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세계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r1 Blame)
r1 | ||
---|---|---|
r1 (새 문서) | 1 | [[분류:이세계아이돌]][[분류:왁타버스]][[분류:왁 엔터테인먼트]][[분류:2021년 데뷔]][[분류:인터넷 밈/인터넷 방송인/대한민국]][[분류:한국어 버츄얼 유튜버 그룹]][[분류:패러블 엔터테인먼트/소속 크리에이터]] |
2 |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이세계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 version=959, uuid=c0c7aab0-7ace-4dff-b564-55879bcea26d)] | |
3 | [include(틀:접근 제한, 문서명=이세계아이돌)] | |
4 |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FlashyThinkableProtectiveBomb, 합의사항1=2025년 3월 22일 다수의 대형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해당 유튜브 영상에서 이세계아이돌 멤버 6인의 현실 모습이 등장한 게 아니냐는 논란에 대해 서술하기)] | |
5 | [include(틀:이세계아이돌)] | |
6 | ||<tablealign=center><tablewidth=640><tablebgcolor=#ee6082,#ee6082><tablebordercolor=#fbc5b2,#fbc5b2><tablecolor=#000,#000><nopad>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e6082, #fbc5b2, #ee6082)" | |
7 | '''이세계아이돌[br]{{{-2 『ISEGYE IDOL Official Profile』}}}'''}}} || | |
8 | ||<nopad> [[파일:이세돌 멜론 프사.png|width=100%]] || | |
9 | ||<nopad>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e6082, #fbc5b2, #ee6082); color: #000" | |
10 | {{{-1 '''[[징버거|{{{#000,#000 징버거}}}]] · [[아이네|{{{#000,#000 아이네}}}]] · [[릴파|{{{#000,#000 릴파}}}]][br][[비챤|{{{#000,#000 비챤}}}]] · [[주르르|{{{#000,#000 주르르}}}]] · [[고세구|{{{#000,#000 고세구}}}]]'''}}}}}} || | |
11 | ||
12 | ||<-3><tablealign=right><tablewidth=400><tablebordercolor=#e9497c,#e9497c><tablebgcolor=transparent><colbgcolor=#e9497c,#e9497c><colcolor=#fff,#fff> {{{#!wiki style="margin: -10px -10px" | |
13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이세계 아이돌 로고.png|height=60]]||'''{{{+1 이세계아이돌}}} | 이세돌'''[br]ISEGYE IDOL · [ruby(異世界, ruby= イセゲ)]アイドル ||}}} || | |
14 | ||<|2><width=100> '''그룹명''' ||<-2>'''이세계아이돌'''[* '이세계'와 '아이돌' 사이는 띄어쓰지 않는다.] || | |
15 | ||<-2>{{{#!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 |
16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17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0.8em" | |
18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영어]]: ISEGYE IDOL (ISEDOL, ISD) ||}}}}}}}}} || | |
19 | || '''결성일''' ||<-2>[[2021년]] [[8월 26일]][br]{{{-2 (결성일로부터 '''[dday(2021-08-26)]일, [age(2021-08-26)]주년''')}}} || | |
20 | || '''데뷔일''' ||<width=1%><colkeepall>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2021년]] [[12월 17일]][br]{{{-2 (데뷔일로부터 '''[dday(2021-12-17)]일, [age(2021-12-17)]주년''')}}} || | |
21 | || '''데뷔 음반'''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include(틀:음반 표시, 음반종류=1st 싱글, 음반명=RE : WIND, 문서명=RE : WIND, 글자색=#171312, 배경색=#e0d461)]|| | |
22 | || '''장르''' ||<-2>[[댄스 음악|댄스]], [[대중음악|팝]], [[발라드]], [[EDM]] || | |
23 | || '''소속사''' ||<-2>[[패러블 엔터테인먼트]] || | |
24 | ||<|2> '''유통사''' ||<-2>[[KT지니뮤직|지니뮤직]][* 단, 2023년에 발매된 [[이세계 페스티벌(이세계아이돌)|이세계 페스티벌]] 음원의 경우 기획은 [[패러블 엔터테인먼트]], 유통은 [[YG PLUS]]가 담당하였고, 2025년부터 패러블 엔터테인먼트 기획으로 발매하는 경우에는 [[KT지니뮤직|지니뮤직]]이 유통을 담당한다. 처음 적용되는 행사 및 곡은 [[이세계 페스티벌 2025]]의 [[SYZYGY(이세계아이돌)|SYZYGY]].] || | |
25 | ||<-2>{{{#gray {{{-2 {{{#!folding [ 이전 유통사 펼치기 · 접기 ] | |
26 | 리웨이뮤직앤미디어}}}}}}}}} || | |
27 | || '''팬덤''' ||<-2>[include(틀:팬덤, 문서=이파리(이세계아이돌), 팬덤명=이파리, 배경색=#93e78b, 글자색=#000)] || | |
28 | || '''응원봉''' ||<-2>[[이세계아이돌#이세계아이돌 OFFICIAL LIGHT STICK|'''{{{#!html <span style="text-shadow: 1px 0px #93e78b, 0px 1px #93e78b, -1px 0px #93e78b, 0px -1px #93e78b, 1px 1px #93e78b, 1px -1px #93e78b, -1px -1px #93e78b, -1px 1px #93e78b; color:#000">LIGHT STICK</span>}}}''']] || | |
29 | || '''링크''' ||<-2>{{{#!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 |
30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31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32 | ||<-2><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e9497c><nopad> '''{{{-3 {{{#!wiki style="padding: 1px 0" | |
33 | [[유튜브|{{{#fff 유튜브}}}]]}}}}}}''' || | |
34 | ||<|2><width=10%>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채널=@waktaverse, 크기=20)] {{{-3 '''왁타버스'''}}}[* 이세계아이돌 뿐만 아니라 고정 멤버 영상도 업로드된다. 또한 이세계아이돌 멤버 전원이 부르는 싱글곡(MV 포함), 커버곡도 이 채널에 업로드된다.] || | |
35 |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채널=channel/UChQveKKV7nZHLSGJaAKOkHA, 크기=20)] {{{-3 '''주제'''}}} [[https://charts.youtube.com/artist/%2Fg%2F11rn5gxjk9|[[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3 '''차트'''}}} || | |
36 | ||<-2><bgcolor=#e9497c><color=#fff><nopad> '''{{{-3 {{{#!wiki style="padding: 1px 0" | |
37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fff SNS}}}]]}}}}}}''' || | |
38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http://cafe.naver.com/steamindiegame|[[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width=20]]]] {{{-2 '''왁물원'''}}}[* 본래 [[우왁굳]]의 팬카페이나 이세계아이돌 결성 이후 이세계아이돌 팬카페로서의 기능도 겸하고 있다.] [[https://www.tiktok.com/@isegye.idol|[[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0]]]][*미사용 [[KIDDING(이세계아이돌)|KIDDING]] 영상 업로드 이후 사용되지 않고 있다.] || | |
39 | ||<-2><bgcolor=#e9497c><color=#fff><nopad> '''{{{-3 {{{#!wiki style="padding: 1px 0" | |
40 | [[스트리밍#s-3|{{{#fff 음원 플랫폼}}}]]}}}}}}''' || | |
41 | || [[파일:세계 지도.svg|width=20]] ||[[https://music.apple.com/kr/artist/isegye-idol/1599900374|[[파일:Apple Music 아이콘.svg|width=20]]]] [[https://open.spotify.com/artist/08OoIISROuIG0Hw8pVhYE6|[[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width=20]]]] [[https://music.youtube.com/channel/UChQveKKV7nZHLSGJaAKOkHA|[[파일:유튜브 뮤직 아이콘.svg|width=20]]]] || | |
42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https://music.bugs.co.kr/artist/20150125|[[파일:벅스 아이콘.png|width=20]]]] [[https://m.music-flo.com/detail/artist/405114569|[[파일:FLO 아이콘.svg|width=20]]]] [[https://www.genie.co.kr/detail/artistInfo?xxnm=81287268|[[파일:지니뮤직 아이콘.svg|width=20]]]] [[https://www.melon.com/artist/timeline.htm?artistId=3059851|[[파일:멜론 아이콘.svg|width=20]]]] [[https://vibe.naver.com/artist/4947038|[[파일:네이버 VIBE 아이콘.svg|width=20]]]] ||}}}}}}}}} || | |
43 | [목차] | |
44 | [clearfix] | |
45 | == 개요 == | |
46 | ||<tablewidth=6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e9497c><tablebordercolor=#e9497c,#e9497c><nopad> [[파일:이세계아이돌 케미프로필.png|width=100%]] || | |
47 | ||<bgcolor=#e9497c,#e9497c><color=#fff,#fff> '''- 이세계아이돌 케미 프로필 단체사진 -''' || | |
48 | ||
49 | ||<tablebordercolor=#e9497c,#e9497c><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e9497c,#e9497c> ||<keepall>{{{#!wiki style="margin: 10px" | |
50 | {{{-1 “(둘, 셋)[* (하나, 둘)로 [[https://youtu.be/GBD5Gc2SIYg&t=927|시작]] 하기도 한다.] [[RE : WIND|차원을 넘어!]] 안녕하세요, 이세계아이돌입니다!”[* [[이세계아이돌/콘텐츠#이세돌 1st Single "RE : WIND" 팬미팅|1차 팬미팅]]에서 [[릴파]]가 [[https://youtu.be/Z0kQyq3Rs9Q&t=516|제안]]했으나, 당시에 묻혔다가 2022년 2월 22일 [[2022 ER 인비테이셔널 1회차|ER 인비테이셔널]]에서 릴파가 다시 제안하여 [[https://youtu.be/LNe7sIJJDsM&t=25|정식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차원을 넘어'라는 슬로건은 [[RE : WIND]] 제작 과정에서 참여 사실이 누락되어 약 3년 4개월 동안 [[저작인격권]]을 침해당했던 작사자의 저작물이다. 자세한 내용은 [[우왁굳 RE : WIND 저작권 독점 논란]] 문서 참고.]}}}}}} || | |
51 | 인터넷 방송인 [[우왁굳]]이 기획한 오디션을 통해 결성되어 [[2021년]] [[12월 17일]]에 데뷔한 [[패러블 엔터테인먼트]] 소속의 개인세 및 6인조 [[버츄얼 유튜버]] 그룹. | |
52 | ||
53 | == 멤버 == | |
54 | ||<-3><tablewidth=6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7416f,#e7416f><tablebgcolor=transparent>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4371, #f361a6)" | |
55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x-width: 70px" | |
56 | [[파일:이세계 아이돌 로고.png|width=100%]]}}}}}} || | |
57 | ||<nopad> [[아이네|[[파일:아이네 유튜브 프로필.jpg|width=100%]]]] ||<nopad> [[징버거|[[파일:뉴징버거 유튜브 프로필.jpg|width=100%]]]] ||<nopad> [[릴파|[[파일:릴파 유튜브 프로필.jpg|width=100%]]]] || | |
58 | ||<width=33.33%><bgcolor=#8a2be2> '''[[아이네|{{{#fff 아이네}}}]]''' ||<width=33.33%><bgcolor=#f0a957> '''[[징버거|{{{#fff 징버거}}}]]''' ||<width=33.33%><bgcolor=#2a265a> '''[[릴파|{{{#fff 릴파}}}]]''' || | |
59 |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
60 | 1994.[*비공개] ([age(1994-01-01)]세)}}} | |
61 | ---- | |
6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
63 |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
64 | 1995. 10. 08. ([age(1995-10-08)]세)}}} | |
65 | ---- | |
6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
67 |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
68 | 1996. 03. 09. ([age(1996-03-09)]세)}}} | |
69 | ---- | |
7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
71 | || | |
72 | ||<nopad> [[주르르|[[파일:주르르 유튜브 프로필.jpg|width=100%]]]] ||<nopad> [[고세구|[[파일:세구세구 유튜브 프로필.jpg|width=100%]]]] ||<nopad> [[비챤|[[파일:비챤 유튜브 뉴프로필.png|width=100%]]]] || | |
73 | ||<bgcolor=#ff008c> '''[[주르르|{{{#fff 주르르}}}]]''' ||<bgcolor=#467ec6> '''[[고세구|{{{#fff 고세구}}}]]''' ||<bgcolor=#95c100> '''[[비챤|{{{#fff 비챤}}}]]''' || | |
74 |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
75 | 1997. 06. 10. ([age(1997-06-10)]세)}}} | |
76 | ---- | |
7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
78 |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
79 | 1998.[*비공개] ([age(1998-01-01)]세)}}} | |
80 | ---- | |
8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
82 | ||<^|1>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
83 | 2000. 01. 16. ([age(2000-01-16)]세)}}} | |
84 | ---- | |
8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 | |
86 | ||
87 | === [[/멤버 간 케미|멤버 간 케미]] === | |
88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세계아이돌/멤버 간 케미)] | |
89 | ||
90 | == 특징 == | |
91 | === 로고 === | |
92 | ||<tablealign=center><tablewidth=7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e6437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x-width: 150px; margin: 10px 0" | |
93 | [[파일:이세계 아이돌 로고.png|width=100%]]}}} || | |
94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e64371, #f361a6)" | |
95 | '''{{{#fff 로고}}}'''[*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417808|로고 원본]]. 폰트는 오디션 포스터에도 쓰인 [[비트로(기업)|비트로]]코어체이다.]}}} || | |
96 | || {{{#!wiki style="margin: 10px 0" | |
97 | [[파일:이세계아이돌_블랙_.svg|width=50%&theme=light]][[파일:이세계아이돌_화이트_.svg|width=50%&theme=dark]]}}} || | |
98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nt-size:0.83333em" | |
99 | {{{#!folding [ 하단 제거 ver. 펼치기 · 접기 ] | |
100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101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 {{{#!wiki style="margin: 10px 0" | |
102 | [[파일:이세계아이돌 프로필 로고 (블랙).svg|width=50%&theme=light]][[파일:이세계아이돌 프로필 로고 (화이트).svg|width=50%&theme=dark]]}}} ||}}}}}}}}} || | |
10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e64371, #f361a6)" | |
104 | '''{{{#fff 가로형 로고}}}'''[*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13089082|가로형 로고 원본]]]}}} || | |
105 | ||
106 | 상단 로고는 [[/오디션|이세계아이돌 오디션]] 진행 중 만들어진 로고이며 가로형 로고는 [[2023년]] 중순에 새로 제작된 것이다. 가로형 로고를 만든 이후로는 [[이세계 페스티벌(2023)|이세계 페스티벌]]의 [[이세계 페스티벌(이세계아이돌)#OVER|OVER]] 무대, [[SOOP]] 공식 검색 배너 등 공식적으로는 가로형 로고를 더 많이 쓰고 있다. | |
107 | ||
108 | === 그룹명 === | |
109 | '''이세계아이돌'''은 오디션 프로젝트명으로 임시로 사용되었던 이름이지만, 그대로 굳어져 공식 명칭이 되었다.[* 데뷔 전 우왁굳의 방송에서 그룹명 선정을 진행할 당시에는 [[/여담#그룹명 선정|버츄원]]이라는 이름이 유력하게 꼽혔으나 사용하기에 여러 문제가 있었다.] | |
110 | ||
111 | 버츄얼 아이돌 그룹이라는 콘셉트를 가져와 [[왁타버스|다른 세계]]의 아이돌이라는 의미를 담았다. | |
112 | ||
113 | 그룹명 표기를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이세계 아이돌'로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정확한 표기는 띄어쓰기가 없는 '이세계아이돌'이다. 다만 영어로는 발음 문제 때문에 ISEGYE IDOL로 띄어쓴다. | |
114 | ||
115 | === [[/오디션|오디션]] === | |
116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세계아이돌/오디션)] | |
117 | 이세계아이돌 오디션의 선발 과정은 일반적인 공중파 오디션의 포맷을 일부 차용해, 1차 오디션부터 최종 합격까지 50여 일에 걸쳐 라이브로 진행되었다. | |
118 | ||
119 | 사전 녹화 후 편집되어 방영되는 보통의 오디션 프로그램들과 달리, 모든 과정이 생방송으로 진행되었으며 참가자들이 각자 진행하는 개인 방송을 통해 시청자와 참가자 간의 직접적인 소통이 이루어졌다. | |
120 | ||
121 | === 정체성 === | |
122 | 이세계아이돌은 [[우왁굳]]에 의해 '''걸그룹 콘셉트의 버츄얼 유튜버'''로 정의되었다.[* 버츄얼 유튜버는 당시 한국에서 이미 나타나고 있었다.] | |
123 | * [[버츄얼 유튜버]]: 기존의 버츄얼 유튜버들과는 달리, 이세계아이돌은 콘셉트 (RP)가 거의 없다시피 하며 실제 본인을 그대로 드러냈다. [[인터넷 방송인]]으로서 [[SOOP]]에서 개인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고 [[유튜브]]에 영상을 올린다. | |
124 | * [[걸그룹]] 콘셉트: 온라인에서 앨범을 발매하고 쇼케이스와 음원 차트 활동을 진행한다. 오프라인에서 콘서트를 개최하며 페스티벌에도 출연한다. | |
125 | 이러한 정의에 기반한 [[시너지 효과|시너지]] 효과가 존재한다. | |
126 | * 실시간 소통: 유튜브, SOOP, SNS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팬덤과 실시간 소통이 가능하다. 우왁굳은 기존의 아이돌과 팬덤의 소통 부재는 구조적인 문제가 크고, 방송인처럼 실시간으로 소통해야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https://youtu.be/_AuaoOgdF44|#]] | |
127 | 이세계아이돌은 [[우왁굳]]을 메인 프로듀서로서 음원, 뮤비 등 제작이 이루어지고 있다. 걸그룹 컨셉의 활동이 지속적으로 우상향을 그리게 되어 [[이파리(이세계아이돌)|팬덤]]에서 이세계아이돌의 주된 정체성을 걸그룹으로 여기는 인식이 늘고 있지만, 우왁굳은 구조의 한계로 걸그룹을 메인으로 운영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발언하며, 다른 회사에게 이세계아이돌의 운영권을 넘길 생각도 없다고 밝힘과 동시에 이세계아이돌이 앞으로도 '''버츄얼 유튜버'''로 주로 활동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 |
128 | ||
129 | === 운영 === | |
130 | 이세계아이돌은 [[우왁굳]]이 창설한 왁 엔터테인먼트라는 크리에이터 팀이 그룹으로서 운영을 맡고 있으며, 이는 실제 법인이 아닌 가상의 연예 기획사이다.[* [[QWER]]의 [[쓰리와이코프레이션#타마고 프로덕션|타마고 프로덕션]]과 비슷하다.] 그러나 기업급 단위의 인력과 자본 필요한 대형 음악 콘텐츠 또는 오프라인 [[콘서트]] 등 개인이 감당하기 어려운 업무는 [[MCN]]이자 [[연예 기획사]]인 [[패러블 엔터테인먼트]]에서 주최 및 주관하고 있다. | |
131 | ||
132 | 콘텐츠 제작이나 방송 시간 등에 대한 결정권도 멤버 본인에게 있어 활동이 자유롭다. 우왁굳은 그룹장으로서의 전반적인 운영을 담당하고 있으며, 초기에 활동을 지도했던 이후에는 멤버들의 개인 활동에 개입하지 않고 있다. 개인 수익도 우왁굳이나 패러블 엔터테인먼트와 나누지 않는다. 그래서 이세계아이돌은 '''개인세 버튜버'''로 분류된다. | |
133 | ||
134 | === 데뷔 배경 === | |
135 | {{{#!wiki style="width: 100%; max-width: 1000px; margin: 5px -5px 0px 0px; padding: 0px; border: 2px solid #e64371" | |
136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transparent>일단은 재미로 해보는 컨텐츠지만 혹시나 개뽀록으로 잘될 수도 있습니다.[br]그래도 일단은 재미로 참가해주셔도 괜찮습니다. | |
137 | ---- | |
138 | '''[컨텐츠 망했을 시] (확률 99.8%)''' | |
139 | 1. 사이버 아이돌 프로젝트 컨텐 출연 가능 | |
140 | 1. 인생에 재미있는 추억 쌓기 삽가능 | |
141 | 1. 네임드 청자가 돼서 앞으로의 시참이 수월해짐 | |
142 | 1. 사람들에게 관심과 사랑을 받는 소중한 경험 | |
143 | 1. 티비에 나오는 예능 프로그램 찍듯이 컨텐츠에 나와서 즐길 수 있음 | |
144 | ||
145 | '''[컨텐츠 흥했을 시] (확률 0.2%)''' | |
146 | 1. 망했을 시 혜택 모두 있음 | |
147 | 1. 1년간 우왁굳 밑에서 활동 | |
148 | 1년 이후 개인 방송 허락 (활동 가능 + 우왁굳이 지원해줌 + 우왁굳과 동시간대 방송 가능) | |
149 | 2년 이후 개인 유튜브 허락 (홍보 및 지원 가능) | |
150 | 3년 이후 개인 스트리머, 유튜버로서 독립 (+ 그렇게 되도록 홍보 및 지원) | |
151 | (독립할 수 있는 버튜버가 될 수 있게 지원) | |
152 | 1. 비지니스 관련해서 진행 되는 경우 수익 분배 | |
153 | (흥하다 갑자기 망하면 컨텐츠 끝나고 족쇄 사라짐) | |
154 | (흥하는 정도에 따라 자세한 내용 바뀔 수 있습니다.) || | |
155 |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377190|"당신을 이세계 아이돌로 만들어 드립니다" VR챗 사이버 아이돌 지원 공지]] 中 ||}}} | |
156 | 이세계아이돌은 왁타버스 고정 멤버의 연장선상에서 시작된 콘텐츠였다. 기획자인 우왁굳도 성공 가능성을 매우 낮게 평가했으며[* 콘텐츠가 종료된 이후에도 방송에 참여할 수 있도록 [[침팬치|팬덤]] 중에서 선발되었을 정도였다.], [[침팬치|팬덤]]도 버튜버에 부정적이었다. 그러나 멤버 개개인의 팬층이 점차 탄탄해지고 결성 이후 발표한 데뷔곡 [[RE : WIND]]가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면서 본격적으로 정비되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71782|#]] | |
157 | ||
158 | 2023년부터는 음반과 오프라인 행사에서의 성공, 굿즈 및 웹툰 펀딩을 통한 매출 신기록 달성 등을 통해 실제 아이돌에 못지않은 파급력을 입증했으며, 버츄얼 그룹 역시 대형 프로젝트를 성사시킬 수 있다는 인식을 업계에 각인시켰다고 평가 받았다. [*링크1 [[https://mydaily.co.kr/page/view/2024112213320042992#_PA|#1]] [[https://www.yna.co.kr/view/AKR20250322039600005?input=copy|#2]] [[https://m.etoday.co.kr/view.php?idxno=2287252|#3]] [[https://zdnet.co.kr/view/?no=20241127094152#_DYAD|#4]]] | |
159 | ||
160 | 이러한 성과들은 언론과 대중매체를 통해 꾸준히 조명되어 버츄얼이라는 개념이 본격적으로 대중에게 알려지고 인식되는 데 기여하였다.[*링크2 [[https://mobile.newsis.com/view/NISX20230831_0002433010|#1]] [[https://youtu.be/S1bcy4h1mS8|#2]] [[https://youtu.be/Av1zma6uJco|#3]]] | |
161 | ||
162 | 때문에 3년이 지난 2024년 8월 이후에도 멤버들은 최초 조항과 달리 우왁굳에게서 독립한다거나 하지 않고 이세계아이돌로서 쭉 남아있다. 우왁굳 본인도 2024년 12월에 고세구가 위 조항을 읽는 클립을 보고는 저 때는 자기도 뭘 모르고 적었다면서 스스로에게 어이없어하며 웃었으며, 저걸 작성할 당시엔 이세돌을 고멤과 결을 같이해서 저리 한 건데 한 번에 성장해 버렸다고 [[https://youtu.be/0Uq818lpQq8|반응했다.]] | |
163 | ||
164 | === 우왁굳과의 관계 === | |
165 | 우왁굳은 이세계아이돌에게 있어 단순한 멘토 이상의 존재이다. 그는 프로듀서, 소속사 사장, 그룹의 중심축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 또한 이세계아이돌의 많은 활동들이 우왁굳의 지원 하에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파리(이세계아이돌)|이세계아이돌의 팬덤]]과 멤버들은 우왁굳에 대해 깊은 신뢰를 보인다. 우왁굳 역시 이세계아이돌에 대한 강한 애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긴밀한 관계는 다음의 사례들에서 자세히 드러난다.[* 방송 중에 '''그 누구도 나보다 이세돌을 더 위할 수 없다'''고 한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14159028|발언]]은 이를 잘 보여준다. 또한 6명의 젊은 청년들을 [[음지|이쪽 세계]]로 끌어들인 것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 |
166 | ||
167 | 먼저, 이세계아이돌 멤버들의 방송 스타일은 우왁굳의 것과 상당히 유사하다. 이는 대부분의 멤버들이 원래 우왁굳 방송의 시청자였고, 방송 경험이 부족한 상태[* 개인 방송을 하고 있던 징버거와 고멤 활동을 했던 주르르는 그나마 사정이 나았다.]에서 우왁굳의 지도를 받아 방송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 |
168 | ||
169 | 그리고 우왁굳과 이세계아이돌 멤버들은 서로의 방송 클립을 보고 반응하거나[* 초기에는 멤버 간 합방이 금지되어 있었기 때문에 방송 중인 멤버 간 교류가 이렇게 이뤄졌던 것이 시초다. 당시 송출 플랫폼이던 [[트위치]]의 시스템 특성상 '클립 반응 영상'에 대한 반응이 클립으로 만들어지는 일도 흔해서, '멤버 A의 방송에서 나온 웃긴 장면을 본 멤버 B의 반응을 본 우왁굳의 반응을 본 A의 반응을 B가 보는' 상황이 자주 일어난다. [[https://youtu.be/l89Id1rjVZw|이렇게도 된다.]]], 서로의 유튜브에 등장하는 등 활발히 교류한다. 또한 우왁굳의 방송에서 유행하는 밈들이 이세계아이돌 멤버들의 방송에서도 사용되고, 반대로 이세계아이돌의 밈이 우왁굳의 방송에서 사용되는 등 밈 문화가 활발히 공유된다.[* [[알잘딱깔센|알잘딱]]이나 O뱅알, 게임이나 콘텐츠를 끝낼 때 '관'이라고 표현하는 것, 우왁굳이 귀여운 행동을 할 때 'ㄱㅇㅇ'이 사용되는 것 등.] | |
170 | ||
171 | 이러한 상호작용은 우왁굳의 팬덤과 이세계아이돌의 팬덤의 교집합을 형성한다. | |
172 | ||
173 | ==== [[왁타버스]] ==== | |
174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왁타버스)] | |
175 | 이세계아이돌 멤버들은 왁타버스의 일원으로서 직접적으로 다른 왁타버스 멤버들과 교류한다. | |
176 | ||
177 | 또한 왁타버스 내부에서 교류를 자주하는 대신 타 방송인과의 교류가 적다. 이는 우왁굳의 초창기 규정 영향도 있는데, 멤버 개개인의 내실을 튼튼히 다져야 한다는 이유로 외부 합방은 물론 멤버 간 합방도 지양하고 개인 방송에 전념을 시켰던 시기가 있었기 때문이다. 외부에서 이세계아이돌을 비롯해 왁타버스를 [[갈라파고스화|외딴 섬]]으로 비유하는 이유가 바로 이러한 특징들 때문이다. | |
178 | ||
179 | 다만 2024년부터, 특히 [[악어(인터넷 방송인)/대규모 콘텐츠/악어의 놀이터 2|악어의 놀이터 2]]에 멤버 전원이 참여했던 것을 기점으로 왁타버스 바깥의 국내 방송인들과의 교류는 물론 외국의 유튜버들과도 접점이 조금씩 생기고 있다. | |
180 | ||
181 | == 역사 == | |
182 | ##주요 활동의 기준으로 연도별로 작성한다. | |
183 | ||
184 | ===# 2021년 #=== | |
185 | [[2021년]] [[8월 26일]], 오전 1시 1분에 최종 멤버로 [[아이네]], [[징버거]], [[릴파]], [[주르르]], [[고세구]], [[비챤]] 총 6인이 선발되었다.[*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3562101|결성]]] | |
186 | ||
187 | [[2021년]] [[12월 17일]], 1st 싱글 [[RE : WIND]]를 발표하면서 데뷔하였다. [[RE : WIND]]는 [[멜론]] TOP100 차트 80위, 벅스 1위, 가온 다운로드 차트 1위 등의 기록을 세웠다. | |
188 | ||
189 | ===# 2022년 #=== | |
190 | '''2022년 3월 11일''', 2nd 싱글 [[겨울봄]]을 발매했다. 3월 1주차에 [[가온차트]] 다운로드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하였으며, 유튜브 인기 동영상 3위에 올랐다. 또한 [[멜론(음원 서비스)|멜론]] TOP100 차트 36위에 오르는 기록을 세웠다.[* 두 번째 싱글 ‘겨울봄’으로 멜론차트 TOP100 36위에 오르며 놀라운 상승세를 보여줬다. [[https://kakaoent.com/pr/detail/94|카카오엔터테인먼트 공식 출처]]] | |
191 | ||
192 | '''2022년 5월 14일''', 우왁굳의 방송을 통해 우왁굳과 이세계아이돌이 정식 계약을 맺었다는 사실이 공개되었다. | |
193 | ||
194 | '''2022년 8월 10일''', 우왁굳의 방송을 통해 [[https://youtu.be/oo1wKkT3cpI|이세계아이돌의 공식 웹툰이 제작된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이후 왁물원을 통해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7214985|웹툰 공모전]]이 실시되었다. | |
195 | ||
196 | '''2022년 9월 19일''', 우왁굳의 방송을 통해 공모전 결과가 [[https://cafe.naver.com/steamindiegame/7697162|발표]]되었으며, 우왁굳은 카카오와의 협의가 이루어져 기존에 연재를 계획했던 작품 이외에도 추가로 단편 작품이 연재될 것이라고 밝혔다. | |
197 | ||
198 | ===# 2023년 #=== | |
199 | '''2023년 6월 3일''', [[:파일:이세돌_프로모션_스케줄_채운거(2023년 여름).png|로드맵]]이 공개되며 [[마법소녀 이세계아이돌]]과 [[차원을 넘어 이세계아이돌]]의 연재가 발표되었다. | |
200 | ||
201 | '''2023년 6월 22일''', [[마법소녀 이세계아이돌]]이 [[카카오웹툰]]과 [[카카오페이지]]에서 연재를 시작하였으며, [[차원을 넘어 이세계아이돌]]의 OST 첫 티저와 프롤로그가 공개되었다. 또한 [[카카오톡]]에서 [[https://e.kakao.com/t/magical-isegye-idols?lang=ko&refere|마법소녀 이세계아이돌의 이모티콘]]이 발매되었다. | |
202 | ||
203 | '''2023년 6월 23일''', [[마법소녀 이세계아이돌]]의 OST인 [[LOCKDOWN]]이 공개되었다. LOCKDOWN은 멜론에서 발매 하루만에 100만 스트리밍을 달성하면서 버츄얼 그룹 최초로 [[멜론의 전당]] 타이틀을 얻게 되었다.[* 웹툰 공개를 기념해 제작된 마법소녀 이세계 아이돌의 OST '락다운'(LOCKDOWN)은 발매 24시간 내 100만 스트리밍을 돌파했다. 지난 22일 정식 공개된 공식 뮤직비디오는 24일부터 25일 간 유튜브 인기 급상승 동영상 1~2위에 올랐다. 이는 버튜버 아티스트 최초로 '멜론의 전당'에 오르는 기록을 세웠다. [[https://www.newstof.com/news/articleView.html?idxno=21038|#]]] 또한 마법소녀 이세계아이돌 이모티콘이 전 연령 인기 1위를 기록했다.[* 한국의 버추얼 유튜버(버튜버) 6인으로 이뤄진 걸그룹 '이세계 아이돌(이세돌)'의 첫 공식 카카오톡 이모티콘이 모든 연령대에 걸쳐 인기 1위에 올랐다. 전날 출시된 넥슨 '블루 아카이브' 게임과 같은 성과다. 카카오톡 이모티콘샵의 공식 순위에 따르면 지난 22일 오전 10시 30분 경 출시된 '마법소녀! 이세계아이돌의 일상' 이모티콘은 다음날인 23일 오전 9시 30분을 기준으로 종합 순위는 물론 연령대별(10대, 20대, 30대, 40대) 순위 1위를 모두 석권했다.[[https://g-enews.com/view.php?ud=202306230950125106c5fa75ef86_1|#]] 웹툰 공개를 기념해 제작된 '이세돌'의 OST '락다운'(LOCKDOWN)은 발매 24시간 내 100만 스트리밍을 돌파하며 버튜버 아티스트 최초로 '멜론의 전당'에 오르는 진기록을 썼다. 공식 뮤직비디오가 24~25일 내내 유튜브 인기 급상승 동영상 1~2위에 올랐으며, 웹툰 출시에 맞춰 제작된 카카오 이모티콘도 론칭과 동시에 랭킹 1위에 올랐다. [[https://www.nocutnews.co.kr/news/5966467|#]] 웹툰 공개를 기념해 제작된 ‘마법소녀 이세계아이돌’의 OST ‘LOCKDOWN’은 발매 24시간 내 100만 스트리밍을 돌파하며 버튜버 아티스트 최초로 ‘멜론의 전당’에 오르는 진기록을 썼다. 공식 뮤직비디오가 6월 24~25일 내내 유튜브 인기 급상승 동영상 1~2위에 올랐으며, 웹툰 출시에 맞춰 제작된 카카오 이모티콘도 론칭과 동시에 랭킹 1위에 올랐다. [[https://fetv.co.kr/news/article.html?no=141964|#]] 웹툰 ‘마법소녀 이세계아이돌’ OST ‘LOCKDOWN’으로 100만 스트리밍을 달성하면서 버추얼 그룹 최초로 멜론의 전당 ‘밀리언스 앨범’에 입성했으며 (후략) [[https://kakaoent.com/pr/detail/94|카카오엔터테인먼트 공식 출처]] '마세돌' 웹툰 공개를 기념해 제작된 OST 'LOCKDOWN'은 발매 24시간 내 100만 스트리밍을 돌파하며 버추얼 아티스트 최초로 '멜론의 전당'에 오르는 기록을 세웠다. 웹툰 출시에 맞춰 제작된 카카오 이모티콘도 론칭과 동시에 랭킹 1위에 올랐다. [[https://www.seou1.com/news/articleView.html?idxno=6413|#]]] | |
204 | ||
205 | '''2023년 7월 19일''', [[차원을 넘어 이세계아이돌]]의 OST 두번째 [[https://www.youtube.com/watch?v=8Lfz7lSBb_Y|티저]]가 공개되었다. | |
206 | ||
207 | '''2023년 7월 20일''', [[차원을 넘어 이세계아이돌]]이 [[카카오페이지]]와 [[카카오웹툰]]에 정식으로 공개되었다. | |
208 | ||
209 | '''2023년 7월 21일''', 차원을 넘어 이세계아이돌의 OST, [[Another World(이세계아이돌)|Another World]]가 공개되었다. Another World는 멜론에서 발매 하루만에 100만 스트리밍을 달성하면서 '''7월 23일'''에 뉴진스와 함께 유이한 멜론의 전당 2회를 달성하였다.[* 웹툰 ‘차원을 넘어 이세계아이돌’ OST ‘Another World’로 멜론의 전당 2관왕 기록을 세웠다. [[https://kakaoent.com/pr/detail/94|카카오엔터테인먼트 공식 출처]]] | |
210 | ||
211 | '''2023년 8월 18일''', 3rd 싱글 [[KIDDING(이세계아이돌)|KIDDING]]이 발매되었다. 발매 하루만에 200만 스트리밍을 달성하면서 '''멜론 최초'''로 멜론의 전당 '''3회'''를 달성했다. 멜론 TOP100 차트 6위, 9월 25일 일간 차트 41위, 9월 4주 주간 차트 45위, 10월 종합 월간 차트 57위, 8월 4주 주간 인기상 TOP20 1위를 달성하였다. 또한, 유튜브 한국 인기 급상승 동영상 1위, 한국 인기 급상승 음악 1위, 유튜브 뮤직 한국 인기곡 3위, 3주 연속 유튜브 뮤직 한국 뮤직비디오 1위, [[빌보드]] 한국 차트 3위와 빌보드 글로벌 200 (미국 제외) 167위를 달성하였다.[* 버추얼 걸그룹 '이세계아이돌'(이세돌)이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뮤직플랫폼 멜론(Melon) '멜론의 전당' 처음으로 3관왕을 달성했다. 이세계아이돌은 올해 1월 멜론의 전당 론칭 이후 최초로 밀리언스 앨범 3관왕을 달성했을 뿐 아니라 '락다운'은 21시간40분 만에, '어나더 월드'는 18시간20분 만에 100만 스트리밍을 찍었는데 '키딩'은 11시간 만에 같은 기록을 달성했다. [[https://www.newsis.com/view/NISX20230824_0002425579|#]] 멜론은 ‘이세계아이돌’이 지난 18일 세번째 싱글 ‘KIDDING’으로 멜론의 전당 밀리언스 앨범에 등극했다고 24일 밝혔다. '이세계아이돌’은 지난 1월 멜론의 전당 론칭 이후 최초로 밀리언스 앨범 3관왕을 달성했을 뿐 아니라, ‘LOCKDOWN’ 21시간 40분에서 ‘Another World’ 18시간 20분, ‘KIDDING’은 11시간으로 발매 때마다 달성 시간을 대폭 단축시키며 꾸준히 자체 최고 신기록을 세우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 [[https://www.beyondpost.co.kr/view.php?ud=2023082410303156972dcfca32d7_30|#]]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 '멜론'은 이세계아이돌(이하 이세돌)이 지난 6월과 7월 웹툰 '마법소녀 이세계아이돌' OST 'LOCKDOWN'과 웹툰 '차원을 넘어 이세계아이돌' OST 'Another World'로 연달아 멜론의 전당 밀리언스 앨범에 등극한데 이어, 한달만에 지난 18일 발매한 세번째 싱글 'KIDDING'으로 역대 최초 3관왕을 달성했다고 24일 밝혔다. [[https://www.newstree.kr/newsView/ntr202308240008|#]]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뮤직플랫폼 멜론은 이세계아이돌이 지난 18일 발매한 세 번째 싱글 ‘키딩(KIDDING)’으로 ‘멜론의 전당’ 밀리언스 앨범에 등극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지난 6월과 7월 웹툰 ‘마법소녀이세계아이돌’ 오리지널사운드트랙(OST) ‘락다운(LOCKDOWN)’과 웹툰 ‘차원을넘어이세계아이돌’ OST ‘어나더 월드(Another World)’로 연달아 멜론의 전당 밀리언스 앨범에 등극한 데 이어, 한달만의 성과다. 이세계아이돌은 올해 1월 멜론의 전당 시작 이후 최초로 밀리언스 앨범 3관왕을 달성했을 뿐 아니라, ▲‘LOCKDOWN’ 21시간 40분 ▲‘Another World’ 18시간 20분 ▲‘KIDDING’은 11시간으로 발매마다 달성 시간을 대폭 단축해 자체 최고 신기록을 세웠다. [[https://ddaily.co.kr/page/view/2023082410411738118|#]] 웹툰 '마법소녀 이세계아이돌' OST 'LOCKDOWN'으로 100만 스트리밍을 달성하면서 버추얼 그룹 최초로 멜론의 전당 '밀리언스 앨범'에 입성했으며, 웹툰 '차원을 넘어 이세계아이돌' OST 'Another World'로 멜론의 전당 2관왕 기록을 세웠다. 그리고 'KIDDING'이 발매 24시간 만에 200만 스트리밍을 돌파해 멜론의 전당 3관왕의 영광을 안았다. [[https://www.xportsnews.com/article/1945301|#]] ‘KIDDING’은 발매 24시간 만에 200만 스트리밍을 돌파하며 멜론의 전당 사상 최초 3관왕의 영광을 안았다. 또한, 멜론차트에서는 TOP100 6위를 비롯해 일간차트 41위, 주간차트 45위, 월간차트 57위 등 대기록을 세웠고, 음원성적에 팬투표를 더한 멜론 주간인기상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https://kakaoent.com/pr/detail/94|카카오엔터테인먼트 공식 출처]]] | |
212 | ||
213 | '''2023년 9월 23일''', 이세계아이돌의 첫 오프라인 콘서트인 [[이세계 페스티벌(2023)|이세계 페스티벌]]에서 [[Superhero(이세계아이돌)|Superhero]]와 [[OVER(이세계아이돌)|OVER]]가 공개되었다. | |
214 | ||
215 | '''2023년 9월 24일''', 디지털 싱글 [[이세계 페스티벌(이세계아이돌)|이세계 페스티벌]]이 발매되었다. 앨범이 발매 11시간 50분만에 멜론의 전당에 오르면서, '''멜론 최초'''로 멜론의 전당 '''4회''' 타이틀을 얻으며 기존 3회 기록을 스스로 경신했다.[* 국내 최초 오프라인 메타버스 페스티벌인 ‘이세계 페스티벌’에서 처음으로 공개한 ‘OVER’, ‘Superhero’의 인기에 힘입어 멜론의 전당 4관왕을 차지하는 최초의 아티스트로 이름을 올리며 (후략) [[https://kakaoent.com/pr/detail/94|카카오엔터테인먼트 공식 출처]]] | |
216 | ||
217 | '''2023년 12월 28일 오후 5시''', [[텀블벅]]을 통해 [[마법소녀 이세계아이돌]]의 단행본 및 굿즈가 [[https://tumblbug.com/magicalgirl_isegyeidol|크라우드 펀딩]]을 시작했다. 2일 만에 후원 금액 26억원을 돌파하면서 '''텀블벅 후원 1위''' 기록을 [[https://www.thedailypost.kr/news/articleView.html?idxno=103121|경신]]하였다. 이후 최종 '''41억 9천만원 가량'''이 모금되면서 역대 '''국내 크라우드 펀딩 1위''' 기록을 갱신하였다.[*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텀블벅이 웹툰 ‘마법소녀 이세계아이돌(이세돌)’ 단행본 및 스페셜 공식 굿즈 펀딩 모금액이 41억원을 돌파했다고 26일 밝혔다.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지난 12월 28일부터 이달 25일까지 약 한 달간 진행한 이세돌 단행본 펀딩에는 총 3만 1336명이 참여했다. 누적 펀딩 금액 41억 9889만원을 달성해 국내 크라우드 펀딩 역사상 최대 후원 기록을 세웠다. 이세돌은 오픈 24시간 만에 누적 후원금 25억 3000만원을 돌파하며 당초 목표 금액이었던 2000만원을 넘겼다. 개설 6일 차에는 30억원에 육박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1263714i|#]] 지난 12월 28일부터 이달 25일까지 약 한달간 진행한 이세돌 단행본 펀딩에는 총 3만 1336명이 참여, 누적 펀딩 금액 41억 9889만원을 달성해 국내 크라우드 펀딩 역사상 최대 후원 기록을 세웠다. ‘이세돌’은 오픈 24시간 만에 누적 후원금 25억 3000만원을 돌파하며 당초 목표 금액이었던 2000만원을 훌쩍 넘긴 데 이어, 개설 6일 차에는 30억원에 육박하는 등 고공행진을 거듭했다.[[https://news.nate.com/view/20240128n05153|#]]] | |
218 | ||
219 | ===# 2024년 #=== | |
220 | '''2024년 1월''', 지난 12월에 [[트위치 대한민국 사업 철수 사건|트위치가 한국 시장 철수를 발표]]하게 되면서 우왁굳과 함께 SOOP으로 방송 플랫폼을 이동하기로 결정했다. 이후 '''2024년 2월 10일~11일'''에 SOOP 첫 방송을 시작하였다. | |
221 | ||
222 | '''2024년 2월 16일~29일''' 2주간 [[더현대 서울]]에서 이세돌팝업봤?이라는 이름으로 [[팝업스토어]]를 진행하였다. | |
223 | ||
224 | '''2024년 9월 7일''', 멤버 전원이 [[SOOP]] 파트너 스트리머로 계약하였다. | |
225 | ||
226 | '''2024년 12월 23일''', [[텀블벅]]을 통해 [[차원을 넘어 이세계아이돌]]의 단행본 및 굿즈가 [[https://tumblbug.com/beyondthedimension_isedol|크라우드 펀딩]]을 시작했다. 하루도 안 되어 후원 금액 66억원을 돌파하면서 마법소녀 이세계아이돌의 기존 '''텀블벅 후원 1위''' 기록을 스스로 경신하였다. 이후 최종 '''88억 2천2백만 원 가량'''이 모금되면서 역대 '''국내 크라우드 펀딩 1위''' 기록을 다시 한 번 경신하였다.[* 지난달 22일 '차원을 넘어 이세계아이돌'(이하 '차세돌') 단행본·굿즈 펀딩이 88억원을 돌파하며 종료됐다. 10월 23일 시작한 '차세돌' 펀딩은 당초 목표로 했던 2천만원의 44112%를 달성하며 한 달 만에 이 같은 성과를 냈다. [[https://news.nate.com/view/20241201n00924|#]]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패러블엔터테인먼트 소속의 버추얼 아이돌 이세계아이돌을 소재로 한 웹툰 '차원을 넘어 이세계아이돌' 단행본과 굿즈 크라우드 펀딩이 지난 22일 88억으로 최종 마감해 펀딩 역사상 최고 모금액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최종 모금액 88억이라는 전무후무한 금액을 기록하며 '차세돌' IP는 국내 크라우드 펀딩 역사를 완전히 새롭게 쓰게 됐다. 총 3만 5천여 명의 후원자가 참여해 1인당 약 25만 원에 달하는 평균 후원액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당초 목표 금액이었던 2천 만원을 약 4만 4천 퍼센트 초과 달성했다. 이는 지난 해 약 42억 원으로 최고 모금액이자, 이세돌 세계관을 공유하는 카카오엔터 '마법소녀 이세계아이돌' 펀딩 성과를 자체 경신한 수치다. [[https://www.seou1.com/news/articleView.html?idxno=6413|#]] 텀블벅은 버추얼 아이돌 그룹 이세계아이돌(이세돌)의 웹툰 단행본과 굿즈의 누적 펀딩액이 88억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고 기록을 달성했다고 27일 밝혔다. [[https://www.unicornfactory.co.kr/article/2024112710025259938|#]] 버추얼 아이돌 그룹 ‘이세계아이돌(이하 이세돌)’의 인기 웹툰 '차원을 넘어 이세계아이돌'(이하 차세돌) 단행본 및 굿즈 펀딩 프로젝트가 팬들의 폭발적인 반응을 얻으며 역대 최고 모금 기록을 갈아치웠다.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텀블벅에 따르면, 이번 차세돌 단행본 및 굿즈 펀딩은 시작 첫날 달성률 3만2900%에 달하며 약 65억 원의 모금액을 기록했고, 10월 29일 현재에는 달성률 3만6914%로 상승해 73억 원 이상이 모였다. [[https://www.topcelev.co.kr/news/articleView.html?idxno=754|#]] 지난달 22일 '차원을 넘어 이세계아이돌'(이하 '차세돌') 단행본·굿즈 펀딩이 88억원을 돌파하며 종료됐다. 10월 23일 시작한 '차세돌' 펀딩은 당초 목표로 했던 2천만원의 44112%를 달성하며 한 달 만에 이 같은 성과를 냈다. [[https://mydaily.co.kr/page/view/2024112213320042992|#]]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텀블벅은 버추얼 아이돌 그룹 이세계아이돌(이세돌)의 웹툰 단행본과 굿즈의 누적 펀딩액이 88억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고 기록을 달성했다고 27일 밝혔다. 88억원의 누적 펀딩금액은 기존 1위 기록의 약 두 배 이상 웃도는 성과다. 10월 23일부터 이달 22일까지 약 한 달간 진행된 이번 펀딩에는 총 3만5600여 명이 참여했다. 1인당 평균 후원 금액은 24만7400원으로 웹툰 공식 단행본, 특별 화보집, 피규어, 포토카드 등이 판매됐다.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4112710025259938|#]]] | |
227 | ||
228 | '''2024년 12월 2일''', 찜닭 프랜차이즈인 [[두찜]]과 1차 콜라보를 진행하였다. | |
229 | ||
230 | '''2024년 12월 28일''', [[SOOP/시상식#2024년|2024 SOOP 스트리머 시상식]]에서 이세돌 전원이 [[https://2024award.sooplive.co.kr/?page=rookies|신인상]], [[https://naver.me/5eUHAdAs|보이는 라디오상]]을 수상했다.[* 이세계아이돌이라는 그룹이 수상할 순 없고 베스트 스트리머와 같이 스트리머로서의 개인 자격으로만 수상해야 한다. 징버거, 릴파, 고세구, 비챤은 게임상도 수상했다.] | |
231 | ||
232 | === 2025년 === | |
233 | '''2025년 1월 3일''', 찜닭 프랜차이즈인 [[두찜]]과 2차 콜라보를 진행하였다. | |
234 | ||
235 | '''2025년 2월 4일''', 찜닭 프랜차이즈인 [[두찜]]과 3차 콜라보를 진행하였다. | |
236 | ||
237 | '''2025년 2월 21일''', 바둑기사 [[이세돌]]과 이세계아이돌의 대결인 [[이세계아이돌/콘텐츠#SOOPER MATCH 1 이세돌 vs 이세돌|SOOPER MATCH 1 이세돌 vs 이세돌]]이 진행되었다. 우승은 이세돌 9단. | |
238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SOOPER MATCH 1 이세돌 vs 이세돌)] | |
239 | ||
240 | '''2025년 3월 18일''', 우왁굳 방송에서 이세계아이돌의 로드맵으로 [[SYZYGY(이세계아이돌)|콘서트 홍보곡]], [[Misty Rainbow|Misty Rainbow(4th 싱글)]], [[Stargazers(이세계아이돌)|5th 싱글]], [[이세계아이돌 6th 싱글|6th 싱글]] 정보와 동시에 금년 5월 서울 [[고척 스카이돔]]에서 [[이세계 페스티벌 2025]]가 개최될 예정임이 공개되었다. | |
241 | ||
242 | '''2025년 3월 20일''', [[이세계 페스티벌 2025]]의 홍보곡인 [[SYZYGY(이세계아이돌)|SYZYGY]]가 발매되었다.[* [[SYZYGY(이세계아이돌)|SYZYGY]]는 이세계아이돌 최초의 [[Dolby Atmos]] 음원이다. ] | |
243 | ||
244 | '''2025년 4월 25일''', 4th 싱글 [[Misty Rainbow]]가 발매되었다. | |
245 | ||
246 | '''2025년 5월 16일~17일''', [[고척 스카이돔]]에서 개최된 [[이세계 페스티벌 2025]]에 참여하였다. 해당 콘서트에서 [[Stargazers(이세계아이돌)|Stargazers]], ELEVATE, MEMORY가 선공개되었다. | |
247 | ||
248 | '''2025년 5월 18일''', 5th 싱글 [[Stargazers(이세계아이돌)|Stargazers]]가 발매되었다. | |
249 | ||
250 | == 기록 == | |
251 | === [[멜론(음원 서비스)|멜론]] === | |
252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7416f><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e7416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4371, #f361a6)" | |
253 | [[파일:이세계 아이돌 로고.png|width=7%]][br]'''{{{#fff 멜론의 전당 - 앨범 부문 }}}'''}}} || | |
254 | ||<rowbgcolor=#e7416f><rowcolor=#fff> '''순''' || '''앨범명''' || '''발매일''' || '''1M 스트리밍''' || '''발매 24h 스트리밍''' || | |
255 | || 1 || '''[[LOCKDOWN]]''' || '''23.06.22''' || '''21시간 40분 소요''' || '''1,156,500''' || | |
256 | || 2 || '''[[Another World(이세계아이돌)|Another World]]''' || '''23.07.21''' || '''18시간 20분 소요''' || '''1,335,900''' || | |
257 | || 3 || '''[[KIDDING(이세계아이돌)|KIDDING]]''' || '''23.08.18''' || ''' 11시간 00분 소요''' || '''2,109,700''' || | |
258 | || 4 || '''[[이세계 페스티벌(이세계아이돌)|이세계 페스티벌]]''' || '''23.09.24''' || ''' 11시간 50분 소요''' || '''1,825,900''' || | |
259 | || 5 || '''[[Misty Rainbow]]''' || '''25.04.25''' || ''' 23시간 10분 소요''' || '''1,044,300''' || | |
260 | || 6 || '''[[Stargazers(이세계아이돌)|Stargazers]]''' || '''25.05.18''' || ''' 12시간 30분 소요''' || '''1,805,600''' || | |
261 | === [[빌보드]] === | |
262 | ==== 빌보드 코리아 ==== | |
263 | ||<-5><width=100%><tablebordercolor=#e7416f><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e7416f><tablewidth=100%><tablealign=center>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4371, #f361a6)" | |
264 | [[파일:이세계 아이돌 로고.png|width=7%]][br]'''{{{#fff 빌보드 코리아 최고 순위 }}}'''}}} || | |
265 | ||<rowbgcolor=#e7416f><rowcolor=#fff> # || '''연도''' ||<width=30%> '''제목''' || '''최고 순위''' || '''비고''' || | |
266 | || 1 || 2023 || [[KIDDING(이세계아이돌)|KIDDING]] || 3위 || - || | |
267 | ||
268 | ==== 빌보드 글로벌 200 (미국 제외) ==== | |
269 | ||<-5><width=100%><tablebordercolor=#e7416f><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e7416f><tablewidth=100%><tablealign=center>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4371, #f361a6)" | |
270 | [[파일:이세계 아이돌 로고.png|width=7%]][br]'''{{{#fff 빌보드 글로벌 200 (미국 제외) 최고 순위 }}}'''}}} || | |
271 | ||<rowbgcolor=#e7416f><rowcolor=#fff> # || '''연도''' ||<width=30%> '''제목''' || '''최고 순위''' || '''비고''' || | |
272 | || 1 || 2023 || [[KIDDING(이세계아이돌)|KIDDING]] || 167위 || - || | |
273 | ||
274 | == [[/활동|활동]] == | |
275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세계아이돌/활동)] | |
276 | ||
277 | === [[/공연 및 행사|공연 및 행사]] === | |
278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세계아이돌/공연 및 행사)] | |
279 | [include(틀:이세계아이돌/공연 및 행사)] | |
280 | ||
281 | === 광고 === | |
282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64371><bgcolor=#fff,#e64371>{{{#000,#fff {{{-2 '''2인 이상'''의 광고만 작성한다. 솔로 광고의 경우 각 멤버의 문서 참고.}}}}}} || | |
283 | ||
284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64371><tablebgcolor=transparent><rowbgcolor=#e64371><rowcolor=#fff> '''기업/기관''' || '''브랜드''' || '''분류''' ||<width=20%> '''출연 멤버''' ||<width=15%> '''비고''' || | |
285 | ||<-5><bgcolor=#f1f1f1,#1c1d1f><color=#000,#e64371><nopad> {{{-2 '''2024년'''}}} || | |
286 | || {{{-1 (주)기영에프앤비}}} || {{{-1 [[두찜]]}}} || {{{-1 식품}}} || {{{-1 전원}}} ||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xEQWkbe_Gac, 크기=20)] [include(틀:유튜브 아이콘, 링크=F_olBY1iu7U, 크기=20)] || | |
287 | ||<-5><bgcolor=#f1f1f1,#1c1d1f><color=#000,#e64371><nopad> {{{-2 '''2025년'''}}} || | |
288 | || {{{-1 (주)기영에프앤비}}} || {{{-1 [[두찜]]}}} || {{{-1 식품}}} || {{{-1 전원}}} || || | |
289 | ||
290 | === [[/콘텐츠|콘텐츠]] === | |
291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세계아이돌/콘텐츠)] | |
292 | [include(틀:이세계아이돌/콘텐츠)] | |
293 | ||
294 | == 음악 == | |
295 | === [[/디스코그래피|디스코그래피]] === | |
296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세계아이돌/디스코그래피)] | |
297 | ||
298 | === [[/디스코그래피#s-2.2|오리지널 곡]] === | |
299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세계아이돌/디스코그래피, 문단=2.2)] | |
300 | ||
301 | === [[버츄얼 유튜버/노래방 수록 목록#s-5.2|노래방 수록 목록]] === | |
302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버츄얼 유튜버/노래방 수록 목록, 문단=5.2)] | |
303 | ||
304 | === [[/커버 곡|커버 곡]] === | |
305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세계아이돌/커버 곡)] | |
306 | == 웹툰 == | |
307 | === [[마법소녀 이세계아이돌]] === | |
308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법소녀 이세계아이돌)] | |
309 | ||
310 | === [[차원을 넘어 이세계아이돌]] === | |
311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차원을 넘어 이세계아이돌)] | |
312 | ||
313 | == [[이파리(이세계아이돌)|팬덤]] == | |
314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파리(이세계아이돌))] | |
315 | ||
316 | === [[왁물원|공식 커뮤니티]] === | |
317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왁물원)] | |
318 | ||
319 | === [[/이모티콘|이모티콘]] === | |
32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세계아이돌/이모티콘)] | |
321 | ||
322 | === 응원법 === | |
323 | * [[RE : WIND#응원법]] | |
324 | * [[KIDDING(이세계아이돌)#응원법|KIDDING]] | |
325 | * [[Misty Rainbow#응원법]] | |
326 | ||
327 | == 굿즈 == | |
328 | === 이세계 페스티벌 굿즈 === | |
329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세계 페스티벌(2023), 문단=11)] | |
330 | ||
331 | === 마법소녀 이세계아이돌 굿즈 === | |
332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법소녀 이세계아이돌, 문단=14)] | |
333 | ||
334 | === 이세돌팝업봤? 굿즈 === | |
335 | ||<-2><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ordercolor=#e85f9d><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e85f9d> {{{#fff {{{+2 '''〈이세돌팝업봤?〉굿즈'''}}}}}} || | |
336 | ||<-2><nopad> [[파일:이세돌팝업 로고 가로형.png|width=100%]] || | |
337 | ||<#e85f9d><color=#fff> '''{{{+1 굿즈 목록}}}''' || | |
338 | ||<^|1><-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 |
339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340 | {{{#!wiki style="margin: -6px -1px -20px" | |
341 | || {{{#!wiki style="margin: -5px -12px;" | |
342 | [[파일:이세돌 팝업 굿즈1.jpg|width=100%]][[파일:이세돌팝업 굿즈2.jpg|width=100%]] | |
343 | [[파일:이세돌팝업 굿즈3.jpg|width=100%]][[파일:이세돌팝업 굿즈4.jpg|width=100%]]}}} ||}}}}}}}}} || | |
344 | ||<#e85f9d><color=#fff> '''{{{+1 특전 목록}}}''' || | |
345 | ||<^|1><-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 |
346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347 | {{{#!wiki style="margin: -6px -1px -20px" | |
348 | || {{{#!wiki style="margin: -5px -12px;" | |
349 | [[파일:이세돌팝업 특전1.png|width=100%]][[파일:이세돌팝업 특전2.png|width=100%]]}}} ||}}}}}}}}} || | |
350 | ||
351 | === 차원을 넘어 이세계아이돌 굿즈 === | |
352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차원을 넘어 이세계아이돌, 문단=12)] | |
353 | ||
354 | === 두찜 콜라보 굿즈 === | |
355 | ||<-2><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ordercolor=#e85f9d><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e85f9d> {{{#fff {{{+2 '''〈이세계아이돌X두찜〉굿즈'''}}}}}} || | |
356 | ||<-2><nopad> [[파일:이세계아이돌_두찜.jpg|width=100%]] || | |
357 | ||<bgcolor=#e85f9d><color=#fff><width=30%> '''기간''' ||'''{{{-1 1차}}}''' 2024.12.02 ~ 재고 소진 시까지[br]'''{{{-1 2차}}}''' 2025.01.03 ~ 재고 소진 시까지[br]'''{{{-1 3차}}}''' 2025.02.04 ~ 재고 소진 시까지 || | |
358 | ||<-2><bgcolor=#e85f9d><color=#fff> '''{{{+1 굿즈 패키지}}}''' || | |
359 | ||<^|1><-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 |
360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361 | {{{#!wiki style="margin: -6px -1px -20px" | |
362 | || {{{#!wiki style="margin: -5px -12px" | |
363 | [[파일:이세계아이돌_두찜패키지.jpg|width=100%]]}}} ||}}}}}}}}} || | |
364 | ||<-2><bgcolor=#e85f9d><color=#fff> '''{{{+1 1차 굿즈 목록}}}''' || | |
365 | ||<^|1><-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 |
366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367 | {{{#!wiki style="margin: -6px -1px -20px" | |
368 | || {{{#!wiki style="margin: -5px -12px" | |
369 | [[파일:이세계아이돌_두찜1차굿즈.jpg|width=100%]]}}} ||}}}}}}}}} || | |
370 | ||<-2><bgcolor=#e85f9d><color=#fff> '''{{{+1 2차 굿즈 목록}}}''' || | |
371 | ||<^|1><-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 |
372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373 | {{{#!wiki style="margin: -6px -1px -20px" | |
374 | || {{{#!wiki style="margin: -5px -12px" | |
375 | [[파일:이세계아이돌_두찜2차굿즈.jpg|width=100%]]}}} ||}}}}}}}}} || | |
376 | ||<-2><bgcolor=#e85f9d><color=#fff> '''{{{+1 3차 굿즈 목록}}}''' || | |
377 | ||<^|1><-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 |
378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379 | {{{#!wiki style="margin: -6px -1px -20px" | |
380 | || {{{#!wiki style="margin: -5px -12px" | |
381 | [[파일:이세계아이돌_두찜3차굿즈.jpg|width=100%]]}}} ||}}}}}}}}} || | |
382 | ||<-2><bgcolor=#e85f9d><color=#fff> '''{{{+1 스페셜 굿즈 1}}}''' || | |
383 | ||<^|1><-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 |
384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385 | {{{#!wiki style="margin: -6px -1px -20px" | |
386 | || {{{#!wiki style="margin: -5px -12px" | |
387 | [[파일:이세계아이돌_두찜스페셜굿즈.jpg|width=100%]]}}} ||}}}}}}}}} || | |
388 | ||<-2><bgcolor=#e85f9d><color=#fff> '''{{{+1 스페셜 굿즈 2}}}''' || | |
389 | ||<^|1><-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 |
390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391 | {{{#!wiki style="margin: -6px -1px -20px" | |
392 | || {{{#!wiki style="margin: -5px -12px" | |
393 | [[파일:이세계아이돌_두찜스페셜굿즈2.jpg|width=100%]]}}} ||}}}}}}}}} || | |
394 | * SOOP 라이브 방송을 통해 콜라보가 처음으로 공지된 2024년 11월 29일과 이벤트 첫날인 12월 2일에 많은 접속자로 두찜 앱이 다운되는 해프닝이 있었다. [[https://m.dnews.co.kr/m_home/view.jsp?idxno=202412021403281820131|#]] | |
395 | * 2024년 12월 2일 시작 당일에 일부 매장의 굿즈 조기 품절 안내가 공지됐다. | |
396 | * 원래는 1월 15일부터 새로운 일러스트를 사용한 2차 굿즈가 판매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매장에서 1차 굿즈가 조기 소진되고 추가 제작에 대한 요청이 많이 들어와서 1월 3일부터 1차 굿즈와 동일한 일러스트를 사용한 추가 생산 굿즈가 판매되었고, 기존 판매 예정이었던 신규 굿즈는 2월로 일정이 연기되었다. | |
397 | * 랜덤으로 굿즈 세트가 배송되는 방식이다보니 원하는 세트가 나오지 않고 중복이 속출하는 일이 잦아 교환 및 판매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진 굿즈 시리즈이기도 하다. | |
398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이세계아이돌/굿즈, version=114, uuid=d797b9b3-227a-4b2e-9dc9-a4181493082b)] | |
399 | ||
400 | === 이세계아이돌 OFFICIAL LIGHT STICK === | |
401 | ||<-2><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ordercolor=#66ec66><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66ec66> {{{#fff {{{+2 '''이세계아이돌 OFFICIAL LIGHT STICK'''}}}[br]이세계아이돌의 첫 번째 빛, 맆스틱}}} || | |
402 | ||<-2><nopad> [[파일:이세페 응원봉2.jpg|width=100%]] || | |
403 | || 가격 || 42,000KRW || | |
404 | || 판매 기간 || 25/05/02 ~ 25/05/09 || | |
405 | || 수령 방법 || 스토어에서 구매 후, 택배 혹은 현장수령[* 현장수령의 경우, 신분증 지참 필요] || | |
406 | || 구매 제한 || 1인 1개 구매 가능 || | |
407 | || 판매처 || [[https://parable-store.com/|패러블 스토어]] || | |
408 | {{{#!folding 상세 [ 펼치기 · 접기 ] | |
409 | [[파일:이세계아이돌 공식 응원봉 공지.png]]}}} | |
410 | 블루투스 페어링시 ISGI Light Stick으로 표시된다 | |
411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이세계아이돌/굿즈, version=114, uuid=d797b9b3-227a-4b2e-9dc9-a4181493082b)] | |
412 | ||
413 | == [[/논란 및 사건 사고|논란 및 사건 사고]] == | |
414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세계아이돌/논란 및 사건 사고)] | |
415 | ||
416 | == [[/여담|여담]] == | |
417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세계아이돌/여담)] | |
418 | == 둘러보기 == | |
419 | ||<tablealign=center><tablewidth=800><tablebordercolor=#e64371><tablebgcolor=transparent>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4371, #f361a6)" | |
420 | [[파일:이세계아이돌 프로필 로고 (화이트).svg|height=35]][br]'''{{{#fff 관련 둘러보기 틀}}}'''}}} || | |
421 | || {{{#!folding [ 펼치기ㆍ접기 ] | |
422 | ---- | |
423 | [include(틀:왁타버스)] | |
424 | ---- | |
425 | [include(틀:패러블 엔터테인먼트)]}}} || | |
426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우왁굳/콘텐츠/게임/VR챗, version=75, uuid=d41e7508-3379-4f0a-bbb6-83dce4149a51, title2=이세계아이돌/오디션, version2=92, uuid2=c6e1f3c0-5c5d-4f1f-8ec1-efc80f78d7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