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
r7 | ||
---|---|---|
r1 Blackberry (새 문서) |
1 | [[분류:창팝]] |
2 | ||
r5 DDAIT |
3 | [include(틀:신창섭 유니버스)] |
4 | [clearfix] | |
r1 Blackberry (새 문서) |
5 | [목차] |
6 | == 개요 == | |
r2 Blackberry |
7 | [[정상화]]의 화신, [[신창섭]]이 부른 노래. |
r6 moonya |
8 | |
9 | == 상세 == | |
10 | [[야가미 라이토]], [[심영]], [[노무현]] 등 옛 사이버-아이돌을 춤추고 노래하게 만들려면 음성을 소스에서 고생스럽게 따서 [[조교]], [[합성]]하고 뮤직비디오도 장인적인 기술을 쌓아 수제작하는 막대한 노고가 필요했지만, 2020년대 중반에 접어들며 [[인공능지]] 기술로 예산/시간 투자를 최소화하면서 평균 수준의 질을 보장하는 풍자물을 단시간에 다작하는 창작 형태가 가능해졌고, 이것이 겜창 놈들의 문화생활에 자리잡았다. 2024년 전반기에 나타난 [[솔랭의 제왕 에디]], [[온 세상이 리선족]] 등의 AI 노래의 히트가 그 효시가 된다. | |
11 | ||
r7 moonya |
12 | [[메이플스토리]]의 [[우마늘]]인 [[신창섭]]이 [[리부트 서버]]를 [[정상화]]한 이후 음해받던 [[리선족]]들이 신창섭과의 문화 전쟁을 선포하였고, 발전된 신기술을 적극 이용해 그를 노래하고 춤추게 만들었다. [[바로 리부트 정상화]]의 유튜브 영상 조회수가 1000만회를 돌파하면서, [[헬조선]]에서 10년 묵은 정병겜 게이머들의 한 서린 몸부림은 인류가 인공지능으로 작곡한 음원 중 범접불가능한 기록을 역사에 새겼다. 중기에는 대대적인 히트곡들의 출현에 힘입어 메이플이란 게임의 실황에는 관심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창팝을 소비하는 [[리슨족]]이라는 새로운 소비 계층이 생겨나 조명받았으며, 창팝 붐이 다소 식은 뒤로도 리선족들은 [[치지직]]에서 창팝 월드컵을 하는 하꼬 방송인들에게 쳐들어가서 시청자를 뻥튀기하고 일부는 정착하는 바이킹과 같은 꾸준한 소비 형태로 창팝 문화의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다. |
r6 moonya |
13 | |
r2 Blackberry |
14 | == 목록 == |
r4 SuzuneTakada |
15 | * [[바로 리부트 정상화]] |
16 | * [[다 해줬잖아]] | |
17 | * [[이해가쏙쏙되잖아리슝좍아]] | |
r6 moonya |
18 | * [[개화]] |
19 | ||
20 | == 관련 커뮤니티 == | |
21 | *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maplereboot|메이플스토리 리부트 마이너 갤러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