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J부(r1 Blame)
r1 | ||
---|---|---|
r1 (새 문서) | 1 | [[분류:GJ부]][[분류:일본 라이트 노벨/목록]][[분류:일본 만화/목록]][[분류:2010년 라이트 노벨]][[분류:일상 소설]] |
2 |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GJ부, version=339, uuid=버전 uuid)] | |
3 | [include(틀:가가가 문고)] | |
4 | ||<-2><table width=350><table align=right><table bordercolor=#83a800,#83a800><bgcolor=#ffffff,#ffffff><table bgcolor=#dde7b9,#2d2f34><table color=#373a3c,#dddddd> {{{#83a800,#83a800 '''{{{+1 GJ부}}}'''[br]GJ部[br]GJ-bu}}} || | |
5 | ||<-2><bgcolor=#ffffff,#2d2f34><nopad> [[파일:GJ부_1권.jpg|width=100%]] || | |
6 | ||<bgcolor=#83a800,#83a800> '''{{{#ffffff,#ffffff 장르}}}''' ||[[학원물|학원]], [[일상물|일상]], [[개그물|개그]], [[하렘]][* 후일담을 통해 하렘이 확정되었다. 쿄야와 마오가 결혼했고, 나머지 부원들과 섹스 임신하여 그녀들은 싱글맘이 되었다.]|| | |
7 | ||<bgcolor=#83a800,#83a800> '''{{{#ffffff,#ffffff 작가}}}''' ||[[아라키 신]] || | |
8 | ||<bgcolor=#83a800,#83a800> '''{{{#ffffff,#ffffff 삽화가}}}''' ||아루야 || | |
9 | ||<bgcolor=#83a800,#83a800> '''{{{#ffffff,#ffffff 번역가}}}''' ||김경훈 || | |
10 | ||<bgcolor=#83a800,#83a800> '''{{{#ffffff,#ffffff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쇼가쿠칸]][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서울문화사]] || | |
11 | ||<bgcolor=#83a800,#83a800> '''{{{#ffffff,#ffffff 레이블}}}'''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가가가문고]][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J노벨]] || | |
12 | ||<bgcolor=#83a800,#83a800> '''{{{#ffffff,#ffffff 발매 기간}}}'''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0. 03. 18. ~ 2015. 07. 22.[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1. 07. 11. ~ 2015. 12. 10. || | |
13 | ||<bgcolor=#83a800,#83a800> '''{{{#ffffff,#ffffff 권수}}}'''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9권 ,,(完),, + 외전 2권, 스핀오프 9권[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9권 ,,(完),, + 외전 2권, 스핀오프 8권 || | |
14 | ||
15 | [목차] | |
16 | [clearfix] | |
17 | == 개요 == | |
18 | '''GJ부'''는 일본의 [[라이트 노벨]]이다. 작가는 [[아라키 신]], 삽화가는 아루야.[* [[아이팟]] 의인화로 이전부터 유행했지만 본격적으로 알려지게 된 건 [[확산성 밀리언아서]]의 카드 일러스트를 참여하면서부터이다. 대표작으로는 '치아리 시리즈', '특이형 리틀그레이', '지원형 세스루파' 등이 있다. 공동적으로 모두 로리 스타일에 짙은 속눈썹이 특징이며, GJ부 일러스트 또한 예외는 아니다.] | |
19 | ||
20 | 내용은 재적 학생이 천 명을 넘기고 여러 가지 정체를 알 수 없는 동아리로 넘치는 고등학교에서 GJ부라는 수수께끼의 부에 보쌈을 당하는 주인공 [[시노미야 쿄야]]가 GJ부의 개성 강한 여학생들에게 여러모로 휘둘리는 이야기. 흔한 일상계 4컷 만화 같은 스토리라 보면 될 듯하다. | |
21 | ||
22 | GJ부라는 제목은 일본의 넷언어인 '''GJ'''[* Good Job. 일본식 발음으로 하면 '''굿죠부''']에서 나온 것으로 언급된다. | |
23 | ||
24 | == 줄거리 == | |
25 | >'''평소 같은 방과 후, 평소 같은 점심시간. 고교생인 나 시노미야 쿄야는 개성 넘치는 네 명의 그녀들과 나른하고 포근한 하루하루를 보낸다. 오늘도 평소와 다름없습니다…….''' | |
26 | > | |
27 | >총학생수가 천 명을 넘는 맘모스 고등학교 안의, 목조로 된 구교사의 한 방을 차지한 정체불명의 동아리 GJ(굿잡)부에 억지로 입부하게 된 시노미야 쿄야. 거기서 그가 만나게 된 이들은……. | |
28 | > | |
29 | >키는 작지만 거만하기 짝이 없는 부장 마오, 천재 게이머이며 성숙한 티가 나는 여성 시온, 느긋하고 여유로운 GJ부의 부원들을 돌봐주는 메구미, 항상 배가 고픈 신기한 키라라…! | |
30 | ||
31 | == 발매 현황 == | |
32 | [[가가가 문고]]에서 발매되었으며 9권으로 완결되었다. 국내에서도 [[제이노블]]에서 9권까지 발매되었다. | |
33 | ||
34 | [[스핀오프]]로 본편 등장인물들의 동생들이 메인으로 나오는 GJ부 중등부 편이 일본에서는 8권으로 완결, 이 또한 8월에 8권이 정발됨으로서 본편은 전부 정발되었다. 역자는 김경훈. 정발판 기준 [[한정판|초회판]] 전 권에 캐릭터의 SD 그림 스티커와 책갈피가 부록으로 들어가 있다. | |
35 | ||
36 | 각각 외전이 있는데, GJ부 고등부는 'GJ부◎'[* 표지에 그려진 것은 [[하나마루]]이나 폰트가 없기 때문인지 ◎를 쓰고있다.][* 여담으로, GJ부 시리즈 중 유일하게 4컷 소설 형식이 아닌 이야기도 포함되어있다.]라는 쿄야의 입부 당시라던지, 원작 내용 뒤의 일화라던지 등의 내용을 담고 있고, 중등부 엔딩 이후를 다룬 'GJ부 로스타임'이 있다. 15년 8월 GJ부◎가, 12월에 로스타임이 정발되었다. 또한 외전 GJ부 weekly[* 요미우리 중고생 신문에 연재했던 단편들을 모은 것이다.]가 2015년 7월에 일본에서 발매되었다. 국내에는 GJ부 weekly를 제외한 외전들이 모두 정발되었다. | |
37 | ||
38 | 애니메이션화 되면서 작가와 일러스트레이터, 스태프들의 코멘트와 애니 내용들을 다룬 서적도 출간되었고 그 책에 OVA로 나왔던 2편의 비하인드 스토리도 실려있다. | |
39 | ||
40 | 그리고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다른 작가와의 앤솔로지가 한편이 있다. [[사사미양@ 노력하지 않아]]의 작가가 키라라 번슈타인을 주연으로 쓴 글이 있다.[* 아라키 신도 사사미양 이야기를 쓴 글을 썼다.] 제목은 "키라라 야생하다".[* 2010년 8월 18일 공개] 작가의 팬페이지에 들어가면 그 글의 홈페이지 주소가 있어서 볼 수 있지만 2021년 기준 시간이 많이 흘렀는지 현재는 주소를 클릭하면 사이트를 찾을 수 없다고 뜬다. 어찌보면 환상의 에피소드인 셈. | |
41 | ||
42 | 그리고 오디오북도 나왔다. 가가가 문고와 81 프로듀스에 의해 GJ부 1권 내용이 2019년 11월 20일에, 하나마루의 내용이 2020년 9월 23일에 서비스가 개시되었다. 낭독은 81프로듀스 소속 남성 성우인 [[오우사카 치카라]][* 성우 [[나리타 사야카]]의 남편]가 맡았다. | |
43 | ||
44 | == 특징 == | |
45 | 4컷 만화의 느낌을 소설로 표현해 본다는 것에 도전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탄생한 소설이다. 모든 내용이 4쪽짜리 에피소드 묶음으로 되어있는 라이트 노벨로 이러한 스타일을 성공적으로 안착시켰다는 평을 받는 작품이다.[* 이후 굿이터, KB부, 나가토 유키짱의 소실 소설판에서도 이 4컷 소설 형식을 활용했다.] | |
46 | ||
47 | 형식이 상당히 정형화된 작품으로 1권에는 정확히 4쪽으로 떨어지는 에피소드가 딱 36가지 들어있으며 에피소드와 에피소드 사이는 한 장으로 펼쳐지는 여백이 들어가며, 여기에는 짤막한 설정 및 각종 일러스트가 들어간다. 그리고 마지막 에피소드 다음은 2쪽을 차지하는 커다란 일러스트로 마무리 한다. | |
48 | ||
49 | 각 권은 하나의 계절을 다룬다. 이로서, 작중 등장 인물 중 2학년 생이 (2학년)봄 - 여름 - 가을 - 겨울 - (3학년)봄 - 여름 - 가을 - 겨울 - 3학기 졸업 으로 정확히 9권으로 완결. 컬러 일러스트도 전 권이 GJ부의 등장인물을 모두 한번씩 그리고, 펼치는 일러스트에 전원이 들어있는 그림이 하나 존재한다. | |
50 | ||
51 | == 등장인물 == | |
52 | === GJ부 소속 === | |
53 | * '''[[시노미야 쿄야]]''' | |
54 | * '''[[아마츠카 마오]]''' | |
55 | * '''[[아마츠카 메구미(GJ부)|아마츠카 메구미]]''' | |
56 | * '''[[스메라기 시온]]''' | |
57 | * '''[[키라라 번슈타인]]''' | |
58 | * '''[[칸나즈키 타마키]]''' | |
59 | ||
60 | === [[GJ부/기타 등장인물|기타 인물]] === | |
61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GJ부/기타 등장인물)] | |
62 | ||
63 | == 미디어 믹스 == | |
64 | === 코믹스 === | |
65 | [[2013년]] [[1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월간 선데이 제넥스에서 연재되었으며, 원작의 일러스트를 담당한 아루야가 연재라는 특성으로 원작의 그림체 그대로 코믹스화라는 특이한 케이스. 애니메이션과는 다르게 원작의 모든 에피소드를 연재했기 때문에 애니메이션에서는 나오지 못한 조연들을 볼 수 있으며 날라리가 되기 이전의 수수했던 앙코의 모습도 볼 수 있으니 GJ부의 팬들이라면 한번쯤 읽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 |
66 | 단행본으로도 출간되었으며 제목은 "GJ부@ 코믹스". | |
67 | 1권이 2015년 4월 17일에, 2권이 2017년 4월 19일에 발매되었고 3권은 전자책으로만 2019년 7월 19일에 발매되었다. | |
68 | 국내에서는 아쉽게도 정발되지 않았지만 알라딘같은 중고 사이트에서 일본어판을 구매해서 볼 수 있다. 하지만 3권은 전자책으로만 발매되어서 직접 사이트에 들어가야만 볼 수 있다. | |
69 | ||
70 | === [[/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 | |
71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GJ부/애니메이션)] | |
72 | ||
73 | == 온리전 기념 단편 == | |
74 | 본편 완결 후 [[소설가가 되자]]에 매년 온리전 기념단편이 올라오고 있다. 완결난지 10년 가까이 지났는데도 꾸준히 올라오는걸 보면 작가의 첫 애니화 작품이자 최고 히트작인만큼 애정이 상당한 모양이다 | |
75 | ||
76 | 2016년 단편[[https://ncode.syosetu.com/n2573dg/|#]] | |
77 | 2017년 단편[[http://ncode.syosetu.com/n4935ea/|#]] | |
78 | 2018년 단편[[https://ncode.syosetu.com/n5130es/3/|#]] | |
79 | 2019년 단편[[https://ncode.syosetu.com/n5130es/4/|#]] | |
80 | 2020년 단편[[https://ncode.syosetu.com/n5130es/5/|#]] | |
81 | 2021년 단편[[https://ncode.syosetu.com/n5130es/6/|#]] | |
82 | 2023년 단편[[https://ncode.syosetu.com/n5130es/7/|#]] | |
83 | ||
84 | == 기타 == | |
85 | * 트위터에서 밝혀진 바로는, 작가가 GJ부를 쓴 이유중 하나가 밤 8시에 편의점 앞에 앉아 빵을 먹고 있는 중학생을 본 것이라고 한다. 중고등학생들이 스트레스 프리한 이야기를 읽고 피로를 풀었으면 좋겠다는 마음이였다고. | |
86 | ||
87 | * [[유우키 마사미]]의 '[[궁극초인 R]]'에서 굉장히 많은 영향을 받았음을 작가가 직접 언급하고 있다. [[광화부]] 시간같은 개념은 등장 시퀀스까지 고스란히 베끼고 있다. | |
88 | ||
89 | * [[KB부]][* MF문고 연재][* 특이한 것은 KB부에 등장하는 GJ부와 굿이터는 소학관 산하의 가가가 문고에서 출판된 책인데 MF문고는 카도카와 산하의 출판사라서 어찌보며 다른 출판사의 작품이 그대로 언급 된 것이다. 다만 이전부터 아라키 신의 작품들은 세계관을 공유했으며 다른 작품의 캐릭터들도 자주 등장하니 상관없을지도. 게다가 이런 타 작품 언급은 이미 [[에로망가 선생]]에서 [[용왕이 하는 일!]]이 책 이름과 출판사 명칭까지 그대로 언급된 선례가 있다.]라는 작품도 존재하는데 이 작품에 등장하는 동아리는 GJ부가 아니라 「경문부」이며, GJ부와 [[굿이터]]는 쿄야 일행이 쓰는 소설(말하자면 작중작)이라는 설정. 일종의 패러렐 월드에 해당하는 작품인 듯하다. | |
90 | ||
91 | * 작가가 패미통 문고에서 발매하고 있는 '밝은 가족포 계획'[* 정발 안됨], '코피 점장은 안되나요?'[* 이쪽은 Nt노벨에서 정발되었다 2권까지 연재된 상태.] 등의 다른 작품들과 세계관 및 시간대를 공유하며, 서로 종종 찬조출연하거나 다른 작품에서 나온 사건을 언급하는 일도 있다.[* 쿄야의 반 친구인 신죠와 요코미조는 밝은 가족포 계획 등장인물이며 쿄야가 좋아하는 라노벨 작가가 니노미야 슈지이며 마오의 친구인 나루미는 코피점장의 등장인물이다. 그리고 GJ부 3권의 문화제 에피소드에서 결혼식을 도와줬다고 언급되었는데 그 이야기가 밝은 가족포 계획 5권에 자세히 나와있다. 그리고 중등부에서는 고문인 이치몬지 선생님은 '있다있다! 몽경학원'의 등장인물이며 부실도 그가 방위대로 활동했을 때 썼던 기지이다.] 여담으로 한국어 판에선 후기에서 ~~광고하는~~언급하는 '밝은 가족포(砲) 계획'이 전부 '밝은 가족 계획'으로 오역(혹은 잘못 교정)됐다... ~~정작 패러디로 나온 [[기어와라 냐루코양]]에서 제대로 나온건 안 자랑~~ | |
92 | ||
93 | * 요즘 나오는 남자부원 혼자에 여자부원이 다수인 일상물들은 모두 이 만화가 시초다. | |
94 | ||
95 | * 2016년, 작가의 HP에 GJ부 후속격 작품의 기획서가 올라왔다. 제목은 "원조 GJ부(GJ부 넥스트 제너레이션)". 내용은 로스 타임에서 부장이 된 쿄코와 이후 새로 들어온 신입부원 3명과의 GJ부 활동이다.[* 쿄코가 고등학교 3학년이 된 시점으로 타마키는 이미 졸업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중등부의 주역이었던 카스미, 세이라, 제랄딘은 쿄코가 있는 고등학교에 입학하여 쿄코가 있는 GJ부에 대항하여 "원조 GJ부"를 설립했다고 한다. | |
96 | ||
97 | * 아라키 신과 아루야는 이 작품 이후로도 굿이터, 이세계 C마트 부흥기, KB부 등 여러 작품에서 콤비로 활동하고 있다. | |
98 | ||
99 | * 아라키 신이 쓴 수많은 소설 중 유일한 애니메이션화 된 작품이었지만 2023년에 그의 다른 작품인 영웅교실이 애니화가 되어 유일한 작품이 아니게 되었다.[* 국내에 정발된 작품은 얼마 안되지만 일본 내에서는 그가 쓴 소설들이 많고 만화로 나온 작품들이 많은데 애니화된 작품은 GJ부와 영웅교실 두개뿐이다.] | |
100 | ||
101 | == 관련 문서 == | |
102 | * [[예나 선정이 딸이에요]] - 관련 패러디 영상이 너무나도 고퀄리티였기 때문에 GJ부 관련 글이 올라오면 거의 항상 "지딸도 아닌 예나를 왜 달구가?" → "예나, 선정이 딸이에요." → ㅇㅠㅇ의 3단 콤보 리플이 달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