 2011) | |
65 | * 슈타인즈 게이트 선형구속의 페노그램 (팬디스크, 2013) | |
66 | * 슈타인즈 게이트 제로 (정식 후속작, 2015) | |
67 | * 슈타인즈 게이트 엘리트 (풀 애니메이션 어드벤처, 2018) | |
68 | * 이 외 다수의 이식판 및 파생 작품이 존재한다. | |
69 | * '''애니메이션''' | |
70 | * TV 애니메이션 슈타인즈 게이트 (2011) | |
71 | * 극장판 슈타인즈 게이트 부하영역의 데자뷰 (2013) | |
72 | * TV 애니메이션 슈타인즈 게이트 제로 (2018) | |
73 | * OVA 및 특별편 다수. | |
74 | * '''코믹스''' | |
75 | * 본편, 외전, 스핀오프 등 다양한 만화 작품이 출간되었다. | |
76 | * '''소설''' | |
77 | * 본편의 노벨라이즈 및 외전 스토리가 소설로 발매되었다. | |
78 | * '''드라마 CD''' | |
79 | * 캐릭터들의 일상이나 본편에서 다루지 않은 이야기를 담은 다수의 드라마 CD가 제작되었다. | |
80 | ||
81 | == 특징 및 주제 == | |
82 | * '''치밀한 시간 여행 설정''' | |
83 | * 단순히 과거로 돌아가는 것을 넘어, 세계선 이론, 다이버전스, 인과율 등 비교적 복잡하고 논리적인 시간 여행 설정을 도입하여 이야기의 깊이를 더했다. | |
84 | * '''과학적 고증 노력''' | |
85 | * 존 타이터나 SERN의 모티브가 된 CERN 등 실제 이야기나 이론을 작품 속에 자연스럽게 녹여내어 현실감을 높이려는 시도가 돋보인다. 물론 완전한 과학적 사실과는 거리가 있지만, 몰입도를 높이는 장치로 기능한다. | |
86 | * '''개성 넘치는 캐릭터''' | |
87 | * 주인공 오카베 린타로를 비롯하여 각기 다른 매력과 사연을 가진 캐릭터들이 등장하여 이야기를 풍성하게 만든다. 이들의 관계와 성장은 작품의 중요한 감동 요소이다. | |
88 | * '''흡입력 있는 이야기 전개''' | |
89 | * 초반의 일상적인 분위기에서 점차 긴장감 넘치는 서스펜스로 전환되며, 반전과 복선이 절묘하게 배치되어 있어 한번 빠져들면 헤어나오기 어렵다는 평가를 받는다. | |
90 | * '''운명과 선택, 그리고 인간의 의지''' | |
91 | * 정해진 운명에 맞서 싸우는 인간의 의지와 선택의 중요성을 이야기한다.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미래를 개척하려는 주인공의 모습은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주었다. | |
92 | ||
93 | == 평가 == | |
94 | 슈타인즈 게이트는 발매 이후 평론가와 유저 모두에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탄탄한 스토리와 매력적인 캐릭터, 그리고 시간 여행이라는 소재를 효과적으로 활용한 점이 호평받았다. | |
95 | ||
96 | 각종 게임 어워드에서 수상했으며, 애니메이션 역시 큰 성공을 거두어 원작의 인기를 더욱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다. 과학 어드벤처 시리즈 중에서도 가장 높은 인지도와 인기를 자랑하는 작품으로, 이후 출시되는 많은 시간 여행물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 | |
97 | ||
98 | == 여담 == | |
99 | * 작품의 제목인 슈타인즈 게이트는 극 중에서 오카베 린타로가 만들어낸 단어로,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큰 의미가 없는 맥거핀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
r3 | 100 | * 아키하바라의 실제 장소들이 작품 배경으로 많이 등장하여, 팬들 사이에서는 성지순례가 유행하기도 했다[* 아키하바라 역에서 멀지 않은 골목에 실제 미레가젯 연구소의 배경이 된 건물도 있다. 근처 자판기에는 닥터페퍼만 꽉 차있다.]. |
r1 (새 문서) | 101 | * 작품 내에서 자주 언급되는 음료인 [[닥터 페퍼]]는 실제로 팬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기도 했다. |
102 | * 이야기의 중요한 키워드 중 하나인 엘 프사이 콩그루는 작중에서 특별한 의미 없이 사용되는 오카베의 말버릇이지만, 팬들에게는 작품을 상징하는 유명한 문구가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