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1
r1

(새 문서)
1[[분류:한화생명e스포츠]][[분류:대한민국의 e스포츠 팀]][[분류:한화그룹]][[분류:2018년 설립된 체육단]]
2## Hanwha Orange #f37321 | Hanwha Dark Grey #404041 | Hanwha Grey #bbbdc0 | Black #000 | White #fff
3[include(틀:한화)]
4[include(틀:한화생명e스포츠)]
5||<-2><tablealign=right><tablewidth=400><tablebordercolor=#f37321><tablebgcolor=white,#1c1d1f><colbgcolor=#f37321><colcolor=white> {{{+1 '''한화생명e스포츠'''}}} ||
6||<-2><bgcolor=#bbbdc0><color=#404041> '''Hanwha Life Esports''' ||
7||<-2><bgcolor=white,#1c1d1f><height=280>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width=300&theme=light]][[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width=300&theme=dark]] ||
8||<width=25%> '''설립''' ||[[2018년]] [[4월 16일]] ||
9|| '''소재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10|| '''모기업''' ||[[한화생명]] ||
11|| '''대표''' ||여승주[* 모기업인 [[한화생명]]의 CEO가 당연겸직한다.] ||
12|| '''단장''' ||김성훈 ||
13|| '''명예 단장''' ||[[이채영]] ||
14|| '''종목''' ||[[한화생명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리그 오브 레전드]] ||
15|| '''링크''' ||[[https://hle.kr/|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width=30&theme=light]][[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width=30&theme=dark]]]] [[https://www.instagram.com/hle.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HLE.lo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X(SNS) 로고, 링크=HLEofficial, 크기=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rfB1-zWijAYkgfZW7Ehc8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16||<|2> [[63빌딩|{{{#fff '''사무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63로 50 ([[여의도동]])[br]([[63빌딩]]) ||
17||<nopad> [include(틀:지도, 장소=63빌딩, 너비=100%, 높이=125px)] ||
18
19[목차]
20[clearfix]
21== 개요 ==
22[[대한민국]]의 프로게임단. [[한화생명]]이 [[ROX Tigers/2017년 이후|ROX Tigers]]의 스폰서 활동을 시작으로, 2018년 4월 16일 [[ROX Tigers/2017년 이후|ROX Tigers]]를 인수해 창단되었다.
23
24== 파트너스 ==
25||<tablewidth=100%><rowbgcolor=#fff><height=100><width=33%> [[한화생명|[[파일:한화생명 로고.svg|width=200]]]] ||<width=33%> [[파일:klepton_logo.png|width=200]] ||<width=33%> [[RAZER|[[파일:teamrazer-logo.png|width=90]]]] ||
26||<rowbgcolor=#f37321> [[한화생명|{{{#fff '''한화생명''' ^^모기업^^}}}]] || {{{#fff '''클렙튼'''}}} || [[RAZER|{{{#fff '''TEAM RAZER'''}}}]] ||
27||<rowbgcolor=#fff><height=100><width=33%> [[윌비플레이|[[파일:윌비플레이 로고 세로.png|width=100]]]] || [[몬스터 에너지|[[파일:몬스터 에너지 로고.svg|width=200]]]] || ||
28||<rowbgcolor=#f37321> [[윌비플레이|{{{#fff '''WILLBE PLAY''' ^^의류^^}}}]] || [[몬스터 에너지|{{{#fff '''MONSTER ENERGY'''}}}]] || ||
29
30== 운영 중인 프로게임단 ==
31[include(틀:한화생명e스포츠)]
32
33== 지원 중단된 프로게임단 ==
34
35===# [[한화생명e스포츠/카트라이더|카트라이더]] #===
36[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화생명e스포츠/카트라이더)]
372019년 8월 5일부터 2021년 6월 1일까지 [[라우드커뮤니케이션즈]] 카트라이더 팀의 네이밍 스폰서였다.
38
39== 콘텐츠 크리에이터 ==
40[include(틀:대한민국의 MCN)]
41[include(틀:한화생명e스포츠/콘텐츠 크리에이터)]
42
43== 로고 ==
44||<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37321><tablebgcolor=white><height=120>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height=100]] ||<colbgcolor=#000>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height=100]] ||<colbgcolor=#f37321>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svg|height=100]] ||
45>우리의 엠블럼은 주황색 곡선과 그 아래 공방을 다투는 두 가지 색조의 회색 곡선들을 균형감 있게 배치하여, 각각 한화생명e스포츠의 핵심가치인 ‘신뢰’, ‘팀워크’ 그리고 ‘혁신’을 상징하며, 이는 팀원간의 신뢰와 협력을 강조하고 창조적인 경기를 하고자 하는 팀의 철학을 담아냈습니다.
46
47== 유니폼 ==
48[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화생명e스포츠/유니폼)]
49
50== 사무국 ==
51[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63빌딩)]
52사무국이 [[63빌딩]]인 것으로 유명하다. 아무래도 [[랜드마크]]에다 모기업인 [[한화생명]]의 지원이 매우 남다르다는 것을 또 보여주는 대목이다.
53
54== 여담 ==
55 * [[2018년]] [[5월 28일]] 게임단 전용 버스를 공개했다.[* [[파일:한화생명_E스포츠_버스.jpg]]] 45인승 버스[* 모델은 [[기아 그랜버드]] 2세대로 추정된다.]를 17인승으로 개조해 좌석 공간을 넓히고, 버스 뒤쪽은 좌석을 제거한 뒤 별도 공간을 분리해서 게다가 뒤쪽에 좌석을 없애고 자체 인터뷰를 진행하거나 모니터링을 하는 공간으로 쓴다. 공간이 넓다보니 선수들이 누워서 갈 수도 있으며 시원한 음료 등 먹을거리를 넣어둘 수 있는 냉장고도 있다. [[https://youtu.be/i34VoM_0LkA|한화생명e스포츠 롤팀의 원딜을 지냈던 권상윤의 리뷰.]] 아래는 버스 사진. [[한화 이글스]]가 저 버스 3대를 쓴다. 타 프로게임단과는 차별화된 한화생명의 HLE에 대한 각별한 지원 규모를 알 수 있는 부분.
56
57 * [[한화 이글스]]가 그렇듯 전담 리포터를 붙여 영상을 만들어 유튜브에 영상을 자주 올리고 30초 모멘트라는 영상으로 선수들의 활약을 보여주기도 하는 등 전폭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이에 보답하기라도 하는 듯 선수들은 거의 새벽 5~6시가 되도록 연습을 멈추지 않는다고.
58
59 * 한화생명에서 인수를 하자마자 공격적인 투자를 보여주고 있다. 경기도 고양시[* [[정발산역]]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다.]에 'Camp One'이라는 사무실 겸 연습실을 조성했는데, 시설 면에서는 [[Gen.G Esports|젠지]]의 게이밍 하우스처럼 국내 최고의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05&aid=0001203952|기사]] [[https://youtu.be/9oWzIpwdTIc|유튜브]] 2025년도에 선수들의 보다 편한 생활 환경을 위해 노후화된 캠프원을 대신하여 전면 재설계한 새로운 숙소로 이전[* 연습환경 등은 기존 캠프원과 유사하나 선수들 숙소가 2인 1실에서 '''1인 1실'''로 변경되었다.]하고 버스 또한 새로운 시설을 갖춘 버스에 차종도 바꿔서 새로 마련했다.
60
61 * 승리할 때마다 선수단 [[회식]]을 열며, SNS에 공개된 사진으로만 봐도 선수들이 매우 고가의 음식을 먹고 있다.
62
63 * 창단하면서 한화생명e스포츠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이 시구를 한 적이 있다. 이 때문에 [[한화 이글스]] 팬들에게도 깊게 각인이 되었는지 한화생명e스포츠 팀의 경기가 있는 날에는 한화 이글스 유니폼을 입은 팬들이 직관을 하기도 한다.[* 참고로 [[Dplus KIA/리그 오브 레전드|Dplus KIA]]의 [[허수(프로게이머)|쇼메이커]] 선수도 스폰서 기업인 KIA의 야구단, KIA 타이거즈의 홈경기에 시구를 한 적이 있으며, 이외에는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t Rolster]] 소속 시절 [[김혁규|데프트]] 선수가 [[kt wiz]] 홈경기에서, [[BNK FEARX/리그 오브 레전드| BNK FEARX]]의 [[전어진|랩터]] 선수가 [[롯데 자이언츠]] 홈경기에서 시구를 한 적이 있다. 다만, 한화생명은 2022년부터 연례행사 급으로 매년 한다는 것이 차이점.]
64
65 * 재미있게도 [[한화생명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리그 오브 레전드 팀]]에도 [[박도현(2000)|박도현]]이 있었고 [[한화생명e스포츠/카트라이더|카트라이더 팀]]에도 [[박도현(2001)|박도현]]이 있었다. 카트라이더 팀의 박도현이 먼저 2019년에 팀 창단 멤버로 합류했고,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의 박도현은 [[LCK 스토브리그/2020|2020년 LCK 스토브리그]]를 통해 합류했다. 카트라이더 팀은 [[라우드커뮤니케이션즈]]가 모기업이기는 하지만 사실상 한화생명e스포츠의 일부로 취급되기에 같은 팀이라고 보는 게 자연스럽다. 그런데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의 박도현의 전 소속팀은 라우드커뮤니케이션즈가 운영하는 [[Griffin/리그 오브 레전드|그리핀]]이었다. 같은 라우드커뮤니케이션즈 직영팀 소속이었다가 한화로 넘어온 셈. 이후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의 박도현은 2020시즌이 끝난 뒤 EDG로 이적했지만, 2023시즌에 다시 복귀했고, 카트라이더 팀의 박도현은 2021 시즌 1이 끝난 뒤 휴식을 선언하며 팀을 떠났다.
66
67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때문에 감독이나 코치진이나 선수들 모두 외출이 힘든 시국이라서 복지 차원에서 아예 [[펌프 잇 업]] 기계와 [[코인 노래방]]을 설치해 주었다고 한다.[* [[이관형]] 코치가 펌프를 좋아해서 [[오락실]] 가기를 즐겨했다고 한다.] 이관형 코치가 떠난 뒤에도 펌프는 남아 있고 [[태고의 달인]] 기기가 하나 더 들어왔다.
68
69 * 2021년 롤드컵 8강 진출 이후 아예 신문 한면에 전면 광고를 개재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hle&no=259067|#]] 개재하는 추정 비용만해도 거의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leagueoflegends4&no=7549617|선수들 최저 연봉급]]인지라 정말로 지원 하나만큼은 화끈하다는 평.[* 이러한 행위가 납득이 되는 것이, 자사야구팀이 투자에 비해 매년 성적을 내지 못해서 침체적인 분위기가 지속되는 와중에 큰 기대를 하지 않았던 프로게임단이 세계대회에서 8위권에 들어갈 정도로 좋은 성적을 기록하면서 제대로 홍보효과를 누리게 되었기에 회사입장에서도 투자한 만큼 보답받았으니 큰 경사로 여길 수밖에 없으며 이 당시 롤드컵 개최지가 [[아이슬란드]]였는데 이 시기가 공교롭게도 [[한화테크윈]]이 화산 활동용 CCTV를 아이슬란드 화산에 설치했던 시기인데 한화테크윈 입장에선 이러한 기술력을 홍보할 수단이 언론밖에 없었는데 때마침 롤팀이 롤드컵에 진출하게 되면서 홍보영상에 이 화산 CCTV 영상도 함께 넣으며 홍보할 수 있게 되면서 윈윈하게 됐는데 덕분에 내부적으로 엄청나게 분위기가 좋았다는 후문이 있다.]심지어 다음날 63빌딩에 같은 디자인으로 한화생명 1층 로비에 도색까지 한건 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leagueoflegends4&no=7561150|#]]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hle&no=259698|#]]
70
71 * 2024년 LCK 서머 우승을 하자 전의 예처럼 3개 주요 신문(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에 전면 광고를 때렸다.
72
73 * 다른 게임단들과 비교했을때 콘텐츠 파트너 스트리머 영입에는 소극적이다. 2020년 [[박상면(프로게이머)|박상면]]과 [[홍민기(프로게이머)|홍민기]] 영입, 2022년도 계약만료 이후로 아무런 콘텐츠 파트너 스트리머 영입이 없다가 2025년 전역 후 한화생명을 열렬히 응원하며 큰 관심을 보여준 스맵 [[송경호(프로게이머)|송경호]]를 영입했다. 대신 아이돌, 인플루언서와 콜라보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는 [[프로미스나인]]의 [[이채영]]이 있는데, 한화생명e스포츠 공식 유튜브 콘텐츠인 e스포츠 덕질 후기, '이덕후'에 출연하여 다수의 영상을 촬영하기도 했다. 이것이 인연이 되어 후에도 가끔씩 초청을 받아 한화생명e스포츠의 경기 직관에 참석하며 팬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이덕후 시즌2인 '이단장'에서 한화생명e스포츠의 명예 단장으로 임명되었다.
74
75=== '한전드' 백종순 여사 ===
76[[파일:한전드 이모님.jpg|width=100%]]
77
78선수단의 식사를 책임지는 '이모님'의 솜씨가 좋아 밥이 잘 나오고 맛있기로 소문이 자자하다. 팀을 거쳐간 선수마다 밥이 정말 맛있다는 후기를 남겨 자연스럽게 팬들 사이에서 유명해졌는데, 누구보다 음식에 대해 진심인 [[이성진(프로게이머)|큐베]]조차도 2020 시즌에 영입된 이후 "여기는 아예 [[김장]]을 자체적으로 한다", "돈 주고도 사먹을 맛"이라며 맛에 대한 극찬을 아끼지 않아 화제가 되었다.
79
80마찬가지로 밥이 맛있기로 유명한 [[T1/리그 오브 레전드|T1]] 출신 [[박권혁|트할]]과 [[이재완|울프]]도 극찬했는데, 특히 울프는 진지하게 "이모님 모셔와야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울프가 주방에 들어가서 이모님에게 [[김치]]도 직접 담그는지 여쭤보고 이모님이 그렇다고 말하자 나온 반응이다. 이모님은 "스카우트 해가세요."라며 웃어넘겼는데, 이를 본 한화 관계자가 기겁하며 이 부분은 편집해 달라고 말하는 장면이 백미다.] 어찌나 화제인지 아예 [[https://n.news.naver.com/sports/esports/article/005/0001266243|체험 기사]]까지 나왔으며, 마침 이모님의 이름이 ''''백종순''''인지라 '이름부터 [[백종원|백종 가문]]이다, 역시 음식 맛이 좋은 이유가 있었다'라는 드립이 속출했다.
81
82참고로 백종순 여사는 한화생명과의 인연이 정말 오래되었는데, 2016년, 즉 한화생명으로 이름이 바뀌기도 전인 [[ROX Tigers/2017년 이전|ROX 타이거즈]] 시절부터 선수들의 식사를 책임져 왔다. 팀의 역사가 워낙 파란만장하다 보니 팀 내에서 백 여사만큼 짬이 높은 사람이 없다고. 덕분에 팬들은 ''''진정한 한전드''''이자 팀의 살아있는 역사라 부르고 있다. 링크된 기사에도 나오지만 이모님은 이미 중식당, 한정식집 등을 운영하며 요식업계에서 20년 이상의 경력을 쌓은 베테랑이다. 20대 때는 궁중 요리도 배웠다고. --광활한 요리 챔피언 폭--
83
84이렇게 커뮤니티에서 화제가 되자 아예 한화생명 [[유튜브]] 컨텐츠를 찍고 있다. 한화생명 선수들을 한 명씩 데려다가 원하는 음식을 해주면서 백종순 여사가 인터뷰를 하는 '힐링식당'이 그것.[* 선수가 아닌 인물이 [[e스포츠]] 씬에서 유튜브 컨텐츠를 진행하는 것이 신선하게 비춰졌는지, 무려 신문 1면에 힐링식당 컨텐츠에 대한 기사가 실리기도 했다.] 식당 이모님이 유튜브 컨텐츠를 진행하는 특이한 케이스이다. 한화생명 선수뿐만 아니라 [[전용준]] 캐스터, [[권상윤|상윤]]이나 [[강범현|고릴라]], [[이서행|쿠로]] 등 은퇴한 ROX/한화생명의 레전드들도 초대하곤 한다. 마치 우리네 어머니를 보는 듯한 찰진 입담 덕분에 [[프로게이머]]나 방송인이 등장하는 컨텐츠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이례적으로 인기가 좋았다.
85
86[[정지훈(2001)|쵸비]]나 [[김혁규|데프트]] 같이 마른 선수들을 보면 내가 너를 기필코 살찌우리라며 도전 욕구를 활활 태우는 모습을 보이는데, 데프트가 연습하다 보면 끼니를 자주 거른다고 하자 '''"한화에선 굶으면 안 돼. 굶으면 나한테 죽어"'''라고 말한다거나, "선수들 부모님들이 아들들 숙소에 보내놓고 걱정 많이 하실 텐데, 내가 있는 한 먹을 거 걱정 하나는 없게 하겠다"라는 포부도 밝혔다. 이외에도 이모님의 하루 브이로그가 올라오는 등 팀 내에서도 백종순 여사를 컨텐츠에 자주 등장시키고 있다.[* 이 영상에는 식사를 준비하는 틈틈이 선수들의 빨래까지 돌리고 다 건조된 세탁물을 걷어서 선수들 개인 락커에 넣어주는 모습까지 포착되어 감동한 팬들의 감사를 표하는 댓글이 가득하다.]
87
88이를 알고 있는 한화생명 프런트에서도 백 여사를 팀 레전드로 대우해주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실제로 백 여사의 생일에 한화생명 측에선 유니폼과 [[홍삼]], 신발을 선물했는데, 유니폼엔 등번호 7번과 함께 'Hangend'라는 이름을 마킹해 주었다. 또한 백 여사가 오븐이 필요하다고 하자 빠르게 주방에 오븐을 구비하고, 한화생명이 팀을 인수하고 선수단 숙소를 일산에 마련할 때 숙소 근처의 빈 땅도 같이 매입하여 백 여사의 요리 재료를 자급자족하기 위한 텃밭을 조성해주는 등[* 지번주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마두동]] 995-1번지. 가끔씩 백 여사와 한화생명 선수들이 출연하는 유튜브 컨텐츠인 '힐링식당'에서 선수들이 텃밭에 가서 상추나 깻잎 등을 뽑아 오는 장면들이 나오기도 한다.] 이모님을 이래저래 지원해주고 있다.
89
90이모님 스스로도 팀에 대한 자부심이 남다른지라 PD가 "이모님 이거 문 닫을 때까지 계속 같이 하셔야 돼요"라고 하자 "문 닫을 때까지 나 내쫓지나 말라"며 종신을 선언하였다. 어떤 인터뷰에선 '''"언젠가 내가 한화를 떠난다면 주방에 내 백넘버 들어간 앞치마 걸어놓고 나가겠다"'''라는 발언으로 다시 한 번 본인이 한전드임을 강조했고, ROX 시절 이후 8년 만에 LCK 우승을 차지한 [[2024 LoL Champions Korea Summer|2024 서머]]에는 유튜브 커뮤니티 탭에 백종순 여사가 직접 LCK 우승컵을 들어올리는 사진을 업로드하는 등 이제는 선수단에 없어서는 안 될 VIP로 대접받고 있다. [[http://youtube.com/post/UgkxC8aCPZuEUvEyXTZClr3XtG4CkkRNvOLu?si=EzvQi7WjehVoxbUz|#]]
91
92리그 오브 레전드 팬덤에서는 LCK 스토브리그 전과 진행 중에 한모님이 타 클럽 네임드 선수들을 데려와 밥을 먹여서 영입한다는, 사실상의 [[스카우터]] 역할을 하는 밈이 있다. 밥이 맛있기로 소문난 게임단은 꽤 많지만[* 대표적으로 T1과 [[kt 롤스터]]가 있다. T1은 웬만한 대기업 수준의 구내식당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KT 역시 '킅모님' 내지는 '갓모님'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요리사가 오랜 기간 근무하고 있다. 킅모님의 경우 미디어에 알려진 내용은 적으나, 저체중으로 [[전시근로역]] 판정을 받은 [[김근성(프로게이머)|말랑]]을 프로필 기준으로 '''4kg'''이나 살찌우는 데 성공한 굉장한 실력자라고. [[광동 프릭스]] 역시 광모님을 앞세워 따라가고 있다.] 아무래도 한모님의 미디어 출연 빈도가 꽤 높았고 팀의 성적이 좋지 않았던 시기가 길다 보니 이 밈은 한화생명이 전담하고 있다. 최근 피넛 10주년 영상 인터뷰에서 대놓고 밥부터 먹여서 다른데 갈 생각 못하게 하자는 얘기도 나왔으니 말 다했다.
93
94[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한화생명e스포츠, version=1070, uuid=18dddc63-d43c-4fa2-aee8-8a9b93c976e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