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속자 폭증으로 서버 상태가 원활하지 않습니다 | 소유권 이전과 관련한 공지
사이버힐링(r23 Blame)
r23 | ||
---|---|---|
r20 | 1 | [[분류:인터넷]] |
r23 | 2 | [include(틀:범죄)] |
r14 | 3 | ||<tablealign=right><tablewidth=350px><nopad> [[파일:사이버힐링.jpg]]|| |
r6 | 4 | [목차] |
r12 | 5 | [clearfix] |
r3 | 6 | == 개요 == |
r19 | 7 | 온라인에서 집단적으로 한 사람을 향해 욕설, 폭언, 협박, 모욕, 영업방해, 허위사실 유포 등을 하여 피해자에게 힐링을 시켜주는 매우 좋(다고 주장되는)은 행위. 이파리들이 자주 시전한다. [[딜런]]의 파란줄 이론과 함께 그들의 양대산맥 같은 이론. (중국은 높은 산봉우리) |
r5 | 8 | |
r7 | 9 | ==# 진실 #== |
r18 | 10 | >사이버불링은 최근 생겨난 개념으로 그 정의와 범위가 매우 모호합니다. |
11 | >실제로 일부 연구 논문에서는 [[개소리|일부 피해자에게 심리적으로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 |
r3 | 12 | |
r18 | 13 | 첫번째로, [[사이버불링]]의 개념은 그다지 모호하지 않다. |
14 | ||
15 | [[사이버불링]]이란 용어는 1978년 처음으로 등장하였고, 통신 매체에서 한 집단에게 개인(또는 이상)이 반복적으로 배척당하고 부정적인 언행이 부과되며 사회적, 심리적, 또는 신체적 피해를 입히는 행동을 말한다. 이런 행동은 일종의 힘의 불균형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권력형 범죄 행위이기 때문에. [[이파리]]의 행위에 정확히 부합하는 개념이다. | |
16 | ||
17 | 두번째로, 그딴 연구 논문은 없다. | |
18 | ||
r22 | 19 | [[https://gall.dcinside.com/m/whyiblocked/25973|가져온 논문 글 정리]] 정상적인 사고방식으론 사이버불링이 피해자에게 도움이 될거라는 주장을 할수가 없다. [[https://www.mdpi.com/2075-4698/14/8/137|가져온]]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298246/|논문]]조차 사이버불링에 대응해 피해를 줄이는 사례를 조사해 피해자의 회복탄력성[* 심리학 용어로, 실패하거나 좌절했을때 다시 일어날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요인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논문이다. |
r18 | 20 | '''즉 아무리 눈 씻고 찾아봐도 사이버불링이 피해자에게 도움이 된다는 내용은 없다.''' |
21 | ||
22 | ||
23 | 현실은 사이버불링이 현재 진행형이며 자정의 기미가 보이질 않는다는 증거가 되었다. | |
24 | ||
r8 | 25 | 벽딸 스커지의 주장으로 시발 사이버 불링이 피해자에게 도움이 된다 ㅇㅈㄹ 해서 생긴 용어이다. |
r17 | 26 | |
27 | ===# 만평 #=== | |
28 | [[파일:사이버힐링만평.png]] | |
r21 | 29 | [[https://m.dcinside.com/board/whyiblocked/26227|#]] |